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수준이 낮고 가구원 수가 적을수록 비만,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대사증후군 같은 만성질환에 걸릴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영양 균형을 고려한 다양한 음식을 먹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서울연구원이 최근 공개한 '서울시민 만성질환 실태와 식생활 위험요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서울시민의 유병률이 높은 만성질환은 이상
지난 20년간 흡연율은 감소했지만, 비만 유병률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낮을수록 흡연율과 고혈압·당뇨병 유병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질병관리본부는 27일 이 같은 내용의 ‘2018년 국민건강영향조사’ 및 ‘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건강영향조사는 전국 4416가구의 1세 이상 국민 1만여 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여성 흡연율 20대가 가장 높아
연령대별 여성 흡연율을 조사한 결과 20대가 가장 높은 흡연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대 들어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빠르게 상승하고 임신출산율이 떨어지면서 반대로 흡연율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18일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소식지인 '금연정책포럼' 최근호(9월호)에 실린 '여성 흡연의 현황과 정책방향'을 보
20대 여성 10명 중 1명꼴로 흡연을 하고 있어 전체 연령대 중 흡연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 연령대를 아우르는 여성 흡연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4분의 1 수준으로 낮은 편이지만 젊은 여성들의 흡연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추후 여성 흡연율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18일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의 소식지인 '금연정책포럼' 최근호(9
음료 섭취량 1위
'음료 섭취량 1위'가 화제다.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건강영양조사과 김양하 연구원이 18일 공개한 '우리나라 음료와 주류 섭취량 추이'에 따르면 제5기(2010~2012년) 국민건강영향조사 식품섭취에서 탄산음료(41.7g)는 음료 섭취량 1위를 차지했다. 음료 섭취량 2위는 커피음료(38.7g)였다. 3위는 차, 4위는 과일 및 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