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12일(현지시간) 오전 11시(한국시간 13일 오전 1시) 긴급회의를 소집하고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에 대한 대응책 논의를 시작했다.
앞서 미국과 일본 정부는 북한의 로켓 발사 소식이 확인되자 즉각 안보리 의장국인 모로코에 회의 소집을 요구했다.
모하메드 룰리치키 유엔 주재 모로코 대사는 이사 국들을 상대로 회의를 소집한 사유를 설명한 뒤 북한의 도발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지를 놓고 비공개 회의를 주재한다.
미국은 북한의 로켓 발사가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어떠한 발사도 금지하고 있는 안보리 결의(1718호·1874호)의 위반인 만큼 국제사회가 최대한 신속하고 단호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입장을 주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숙 주유엔 한국대표부 대사는 안보리 회의가 열리기 전 수전 라이스 미국 대사와 향후 안보리의 대응방안 논의가 어떤 방향으로 추진돼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2013∼2014년 임기의 안보리 이사국을 수임한 한국 정부도 이번 회의에 참관하게 된다.
발언권은 없지만 한국 입장을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데는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유엔대표부 측의 설명이다.
앞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대변인은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도발행위로 북한이 국제사회가 강력하게 반대해 온 행위 했다는 점에서 유감스럽다”고 전했다.
미국 백악관은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가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한 심각한 도발행위”라고 비난했다.
토미 비터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북한의 로켓 발사는 안보리 결의가 금지한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것”이라며 “미국은 역내 안보위협을 감안해 동맹국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정부 역시 “우리는 국제사회가 우려를 표시한 가운데 (로켓을) 발사한 것과 관련해 조선(북한)에 유감을 표시한다”고 표현했다.
다만 중국이 추가 제재 문제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밝혀 향후 안보리의 논의가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 정부와 미국은 북한의 로켓 발사가 안보리 결의의 명백한 위반인 만큼 기존 제재를 확대하는 내용이 담긴 결의나 의장성명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안보리는 7∼10일 뒤에 북측의 도발에 대한 조치를 놓을 것으로 보이지만 한국 정부는 그 시기가 될 수 있으면 앞당겨질 수 있도록 외교적으로 노력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