이번 겨울 큰 추위가 없었던 한반도가 입춘을 코 앞에 두고 꽁꽁 얼어붙었다. 2일 아침 중부지방의 기온이 영하 20도 안팎까지 떨어지는 등 전국에 이틀째 동장군이 맹위를 떨쳤다.
2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서울의 최저기온은 영하 16.7도까지 떨어졌다. 서울 2월 기온이 영하 17도까지 떨어지는 것은 1957년 2월11일 영하 17.3도를 기록한 이래 55년만이다. 바람도 강하게 불어 서울의 체감온도는 무려 영하 22.9도까지 떨어졌다.
전국적으로도 철원이 영하 24.6도를 기록해 관측이래 2월 최저기온 기록을 갈아치우는 등 평년보다 낮은 기온 분포를 보였다. 다른 지역도 △영월 영하 21도 △문산 영하 19.7도 △동두천 영하 18.1도 △상주 영하 15.5도 등 2월 기온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날 낮에도 전국 대부분 지방이 영하권에 머물고 바람도 강하게 불어 추위가 풀리지 않았다. 기상청 관계자는 “내일 아침에도 내륙지방을 중심으로 기온이 영하 10도 이하로 떨어지는 곳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록적 추위로 서울 강남의 대청초등학교 등 일부학교는 문을 닫았다. 1일 서울시교육청은 서울지역 1400개 유치원과 초등학교에 공문을 보내 학교장 재량으로 임시 휴업을 결정할 수 있도록 했다. 앞서 경기도교육청도 유사한 내용의 업무연락을 관내 학교에 돌렸다.
추위는 다음날인 3일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3일 서울 기온은 영하 12도 전국적으로는 영하 21도에서 영하 5도에 이르는 추위가 예고됐다. 기상청은 토요일인 4일부터는 추위가 누그러져 아침기온이 아침 기온이 영하 4도, 낮기온이 영상 4도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 봤다.
당분간 기온의 변덕이 심할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다음주에도 이번주 못지 않은 추위가 예고되고 있다. 오는 7일경부터는 전국에 눈이 내린 뒤 다시 이번 못지 않은 한파가 몰려올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한파 중부 지방에는 폭설 가능성도 예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