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사이언스는 글로벌 감염병 위기에 대응하고자 세계보건기구(WHO)가 주관한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 국제표준물질 확립을 위한 공동 연구’에 유일한 민간 기업으로 참여해 프로젝트를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WHO는 지난해 10월 SARS 바이러스 국제표준물질을 공표했으며, SK바이오사이언스는 면역원성 분석 연구를 진행하는
랩지노믹스는 15일 배란 및 임신 진단을 위한 신제품 ‘디데이 체크(D-Day Check)’와 ‘원더 베이비 체크(Wonder Baby Check)’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두 제품은 배란일과 임신 여부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주는 개인용 체외진단의료기기다.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Immunochromatographic
랩지노믹스는 식약처로부터 유전적으로 알츠하이머에 걸릴 위험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중합효소연쇄반응(PCR) 키트에 대한 국내 사용승인을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
9월에 출시한 강직성 척추염·베체트병 진단 PCR 키트 2종에 이어 2달 만에 신규 PCR 키트를 출시하면서 PCR 진단 영역을 점점 넓혀 나가고 있다.
이번에 사용승인을 획득한 ‘LabG
랩지노믹스는 식약처로부터 유전적으로 알츠하이머에 걸릴 위험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PCR(중합효소연쇄반응) 키트에 대한 국내 사용승인을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
지난 9월에 출시한 강직성 척추염·베체트병 진단 PCR 키트 2종에 이어 2달만에 신규 PCR 키트를 출시하면서 PCR 진단 영역을 점점 넓혀 나가고 있다.
이번에 사용승인을 획득한 ‘La
정부가 올해 소재·부품·장비의 품질과 성능 측정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물질을 개발하고 보급·유통 체계 구축을 위해 120억 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상용표준물질개발보급사업'의 2020년도 신규 지원 과제를 공고했다.
표준물질은 개발된 소재의 성분, 특성 등을 평가·확인하거나 분석기기를 교정
표준전문가 양성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것은 내년 국가 예산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정부는 내년 국가표준기술 개발과 보급을 위해 역대 최대 규모 예산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국가표준기술개발 및 보급’ 관련 정부 예산을 478억 원으로 편성, 역대 최대 예산 규모로 제안했다. 올해 305억 원과 비교하면 약 56.7%나
표준물질 산업 활성화를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10~13일 대전 유성구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제42회 국제표준물질위원회(ISO/REMCO)' 총회를 열었다. 표준물질위원회는 표준물질 관련 국제표준을 제정하는 위원회로, 정회원국 33개국과 준회원국 38개국으로 이뤄졌다. 표준물질은 측정 기구를 교정하거나 물질의 조성·특성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이 플라스틱 제품, 토양, 페인트 등에서 환경유해물질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표준물질을 국내최초로 개발하고 국제인증을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자동차·가전·완구 등 플라스틱 제품속에 함유돼 있는 프탈레이트 가소제, 토양속 석면, 페인트 중금속은 현재 국내와 해외에서 환경유해물질로 분류돼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들 환경유해물질의 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하 평가원)은 장티푸스 백신 표준품을 생물의약품 국가표준품으로 확인ㆍ등록하고, 앞으로 국가검정 및 제조사의 자사 품질관리에 이용할 수 있도록 다음달부터 신규 분양한다고 30일 밝혔다.
표준품은 국내에서 생산된 원액 속에 들어 있는 바이러스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기준 역할을 한다.
평가원에 따르면 현재, 장티푸스를 예방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