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성장 기회를 찾아야 합니다. 특히 AI가 제약‧바이오 산업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임정수 맥킨지 앤 컴퍼니 파트너는 25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 ST센터에서 열린 ‘2025년 다이나믹바이 워크숍’에서 ‘바이오의약산업의 새로운 도약과 무한한 기회’를 주제로 강연하며 이같이 말했다.
제약‧바이오 산업
셀트리온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테키마’(성분명 우스테키누맙)를 미국 대형 유통업체인 코스트코에서 판매한다. 스테키마 미국 출시 후 약 2주 만의 성과다. 앞서 셀트리온은 이달 12일(현지시간) 스테키마를 오리지널 제품의 도매가격에서 85% 할인해 출시했다.
셀트리온은 22일(현지시간) 미국 내 3위 규모 유통업체인 코스트코의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
삼성 E&A는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 싸토리우스 코리아오퍼레이션스와 5186억 원 규모의 '싸토리우스 송도 캠퍼스 프로젝트' 본공사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플랜트는 인천 송도 자유경제구역에 건설되는 바이오 제약의 원부자재 생산·연구시설이다. 완공 시 바이오 의약품 생산용 일회용 백, 제약용 멤브레인 필터, 세포 배양 배지를 생산하며 비임상
지난해 매출 약 4조5000억 원 중 65%가 유럽 유럽, 두 번째로 큰 시장…상위 제약사 다수 포진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지난해 유럽에서 매출 3조 원을 기록했다. 유럽은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제약‧바이오 시장으로 글로벌 제약사들이 공략하는 중요한 지역이다. 회사는 이곳에서 최근 4년간 매출이 6배 가까이 증가했고,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차바이오텍(CHA Biotech)의 자회사인 마티카바이오랩스(Matica Biolabs)는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주관 ‘2025년 CMC 전략컨설팅’ 지원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이에 따라 마티카바이오랩스는 세포·유전자치료제(CGT)를 개발하고 있는 제약·바이오 기업을 대상으로 ▲제조공정 최적화 ▲제형 개발 ▲공정개발 및 CDM
첨단바이오의약품 CDMO 및 신약개발 전문기업 이엔셀(ENCell)은 지난 13일(현지시간) 프랑스 툴루즈에서 개최된 국제근감소증학회(International Conference on Frailty and Sarcopenia Research, ICFSR 2025)에 참석해 중간엽줄기세포(MSC) 치료제 후보물질 'EN001'의 근감소증 비임상 연구결과를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가 세계적 권위의 위탁생산개발(CDMO) 시상식인 ‘CDMO 리더십 어워즈(Leadership Awards)’에서 국내기업 최초로 12년 연속 수상했다고 20일 밝혔다.
CDMO 리더십 어워즈는 제약바이오 산업 연구기관인 '아웃소스파마(Outsourced Pharma)'와 생명과학 분야 전문지 '라이프사이언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세계적 권위의 위탁생산개발(CDMO) 시상식인 ‘CDMO 리더십 어워즈(Leadership Awards)’에서 국내 기업 최초로 12년 연속 수상했다고 20일 밝혔다.
CDMO 리더십 어워즈는 제약바이오 산업 연구기관인 아웃소스파마와 생명과학 분야 전문지 라이프사이언스커넥트가 공동 주관하는 글로벌 시상식이다. 해당 기업과 실제로 협력한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는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 연세대약학와 상생기부 협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19일 오전 인천 송도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플라자에서 열린 이번 협약식에는 김동중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생협력센터장(부사장), 장판식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 학장, 김익연 연세대 약학대학 학장 등 삼성바이오로직스와 각 대학 주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연세대학교 약학대학과 상생 기부 협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날 오전 열린 협약식에는 김동중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생협력센터장(부사장), 장판식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 학장, 김익연 연세대 약학대학 학장 등 삼성바이오로직스와 각 대학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앞서 고객사 아스트라제네카와
삼성바이오에피스가 한미약품과 골다공증 치료제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프로젝트명 SB16‧성분명 데노수맙)의 국내 출시를 위한 공동 판매 협약 체결식을 진행했다고 19일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개발사로 제품의 생산 및 공급을 담당하고 국내 마케팅 및 영업 활동은 양사가 함께 맡는다. 현재 국내에서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허가 절차를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는 지난 18일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과 한미약품 본사 파크홀에서 골다공증 치료제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프로젝트명: SB16, 성분명: 데노수맙)의 국내 출시를 위한 공동판매 협약 체결식을 진행했다고 19일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의 개발사로서 제품의 생산 및 공
대웅제약(Daewoong)은 셀트리온제약(Celltrion Pharm)의 골다공증 치료제 ‘스토보클로(성분명: 데노수맙)’를 국내 시장에 공식 출시했다고 19일 밝혔다.
스토보클로는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인 ‘프롤리아(Prolia, denosumab)’의 국내 1호 바이오시밀러로, 뼈를 파괴하는 파골세포(osteoclast)의 활성을 억제해 골흡수를 막
지난해 역대급 매출을 기록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직원들의 평균 연봉이 1억 원을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바이오로직스 직원 총 5011명의 1인 평균 급여액이 1억700만 원이었다. 2023년 9900만 원 대비 약 8% 증가했다. 평균 근속연수는 5.2년이다. 셀트리온은 2901명 근로자의 1인
연어 부산물로 화장품과 건강기능식품 상품화에 성공했다. 수입대체 효과도 기대된다.
해양수산부는 수산부산물을 활용한 바이오의약품과 기능성 화장품을 상용화해 국내 백화점과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50만 달러 수준의 수출계약까지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해수부는 생선의 머리, 해조류 뿌리 등 수산부산물 고부가가치 상품화를 위한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산업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올해 4월 완공되는 5공장과 신규 모달리티(치료 접근법) 확대를 통해 새로운 도약의 원년으로 삼고 ‘제2바이오 캠퍼스’ 시대를 연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14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지난해 국제 정세가 급변하는 등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우수한 실적을 기록하며 성장을 이어갔다”며 “올해는 4월
이엔셀(ENCell)은 13일 지난해 누적 매출액이 72억원으로 전년 대비 31.51% 감소했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영업손실은 157억원으로 전년 대비 33.42% 손실이 증가했다.
이엔셀은 최근 1~2년간 지속돼온 바이오업계 투자심리 위축에 따른 고객사들의 신약 임상시험 일정 연기 및 의료파업 장기화에 따라 의료현장에서 임상시험의 정상적인 진행이 어려워
이엔셀이 지난해 누적 매출 72억 원을 기록했다고 13일 공시했다. 전년 대비 31.5% 감소한 수치다. 주요 매출은 위탁개발생산(CDMO) 고객사의 세포유전자치료제(CGT) 임상시험용 의약품 위탁생산에서 발생한다.
회사 측은 작년 12월 글로벌 제약사와의 신규 계약과 국내 첨단바이오의약품 기업들로부터 수주가 이어져, 하반기부터 매출이 정상화될 것으로
국내 바이오기업들이 개발 중인 키메릭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치료제 파이프라인이 상업화에 임박했다. CAR-T 치료제는 초고가 의약품이며 국내 환자들이 고려할 수 있는 선택지도 많지 않아, 후발 주자의 등장 가능성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1일 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국내 기업 가운데 큐로셀과 앱클론이 CAR-T 치료제 상용화에 속도를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 싸토리우스코리아바이오텍은 자체 연구소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내 최초로 바이오의약품 원료물질 제조소 GMP(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인증을 획득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인증은 식약처가 바이오의약품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국산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마련한 인증제도를 통해 바이오의약품 원료물질 제조업체가 GMP 인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