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이 지난해 매출액 7조592억 원, 영업이익 622억 원, 당기순손실 4785억 원을 기록했다고 10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국제 여객 수요 회복으로 전년 대비 8.1% 늘어난 7조592억 원이었다. 창립 이래 사상 최대다. 다만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84.5% 감소한 662억 원을 기록했다.
인천항만공사가 올해 컨테이너 물동량 360만TEU를 달성해 3년 연속 최대 컨테이너 물동량에 도전한다. 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은 연내 착공한다.
이경규 인천항만공사 사장은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공사는 지난해 미ㆍ중 무역분쟁 등 계속되는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속에서도
컨테이너 3
인천국제공항이 내년 개항 이래 최대 국제 여객과 매출을 기록해 제2의 도약에 나선다.
21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올해 코로나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나 여객과 운항실적 등이 2919년 수준으로 회복됐으며 내년에는 역대 최대 규모의 국제 여객과 매출을 기록할 전망이다.
올해 여객과 운항 실적 추정치는 각각 7123만 명과 41만3000회로 코로나 이
대신증권은 20일 대한항공에 대해 불안정한 정국과 높은 환율에도 최근 국제여객수요 견조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했다. 목표주가는 전과 같은 3만3000원을 제시했다.
양지환 대신증권 연구원은 "계엄 및 대통령 탄핵, 그리고 미 FOMC의 매파적 발언 등으로 환율이 치솟고 있지만, 예상보다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여객 수요는 견조한
iM증권은 4일 델타항공에 대해 높은 여객 수요 등의 영향으로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주주환원도 강화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분석했다.
델타항공은 미국의 글로벌 1위 규모의 항공사로 국제여객, 국내여객, 화물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3분기 누적 기준 매출 구성으로는 여객(83%), 화물(12%), 기타(16%)로 구성돼있다.
배세호 iM증권
EC 기업결합 심사 최종 승인2020년 11월 이후 4년 만 결합마일리지 통합 등 과제도 남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 심사를 최종 승인하면서 글로벌 10위권 ‘메가 케리어(초대형 항공사)’가 탄생했다. 2020년 11월 이후 4년여 만에 합병을 마무리한 대한항공은 연내 아시아나항공의 지분 인수 과정을 거쳐 합병 작업
매출액 4조2408억 원·영업익 6186억원전년 대비 매출액 10%·영업익 19%↑성수기 노선 확대·화물 유치 노력합병 이후 세계 10위권 ‘메가 캐리어’
대한항공의 올해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0% 이상 증가하며 ‘호실적’을 보였다. 올해 내내 견조한 실적을 이어간 대한항공은 연내 ‘메가 캐리어(초대형 항공사)’ 출범도 앞두고 있다
항공업계 성수기였던 3분기 실적 개선 전망코로나19 이전 여객 수요 완전히 회복대한항공 영업익 전년 대비 11.25%↑전망4분기 유가 하락 효과 반영되며 호실적 이어갈 듯
고환율과 연료비, 인건비 상승 등으로 2분기 부진한 실적을 거둔 항공업계가 3분기에는 호실적을 기록할 전망이다. 항공업계의 성수기로 꼽히는 3분기에 국제선 여객 수가 코로나19 이전 수
iM증권은 14일 대한항공에 대해 견조한 실적 속에서도 아시아나항공 인수 이후 경영 방향성 등 불확실성이 주가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목표주가(3만1000원)와 투자의견(‘매수’)은 유지했다.
배세호 iM증권 연구원은 “대한항공의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대비 8.2% 증가한 4조6000원, 영업이익은 14% 늘어난 61
국내에서 처음으로 친환경 연료인 액화천연가스(LNG) 추진 크루즈선이 부산항에 입항한다. 정부는 이를 계기로 LNG 연료공급 인프라 확충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해양수산부와 문화체육관광부는 7일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크루즈 부두(초량동)에 5만4000톤급 LNG 추진 크루즈선 실버 노바(Silver Nova)가 입항한다고 6일 밝혔다.
실버 노바는 미
◇한전기술
꾸준한 성장으로의 한걸음
한전기술 2Q24 잠정 영업이익 132억원 (+23.4% YoY): 시장 기대 상회
원전 설계 매출의 증가에 따른 영업이익 개선세 유지
국내외 신규 원전 수주잔고 확보에 주목
정혜정 KB증권 연구원
◇에스엠
멀리 보는 사업자
중장기 성장을 위한 차별화된 시도
2Q24 Review: 중장기 성장을 위한 단기 희생
이화정
문화체육관광부와 해양수산부가 크루즈 관광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2027년까지 관광객 연 100만 명, 소비지출 연 2700억 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17일 문체부와 해수부에 따르면, 이번 방안은 지난 4월 양 부처의 전략적 인사 교류에 따른 협업과제의 일환이다. 연안 지역 경제 활력을 높이기 위해 문체부와 해수부가 인사 교류를
정부가 2027년까지 방한 크루즈 관광객 연 100만 명을 목표로 7대 기항지별 특색을 담은 테마브랜드를 구축한다. 또 내년 새만금신항 크루즈 부두와 묵호항 국제여객터미널을 착공한다.
해양수산부와 문화체육관광부는 17일 크루즈 관광을 통해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크루즈 관광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앞서 해수부와 문
한·중·일 해빙 무드에 한·중·일 크루즈도 활성화되는 모양새다.
15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국내 여행사들이 부산항을 모항으로 일본을 기항하는 크루즈 상품들을 잇달아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 부산항을 방문한 외국인 크루즈 관광객(약 14만 명)의 50% 이상이 일본인이었다.
특히 한·일은 2015년 10월 가나자와, 사카이미나토, 후쿠오카, 마이즈루와
분기 기준 최대 매출액 1조6330억 원 기록영업익 –312억 원…비용 증가로 적자 전환
아시아나항공이 지난 1분기에 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 적자를 기록했다.
아시아나항공은 16일 공시를 통해 별도재무제표 기준 올해 1분기 매출액 1조6330억 원, 영업이익 312억 원 적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당기순이익
KB증권은 9일 대한항공에 대해 ‘예상보다 빠르게 안정되는 화물 운임’이라며 ‘매수’를 추천했다. 목표주가는 3만2000원을 유지했다.
강성진 KB증권 연구원은 “1분기 대한항공의 별도 영업이익은 4361억 원으로 5.1% 증가했다”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4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별도기준 영업이익보다 537억 원 많았음을 단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종합 건자재 기업 현대L&C는 인천국제공항(이하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확장사업에 강화 천연석(엔지니어드 스톤) '칸스톤'을 공급한다고 6일 밝혔다.
인천공항은 올해 하반기까지 국제 여객 기준 1억 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동북아 1위, 세계 3위 규모의 공항 인프라 확보를 목표로 총 4단계의 건설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최종
대신증권은 16일 진에어에 대해 1분기 깜짝 실적이 예상된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목표주가도 전과 같은 1만7500원을 유지했다.
양지환 대신증권 연구원은 "진에어의 1분기 실적은 시장 컨센서스를 웃도는 호실적으로 전망한다"며 "겨울철 성수기를 맞아 동남아 노선의 수요 증가와 엔저에 따른 일본 노선의 호황이 지속된 영향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