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대행사로부터 수주 청탁 대가로 수천만 원을 받은 혐의로 기소된 백복인(52ㆍ사진) KT&G 사장이 1심에서 무죄를 받으면서 KT&G가 수출과 신제품 출시로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박차를 가할지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형사23부(부장 현용선)는 지난 2일 배임수재 등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백 사장에게 무죄를 선고했
영국의 담배회사인 브리티시아메리칸타바코(BAT)가 미국 담배회사인 레이놀즈아메리칸을 인수한다고 1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인수가 완료되면 BAT는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을 제치고 세계 최대 담배회사에 등극한다.
WSJ에 따르면 이미 레이놀즈의 지분 42.2%를 가진 BAT는 나머지 지분 57.8%를 494억 달러(약 58조3364
키움증권은 22일 KT&G의 최근 주가 조정에 대해 배당수익률 매력이 확대됐고, 우려 요인은 비교적 단기적인 이슈로 판단된다며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14만4000원을 유지했다.
박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흡연율 회복 효과 둔화로 4분기 국내 담배 총 수요 성장률은 3분기 대비 다소 하락할 것”이라며 “다만, KT&G의 국내 담배 시장점유율이 상승
정부가 지난해 초 담뱃값을 올리며 금연 정책을 펴왔지만 국내 담배 판매량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담뱃세 인상에 따라 세수만 늘어난 셈이다.
20일 시장조사기관 닐슨(Nielson)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담배 판매량은 353억969만1400개비로 지난해 상반기 판매량 310억679만6000개비보다 약 14% 증가했다.
월별 판매
최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한국형 답뱃갑 경고그림이 지나치게 혐오스럽고 자극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내 최대 흡연자 커뮤니티인 ‘아이러브스모킹’(www.ilovesmoking.co.kr)은 7일 “지나치게 혐오스러운 이미지 사용은 국민건강증진법의 법 취지에 어긋난다”며 “전국민을 시각폭력에 시달리게 하는 한국형 경고그림을 즉각 수정하라”고 주장했다.
올해 초 담뱃값이 인상된 후 세금은 전년대비 약 4조3000억원 증가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반면 담뱃값 인상에 따른 흡연 감소 효과는 정부가 예상했던 것보다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담뱃값 인상이 세수만 늘렸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7일 한국납세자연맹이 한국담배협회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담배 판매량은 12월 말 누계 기준으로 33억300
그동안 논란이 이어져 온 담뱃값 경고그림이 내년 12월부터 국내에서 판매되는 담뱃갑에도 도입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국민건강증진법 시행령 개정안을 마련하고 오는 12일부터 11월 21일까지 입법예고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국민건강증진법' 일부개정에 따라 담뱃갑 경고그림 표시 등에 대한 세부 사항을 규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개정안에
국회는 11일 공무원연금법 개정안을 포함해 지난달 본회의를 통과한 법률안 58건을 정부에 이송했다.
그러나 박근혜 대통령이 거부권 행사를 시사했던 정부 시행령의 국회 수정권한을 강화한 국회법 개정안은 일단 이송을 연기했다. 당초 정의화 국회의장은 이날 국회법 개정안을 정부에 이송하겠다는 방침이었으나, 강제성을 낮추도록 문구를 조정한 중재안을 야당에서 수용하
담뱃값 경고그림 의무화가 담긴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안이 29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앞으로 담배 판매 감소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개정안에는 담배 제조사가 담뱃값 앞뒷면 면적의 50% 이상을 경고 그림과 경고 문구로 채워야 하고, 이 가운데 경고 그림의 비율이 30%를 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를 위반하면 담배 제조사는 1년 이하의 징역이나
담뱃갑 경고그림을 넣는 의무화 움직임이 속도를 내고 있다.
8일 보건복지부와 국회에 따르면 보건복지위원회는 2월 임시국회에서 10~11일 법안심사소위원회를 열어 흡연경고그림 도입과 금연구역 확대, 건강증진기금의 금연사업목적 사용 명문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국민건강증진법을 안건으로 본격 심의한다.
보건복지위는 흡연경고그림 게시 의무화 방안이 법안소
흡연의 폐해를 생생히 알 수 있는 경고그림이 올 상반기에 도입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상반기 중으로 흡연경고그림을 도입하고, 당구장 등으로 금연구역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경고그림은 도입 추진은 지난해 말 예산국회에서 예산 부수법안에 포함돼 국회 본회의 통과 직전까지 갔었지만 막판에 빠지면서 무산됐다.
하지만 복지부는 올해 들어
새해 들어 보건소의 금연클리닉에 등록한 사람이 3배 이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연에 나선 이들이 훌쩍 늘은 데엔 담뱃세 인상과 금연구역 확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8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1~6일 전국 보건소의 금연클리닉 등록자는 3만6725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만1645명보다 3.15배 늘었다.
복지부는 전국 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