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새 정부가 물가 잡기를 경제정책 최우선 순위에 두면서 인플레이션과의 전면전을 선언했다. 이에 나렌드라 모디 정권과 매파적 입장을 보이는 인도중앙은행(RBI)이 갈등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완화하고 있다고 11일(현지시간) CNBC가 보도했다.
이번 주 초 모디 정부의 경제 정책이 의회에서 공개됐다. 프라납 무커지 인도 대통령은 “다른 주요국보다 빠르게 상승하는 인도 식품가격으로 경제 병목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정부는 이러한 병목현상을 앞으로 집중적으로 다룰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인도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8.59%를 기록해 3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가파른 식품 가격 상승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고공행진을 거듭하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RBI는 지난해 9월부터 3차례 금리 인상을 단행하는 등 매파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 때문에 경제성장을 우선시하는 모디 정권이 들어서기 전부터 새 정부가 중앙은행에 인플레이션과 관련해 기존 매파적 입장에서 한발 물러설 것을 주문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싱가포르의 DBS의 라디카 라오 이코노미스트는 “정부와 중앙은행이 서로 다른 어젠다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우려에도 재무장관이 장·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 조절의 필요성과 정책 실행에 대해 회유적인 입장을 보였다”면서 “물론 모디 정책은 상당 부분 수사학적이고 실질적인 것이 아직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상당수 전문가는 새 정부를 둘러싼 여러가지 우려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구조개혁을 단행하면서 발생하는 단순한 잡음으로 보고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CNBC는 전했다.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는 쉽지 않다는 평가다. 특히 기반시설과 재고 창고 등이 부족한 상황에서 국민 대다수가 채식을 즐기는 인도 특성상 불규칙한 채소공급 등은 물가 변동성을 키운다는 지적이다.
여기에 올해 몬순기간 강우량이 예년보다 적을 것이라는 전망도 물가 상승을 부추길 것이라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 미즈호은행의 비슈뉴 바라탄 시장 이코노미스트는 “인도의 구조적 인플레이션은 조만간 사라지는 것이 아니며 단순히 금리를 인상한다고 해서 해결되지는 않는다”면서“정부 차원에서 인플레이션 조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만족스럽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