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교수는 이날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금은 글로벌 유동성이 회수되는 단계다”며 이 같이 말했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재정위기로 유럽의 디레버리징(부채축소)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유동성을 줄이기 보다는 늘려야 한다는 진단이다.
그는 “통화정책을 펴는데 있어서 외부의 유동성효과가 상당히 크다”며 “2010년 한은이 금리를 올렸을 때 시장금리는 오히려 내려갔는데 이는 유동성이 더 유입됐다는 뜻이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이어 “자본유입이 개방된 상태에서 미국은 제로금리 유지하고 유럽은 확장적 정책을 쓰고 있기 때문에 금리를 올리면 오히려 국내 유동성이 커져 자산 가격이 부풀려지는 역효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제때 올리지 못했다는 실기론에 대해서는 회의적인이라고 밝혔다. 그는 “한국처럼 개방된 체제에서는 통화정책을 자주적으로 쑬 수 있는 여력이 제한된다”며 “거시건전성 정책 등 보완적인 정책을 통해서 실물과 금융을 동시에 보는 포괄적인 정책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문제는 개선될 것으로 봤다. 신 교수는 “유럽 위기로 유동성이 회수되는 과정에서 불행 중 다행인 두 가지는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해소와 가계부채 개선”이라고 말했다.
그는 “가계부채 문제도 과잉유동성은 산물이다”며 “가계부채는 지금보다 낮은 단계에서 안정되는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신 교수는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는 시간문제이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번 주말 선거가 될지 훗날이 될지는 모르지만 근본적인 모순이 있어서 유지될 수 없다”고 말했다.
유럽 위기의 전망과 관련해서는 “유럽중앙은행이 충분한 유동성 공급을 통해 리먼브라더스 파산 같은 사태는 막을 수 있을 것”이라며 “확률이 높은 쪽은 자신 부실을 통한 일본 식의 장기 위기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