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계 외화채권이 역대 최대 규모의 연간 발행액을 기록했다. 이 증가세가 내년에도 이어져 한국계 외화채권이 아시아 외화채 발행의 최대 공급처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28일 국제금융센터가 발간한 ‘2024년 한국계 외화채권 발행시장 전망’에 따르면 올해 한국계 외화채권 발행 규모는 19일 기준 530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4
한국금융지주 자회사 한국투자증권은 200억엔 규모의 사무라이채권 발행에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사무라이채권은 일본 채권시장에서 외국 기업이나 정부가 발행하는 엔화표시 채권이다.
이번에 발행한 사무라이채권은 1년과 1.5년, 2년, 3년 만기 각각 63억, 16억, 61억, 60억 엔 규모이고, SMBC은행 보증부를 포함하여 총 5개 트렌치 구조로
지난주 일본 엔화 환율이 심리적 마지노선인 달러당 150엔을 돌파했다. 엔화 가치가 32년 만의 최저 수준으로 하락한 셈이다. 150엔 선을 넘은 것은 버블 경제 막바지였던 1990년 9월 이후 처음이다. 이에 엔저로 발생한 초저금리 기조를 피하려는 일본계 자금이 비교적 높은 금리를 주는 한국 자본·금융시장으로 유입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됐다.
◇“가
사무라이채권은 일본 채권시장에서 외국 기업이나 정부가 발행하는 엔화표시 채권이다.
신한은행은 한국계 금융기관 최초로 사무라이채권을 ESG 채권으로 발행해 G3 통화(달러화, 엔화, 유로화)를 ESG 채권으로 모두 발행한 유일한 한국계 기관이 됐다.
사무라이 채권의 금리와 만기는 엔화 기준 0.87%(만기 2년), 0.98%(만기 3년), 1.33%(만
산업은행은 28일 일본시장에서 총 500억엔(약 5000억원) 규모의 사무라이채권 발행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사무라이채권 발행은 2014년 10월 이후 약 4년 만이다.
사무라이채권은 비(非)거주자가 일본시장에서 엔화표시로 발행하는 채권이다. 이번에 발행된 사무라이채권의 만기는 3년, 발행금리는 고정금리 0.23%(사무라이채권 시장 기준금리 YSO +
그리스 국민투표가 채권단 제안 거부를 의미하는 ‘반대’로 결과가 나온 가운데 그리스 정부의 사무라이채권(엔화 표시 채권) 상환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최근 그리스가 사무라이 채권을 상환하지 못하면 금융시장에 혼란이 초래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만기가 임박한 사무라이 채권은 지난 1995년 7월 발행된 만기 20년의 엔화 표시
부산은행은 총 200억엔(약 1800억원) 규모의 사무라이채권을 2015년 중 금융권 최초로 발행하는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발행된 사무라이채권은 3년 만기이며 채권 발행금리는 엔화스왑금리에 0.42%를 가산한 0.65%의 고정금리로 결정됐다.
발행대금은 이달 16일 입금 예정으로 만기도래 외화자금 차환에 사용할 계획이며, 채권 발행 주간사는
신한은행은 일본 채권시장에서 엔화 300억엔 규모의 사무라이본드 공모발행에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에 발행된 사무라이본드는 만기별로 △2년물 200억엔 0.32% △3년물 100억엔 0.39%이며 국내 시중은행 발행 사무라이본드 중 역대 최저금리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최근 미국의 양적완화 종료 및 유로존의 경기침체 등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
KDB산업은행은 394억엔(3억3000만달러 상당)의 사무라이본드를 발행했다고 19일 밝혔다. 사무라이본드는 외국 기업과 정부가 일본 자본시장에서 발행하는 엔화표시 채권이다.
이번에 발행된 사무라이본드는 2년물 101억엔과 3년물 248억엔이다. 표면금리는 2년물 0.28%, 3년물 0.35%다. 엔스왑금리(YSO) 대비 만기별 스프레드는 각각 7bp와
포스코가 내달 말경 6000억원 규모의 영구채권을 발행한다.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6월 말쯤 특정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6000억원 규모의 만기 30년짜리 영구채권(원화채)을 발행할 계획이다.
영구채는 만기가 없어 자본으로 인정되는 신종자본증권으로 포스코가 진행 중인 재무구조 개선에 크게 일조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특
우리은행은 30일 300억엔 규모의 사무라이채권 발행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1년 500억엔 데뷔딜을 시작으로 지난해 7월 200억엔에 이은 세 번째다.
이번에 발행한 사무라이 채권은 만기 2년물 243억엔, 3년물 57억엔으로 발행금리는 각각 0.77%, 0.87%의 고정금리다. 지금까지 발행된 국내 시중은행 사무라이 채권 중 최저 금리다.
프랑스 2위 은행인 소시에테제네랄(SG)이 4년 만에 사무라이 본드를 발행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SG는 700억 엔 규모의 사무라이 본드를 발행했다.
2년물은 엔화 스왑금리보다 60bp(1bp=0.01%) 높은 0.9%의 금리로 238억 엔 어치를 발행했다.
3년물은 70bp 높은 1%에 397억 엔 어치를 발행했다.
하나은행은 26일 엔화 300억엔 규모(4400억원)의 사무라이채권을 발행했다.
이번에 발행된 채권의 금리는 2년 만기로 엔화 스왑금리에 0.92%를 가산한 1.27%에서 결정됐다. 이는 국책은행을 제외하고는 올해 한국계 은행이 발행한 사무라이채권 중 최저 수준의 가산금리와 쿠폰금리로 발행된 것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이번 성공적인 발행은 일본 투자자
부산은행은 19일 총 247억엔 규모의 사무라이채권을 발행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만기별 발행금액은 1.5년물 160억엔, 2년물 52억엔, 3년물 35억엔으로 각각 1.49%, 1.53%, 1.63%의 고정금리로 결정됐다.
발행대금은 오는 27일 입금 예정으로 만기도래 자금 차환에 사용할 계획이며, 채권 발행 주간사는 다이와, 미즈호, SMBC NI
포스코는 14일 3년, 5년 만기 사무라이채권을 발행해 414억엔을 성공적으로 조달했다고 밝혔다. 포스코의 최근 사무라이채권 발행 시점은 2006년으로, 5년 만에 포스코가 사무라이채권 시장에 다시 진출했다.
포스코 사무라이본드는 3년 만기 300억엔, 5년 만기 114억엔 규모로 각각 엔화스왑금리 대비 125bp, 150bp를 가산한 수준에 발행됐다.
우리은행은 사무라이채권 발행을 통해 500억엔(원화환산 6800억원) 외화차입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발행 규모는 만기 1년물 209억엔, 1년6개월 26억엔, 2년물 265억엔 등으로 각각 일본 기준금리(엔 리보)에 115bp, 125bp, 135bp가 가산된 조건이다.
최승남 우리은행 자금시장본부 부행장은 “유로존 재정우려 등으로 국제
하나은행은 300억엔 규모로 첫번째 사무라이채권을 성공적으로 발행했다고 8일 밝혔다.
발행금리는 220억엔이 15개월 만기로 엔화 스왑금리에 1.10%를 가산한 1.54%, 80억엔이 2년 만기로 엔화 스왑금리에 1.25% 가산한 1.69%에서 결정됐다.
특히 국책은행을 제외하고는 최근 시중은행 발행 금리 중 최저 수준으로 발행돼 향후 사무라이
국내 은행들이 해외 시장 여건이 개선되면서 해외채권 발행에 나서고 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지난 2월 해외시장에서 3억5000만 달러 규모의 미 달러화 표시 채권을 발행했다.
산업은행은 미국 뉴욕시장에서 7억55000만 달러 규모의 미 달러화 표시 채권을 발행해 달러를 조달했으며 수출입은행도 미국 등 해외 투자자를 대상으로 10
국민은행이 시중은행 최초로 일본 사무라이 채권 공모 발행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국민은행이 발행한 채권의 총 발행금액은 244억엔이며, 만기는 2년이다. 고정 및 변동금리 두 가지 조건으로 발행되어 고정금리 기준으로 연 2.60% 수준이다.
발행 주간사는 미즈호증권, BNP 및 JP Morgan 3개 증권회사가 담당했다.
이번 채권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