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온이 일각에서 제기한 관리종목 지정 우려에 대해 일축했다.
14일 에이비온 관계자는 “지난해 부진한 실적으로 관리종목 지정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며 “당사는 기술특례상장기업으로 분류돼 올해까지 매출액 미달에 따른 관리종목 지정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 초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상장폐지제도 개선방안에 따라 2027년부터 매
인공지능(AI) 기반 진단기업 노을이 본격적인 사업 성과 창출에 나선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시장 침투에 속도를 내고, 독보적인 기술력을 기반으로 실적을 확대해 기업가치를 끌어올릴 계획이다.
임찬양 노을 대표는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간담회를 열고 “우리의 기술이 완성돼 외형 성장을 위한 준비가 완료됐다”라면서 “시장 기대치를 충족
반도체 팹리스 기업 파두가 지난해 적자 확대에 약세다.
12일 오전 9시 34분 기준 파두는 전일보다 4.88%(720원) 내린 1만4040원에 거래 중이다. 개장 직후 1만3000원 중반까지 7% 넘게 급락하기도 했다.
파두는 지난해 연결 영업손실이 950억 원으로 전년 대비 적자를 지속했다고 밝혔다. 이 기간 순손실도 915억 원으로 적자 규모는
S2W, 6~8월 상장 목표로 IPO 추진공공·보안 분야 넘어 "빅테이터 AI 기업" 목표
보안 기업 S2W가 올해 6~8월을 목표로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을 추진한다. 보안 분야를 넘어 제조·금융·유통 등 산업의 빅데이터 인공지능(AI)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계획이다.
서상덕 S2W 대표는 11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안
부동산 상승기에 급성장한 프롭테크 기업들이 새 먹거리 찾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장 침체로 성장 동력이 약해지고 수익성도 악화했기 때문이다. 불황을 타개할 신규 사업모델 마련과 함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30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직방은 최근 AI 탑재 스마트도어록 ‘헤이븐’(Haven)을 출시했다. 2022년 삼성SDS 홈Io
오영주 장관, 제약바이오벤처 혁신생태계 조성 위한 현장 의견 청취
오랜 투자와 인내가 필요한 제약 분야 바이오벤처 생태계가 활성화되려면 지속적인 투자가 가능한 투자 환경 조성이 강화돼야 한다는 현장 목소리가 나왔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6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 누리볼룸에서 오영주 장관 주재로 ‘제약바이오벤처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
팅크웨어가 안정적으로 BMW와 공급 계약을 이어가면서 글로벌 공략에 성과를 내고 있다.
15일 블랙박스 업계에 따르면 팅크웨어는 올해도 462억 원 규모로 BMW 글로벌향 블랙박스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2023년 매출액(4206억 원) 대비 10.97% 수준으로 팅크웨어의 해외 매출을 든든하게 뒷받침할 전망이다.
팅크웨어는 2021년 12월부터 B
인공지능(AI) 최적화 기술 전문 기업 노타는 자사의 지능형 교통 체계 시스템(ITS)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최상급’ 성적을 획득했다고 3일 밝혔다. 노타는 최근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에서 ‘A, A’ 등급을 달성한 것에 이어 차별화된 AI 최적화 기술력을 잇달아 입증했다.
국토교통부 주관 스마트교차로 시스템 기본 성능 평가는 차량 감지 영상
한국거래소는 올해 증시 폐장일인 30일 코스닥지수가 지난해 말 대비 21.7% 하락한 678포인트(p)에 마감했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5년 중 가장 낮은 수치다. 앞서 코스닥은 2021년 1034p(+6.8%)→2022년 679p(-34.3%)→2023년 867p(+27.6%) 등을 기록했다.
일반서비스와 제약 업종은 각각 13.1%, 11.7%
제일약품(Jeil Pharmaceutical)의 관계사인 온코닉테라퓨틱스(Onconic Therapeutics)는 30일 보건복지부가 연구개발 능력과 글로벌 시장진출 역량을 갖춘 제약사를 대상으로 약가 우대, 세액공제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 '혁신형 제약기업'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지난 2012
다날의 계열사 비트코퍼레이션(비트)이 최근 나이스평가정보가 실시한 예비기술성평가 심사에서 A등급을, 기술신용평가(TCB)는 1등급을 획득했다고 30일 밝혔다.
예비기술성평가는 한국거래소를 통해 진행되는 기술성 평가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되며, 기업 상장 여부를 미리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이다. 기술신용평가는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에 금융서비스를
온코닉테라퓨틱스가 보건복지부가 연구개발 능력과 글로벌 시장진출 역량을 갖춘 제약사를 대상으로 약가 우대, 세액공제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 '혁신형 제약기업'으로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2012년부터 연구개발(R&D) 투자 비중이 일정 기준 이상이고, 신약 개발 실적이 뛰어난 기업들을 평가해
기술보증기금(기보)은 서울시와 융자와 서울형 연구개발(R&D) 지원사업을 연계해 서울시 중소벤처기업의 R&D 전주기를 지원하는 ‘서울형 BIRD(Bridge for Innovative R&D) 프로그램’을 도입ㆍ시행한다고 30일 밝혔다.
BIRD 프로그램은 보증과 출연을 연계해 R&D 전주기를 지원하고 중소기업 R&D의 실질적 성과 창출과 성공률 제고
한국IR협의회는 30일 이노스페이스에 대해 공급자 우위의 소형 발사체 시장 진입이 기대되며, 2025년 첫 상업 발사 성공 여부가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이노스페이스는 올 7월 코스닥 시장에 기술특례 방식으로 상장한 우주 로켓 발사 서비스 기업이다. 발사체를 제작하고 소형 위성을 우주 궤도로 운송하는 발사 서비스를 제공하며, 우주 산업 밸류체인 중 업스
디앤디파마텍·넥스트바이오메디컬 30% 이상 증가26일 상장 파인메딕스는 신규 상장 효과로 44%↑엑셀세라퓨틱스, 공모가 대비 -61.1%로 크게 감소 신약개발 기업은 2곳…상장 문턱 높아진 영향
올해 신규 상장한 바이오헬스 기업 19곳 중 6곳이 공모가를 상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나머지 13곳의 현재 주가(12월 27일 종가 기준)는 공모가 대비 감
네이버 D2SF가 투자한 인공지능(AI) 최적화 기업 ‘노타’가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에서 ‘A, A’ 등급을 획득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를 기반으로 코스닥 상장 절차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며, 내년 상반기 기업공개(IPO)가 목표다.
이번 기술성 평가에서 노타는 NICE평가정보와 한국기술신용평가 두 기관 모두로부
기술력은 있지만 이익을 못 내는 기업을 위해 마련된 제도인 ‘기술성장특례’를 통해 상장한 기업 수가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양’은 늘었지만 공모 시장 부진에 휩쓸려 수익률이 부진하며 ‘질’은 저하했다는 평가를 받는 가운데, 전문가는 현재의 수익성이 아닌 미래를 보고 투자해야 한다고 분석한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기술성장특례로
한국거래소가 코스닥 시장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부실한 기업에 대한 구체적인 상장폐지 기준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강상묵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부 차장은 3일 서울 동대문구 서울바이오허브 글로벌센터에서 열린 ‘2024 서울 바이오·의료 오픈콜라보’에서 ‘찾아가는 기술특례상장 설명회’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은 방안을 소개했다.
이날 발표는 바이오기업의
내년 상반기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추진 중인 빅텍스는 최근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다고 2일 밝혔다. 2000년부터 이산화탄소를 활용한 친환경 사업을 영위한 빅텍스는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 역량으로 탄소포집 설비 도입부터 이를 액화하고 활용하는 CCU 전주기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다.
오스코텍과 소액주주연대가 최근 불거진 자회사 제노스코의 ‘쪼개기 상장’ 논란과 관련해 대립했다. 회사는 제노스코의 투자유치를 위해 상장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소액주주연대는 외부와 손잡고 주주들의 실력을 행사하겠다고 밝혔다.
오스코텍은 25일 서울 여의도 FKI 타워에서 ‘R&D 소개 및 주요 경영현황 이해 증진’을 위한 기업설명회(IR)를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