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부가 사라진 나라’…농가인구 300만선 첫 붕괴

입력 2012-02-02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0년 뒤 인구 100명당 농민 수 4~5명에 불과

산업화 이후 꾸준히 감소해 온 농민 수가 지난해 처음으로 300만명 선 아래로 떨어졌다. 이는 젊은 층이 도시로 이동해 농촌 사회의 출생률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농업소득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 한 이 같은 감소세는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2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인구는 모두 296만5000명으로 집계돼 처음으로 300만명 선이 붕괴했다. 농가인구는 2010년에 비해서는 10만3000명(3.4%) 줄어든 수치로 지난 2001년 400만명 선 아래로 떨어진 이후 10년 만에 100만명 이상 줄었다.

지난 1970년대 이후 농촌사회는 급격한 해체 과정을 밟고 있다. 1970년 1442만2000명에 달했던 농가 인구는 △1980년 1082만7000명 △1990년 666만 1000명 △2000년 403만1000명 △2010년 306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올해에도 농가인구 감소세가 이어져 작년보다 7만2000명 감소한 289만3000명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총 인구 중 농가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5.9%로 감소해 처음으로 6%를 밑돌 것이라는 관측이다.

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면 농가인구 비율은 2017년 전체인구의 5.1%까지 떨어지고 2022년에는 4.4%에 다다를 것으로 농촌경제연구원은 내다봤다. 10년 뒤에는 전체 인구 100명 가운데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채 5명도 되지 않는 셈이다.

농가인구 감소는 젊은층의 도시 이동으로 농촌 출생률이 줄어든 결과로 농업소득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연구원은 농해 농민들의 가구당 소득은 1103만원으로 지난해보다 6.8% 떨어진 뒤 2017년에는 1000만원 아래까지 내려갈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결과를 두고 농가인구를 늘리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관련 전문가들은 농가 소득의 3분의 1에 불과한 농업소득을 높이기 위해 직불제 등 지원책을 강화하거나 귀농 대책에 대한 확대도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한편 비농가 인구를 포함한 농어촌 인구는 2010년 875만8000명으로 5년 전보다 5만4000명 늘어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농촌경제연구원은 이 같은 증가가 음식점업, 의료업 등 서비스업 종사자가 늘어난 결과로 농촌의 색깔은 더 옅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TV만 틀면 나온다"… '다작의 아이콘' 전현무가 사는 '아이파크 삼성'은 [왁자집껄]
  • 단독 “판사 여기 숨어 있을 거 같은데”…‘서부지법 사태’ 공소장 보니
  • '국가대표' 꾸려 AI 모델 개발 추진…"중·소·대기업 상관없이 공모" [종합]
  • [날씨] 전국 맑고 '건조 특보'…시속 55km 강풍으로 체감온도 '뚝↓'
  • 트럼프發 반도체 패권 전쟁 심화…살얼음판 걷는 韓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창업 도전 해볼까…카페 가맹점 평균매출액 1위는? [그래픽 스토리]
  • ‘나는 솔로’ 24기 광수, 女 출연자들에 “스킨쉽 어떠냐”…순자 “사기당한 것 같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900,000
    • +0.77%
    • 이더리움
    • 4,059,000
    • +0.59%
    • 비트코인 캐시
    • 478,800
    • +0.59%
    • 리플
    • 3,993
    • +4.89%
    • 솔라나
    • 254,800
    • +1.27%
    • 에이다
    • 1,161
    • +2.47%
    • 이오스
    • 954
    • +3.47%
    • 트론
    • 355
    • -2.47%
    • 스텔라루멘
    • 506
    • +2.2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000
    • +1.42%
    • 체인링크
    • 26,960
    • +0.97%
    • 샌드박스
    • 548
    • +1.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