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열도) 국유화에 앙심을 품은 중국이 전방위 보복에 나섰다.
국제 무대에서 일본의 영유권 도발을 미국 유럽 유엔에 호소하는 한편 중국 일부 지역의 세관 당국은 일본 제품에 대한 통관검사를 강화하고 있다.
유럽연합(EU)과의 정상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20일(현지시간) 브뤼셀을 방문한 원자바오 총리는 모두 연설에서 EU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댜오위다오 문제를 가장 먼저 언급했다고 주요 외신이 보도했다.
그는 “일본은 자작극을 벌이고 있다”며 “전 세계는 댜오위다오가 중국 고유의 영토임을 알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상회담 석상에서도 댜오위다오 문제를 또 꺼냈다.
이에 대해 헤르만 판롬푀이 EU 상임의장과 조제 마누엘 바호주 EU 집행위원장은 대화를 통한 해결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언론은 원 총리의 이같은 행보는 대규모 반일 시위와 폭동에 대해 국세 사회가 곱지않을 시선을 보내자 국제 사회에 영토 문제를 선전하는 것으로 전략을 바꿨다고 해석했다.
원 총리는 댜오위다오 영유권에 대해 서구 사회의 공감을 얻어내기 위한 선심 공세도 펼쳤다.
그는 모두 연설에서 “중국은 지난 몇 달간 유럽 정부의 국채에 투자해왔고 유로안정화기구(ESM)에 협력하는 방법을 논의해왔다”며 “유로존 재정위기 극복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에 중국이 지속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의 외교 전략은 이 뿐만이 아니다.
앞서 중국은 지난 14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만나 댜오위다오 주변 영해를 나타낸 영해도를 전달해 댜오위다오가 분쟁 해역이라는 점을 국제 사회에 부각시켰다.
미국에서는 적극적인 로비 공세를 펼치고 있다.
주미 중국 대사관은 로비 전문 회사인 패튼복스를 고용해 미국 의회에 댜오위다오가 분쟁 지역임을 알릴 준비를 하고 있다고 관계자들을 전했다.
중국이 패튼복스에 준 계약금은 작년 9~12월에만 30만달러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말 뉴욕타임스에는 “일본이 하와이를 일본령이라고 발표한다면, 미국민은 어떻게 생각할까요?”라는 내용의 대형 광고가 실리기도 했다.
광고주는 한 중국인 사업가로 밝혀졌다.
일본에 대한 보복 수위는 한층 높아졌다.
일본무역진흥공사의 조사 결과, 중국의 주요 세관 11개 가운데 상하이와 베이징 등 5개 지역에서 통관이 지연됐다.
상하이의 경우 일부 품목은 일본에서 들여오는 모든 제품이 검사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이나 톈진에서도 화물 검사율이 높아졌고, 광둥성 광저우시에서는 일부 통관이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톈진시 세관 당국은 복수의 일본 기업에 대해 전자제품 등에 쓰이는 원자재 수입과 관련 검사 비율을 강화하겠다고 통보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자스코와 파나소닉 등 일본 기업들의 피해가 컸던 산둥성 칭다오에서도 통관에 필요한 서류 확인이 어려워지고 있다고 일본무역진흥공사의 조사에서 밝혀졌다.
지난 11일 일본 정부의 댜오위다오 국유화 이후 일본 제품에 대한 중국의 통관 강화가 구체적으로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일본 산업계는 중국 세관 당국의 이런 조치를 일본의 국유화 조치에 대한 보복으로 보고 있다.
중국은 지난 2010년 9월 중국 어선과 일본 순시선이 댜오위다오에서 충돌했을 당시에도 가장 먼저 일본 상품에 대한 통관 강화로 보복한 바 있다.
일본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의도적 통관 지연은 기업 입장에서 엄청난 타격이다.
부가가치가 높은 전자부품과 화학품 등의 각종 원자재를 일본에서 수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통관이 지체되면 제품 완성이 늦어져 납기에도 영향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