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부 “개인저축률↓ㆍ기업저축률↑…경제에 부담”

입력 2012-12-06 17: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개인의 저축률이 낮아지고 기업저축률이 상승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투자여력을 감소시켜 경제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정부 분석이 나왔다. 기업저축 증가가 투자확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규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획재정부가 6일 내놓은 ‘최근 저축률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총저축률은 1988년 40.4%에서 내리막을 타 지난해 31.7%를 기록했다. 총저축률은 개인ㆍ기업ㆍ정부의 총저축액을 국민 총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이같은 총 저축률의 하락은 개인저축률 감소에 기인한바 크다. 개인저축률은 1991년(18.5%)부터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지난해에는 4.3%에 그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6.9%)에 못 미쳤다.

개인저축률이 줄어들고 있는 것은 가계소득증가세 둔화와 생계비지출 증가로 저축여력이 감소한 데다, 대출금리가 낮아지고 신용카드 사용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또 강제저축의 성격이 있는 국민연금제도와 의료보험제도가 1980년대 말부터 본격 도입된 점도 원인이 됐다는 설명이다. 재정부는 “개인저축률이 낮으면 가계의 금융자산이 축소되고 부채가 늘어 가계의 위기대응 능력이 약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개인저축률과는 반대로 기업저축률은 2000년 12.8%에서 지난해 19.9%까지 오르며 지난해 전체 저축의 62.8%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기업저축률 상승이 기업 투자 확대로 이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재정부는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저축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투자활성화→성장잠재력 확충→경제성장→소득 등 저축여력 확대→투자 확대’라는 경제 선순환 고리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를 위해선 기업저축이 투자로 연계될 수 있도록 규제를 개선하고 투자 시 인센티브를 늘려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구체적으로는 해외 진출 후 국내로 복귀하는 U턴 기업에 대한 세제·입지·인력 등 지원을 늘리고 경제자유구역에서 외국기업과 국내기업에 같은 혜택을 줄 수 있도록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재정부는 또 “다른 OECD 국가들이 재정적자와 사회보험료 지출 등으로 마이너스인 가운데 우리나라 정부의 저축률은 우리나라는 플러스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며 “다만 현재 국민연금제도를 유지할 경우 수급자가 크게 늘어 연금재정수지가 악화하고 중장기적으로 정부저축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30대 상무ㆍ40대 부사장…삼성전자 임원 인사 키워드는 ‘다양성‧포용성’
  • 차기 우리은행장에 정진완 중소기업 부행장…'조직 쇄신ㆍ세대 교체' 방점
  • 동물병원 댕댕이 처방 약, 나도 병원서 처방받은 약?
  • “해 바뀌기 전 올리자”…식음료업계, 너도나도 연말 가격인상, 왜?!
  • 고딩엄빠에서 이혼숙려캠프까지…'7남매 부부' 아이들 현실 모습
  • 어도어, 뉴진스 '계약 해지' 기자회견에 반박…"전속계약 여전히 유효"
  • 29일까지 눈..."낮아진 기온에 빙판길 주의"
  • 래퍼 양홍원, 25살에 아빠 됐다…"여자친구가 해냈어"
  • 오늘의 상승종목

  • 11.29 11:5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388,000
    • +0.88%
    • 이더리움
    • 4,989,000
    • -1.11%
    • 비트코인 캐시
    • 716,000
    • -0.21%
    • 리플
    • 2,182
    • +6.54%
    • 솔라나
    • 334,000
    • -0.98%
    • 에이다
    • 1,464
    • +3.46%
    • 이오스
    • 1,139
    • +1.24%
    • 트론
    • 283
    • +1.07%
    • 스텔라루멘
    • 691
    • +2.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97,550
    • -0.41%
    • 체인링크
    • 25,010
    • -1.26%
    • 샌드박스
    • 935
    • +12.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