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급 문화재 보존 등급
국보급 문화재 보존 등급이 열악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재청은 전면 점검과 긴급 보수 계획을 밝혔다.
문화재청이 전국 시·도와 함께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5월까지 야외에 노출돼 훼손 위험도가 높은 지정(등록) 문화재와 안전시설이 취약한 사찰·서원·문중 등 유물 다량 소장처 47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전면적인 종합 점검 결과를 8일 밝혔다.
국보 등 전국의 지정·등록 문화재 7393건 가운데 1683건은 보수와 정비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훼손도와 위험도, 관리상태 등에 따라 국보급 문화재 보존 등급을 크게 6개 등급(A~F)으로 분류한 결과 구조적 결함 등으로 정기·상시 모니터링 183건(2.5%), 보수정비 1413건(19.1%), 즉시 수리조치 87건(1.2%) 등 관련 대책이 요구되는 문화재는 1683건(22.8%)에 이르렀다.
현 단계에서 별도의 보존대책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문화재(A·B·C 등급)는 5697건(77.1%)이다. 양호 2008건(27.2%), 경미 보수 1751건(23.7%), 주의관찰 1938건(26.2%)으로 집계됐다.
야외에 노출된 석탑 등 다수의 석조문화재는 재질 풍화, 생물 오염 등에 따라 잠재적 훼손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1601건 중 642건(40.1%)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나 보존처리가 필요했다.
산성 등 성곽 문화재 391건 중 185건(47.3%)은 입지여건과 ‘면(선)’ 단위 문화재로서 특수성 등으로 다른 유형의 문화재보다 보수정비 수요가 높았다.
문화재청은 “정밀실측이나 지표·발굴조사 등 보존관리 기초자료 확보를 통한 연차적, 종합적 정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문화재청은 문화재의 주기적 모니터링과 정밀 안전진단의 체계적 추진을 위해 전담인력 보강 등 관련 기능수행체계 강화와 방재설비 기능 작동 점검 의무화, 유형별 점검안내서 등을 12월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아직 방재설비가 설치되지 않은 등록문화재 161건은 2016년까지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문화재 현장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문화재관리사’ 제도도 2016년 하반기까지 도입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