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자산운용 ETF·펀드플랫폼인 ‘FunETF’는 ‘차곡차곡 KODEX 모으기’ 이벤트 2종을 다음 달 31일까지 진행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FunETF 가입 회원 대상으로 실시하며, 장기적으로 검증된 미국 대표지수 상장지수펀드(ETF)를 보다 손쉽고 꾸준하게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과
삼성자산운용은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가 25일 상장한다고 밝혔다.
이 상품은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에 투자하면서 옵션을 활용해 아웃컴 기간 종료일 기준 약 10% 수준의 하락을 완충(달러 기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P다우존스가 지난해 9월 발표한 ‘S&P500 10% 버퍼 인덱스 시리즈’
삼성자산운용은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이 2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3월 상장 이후 약 1년 만이다.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ETF는 국내 인프라 자산과 상장 리츠에 분산 투자하는 월분배형 상품이다. ‘KRX부동산리츠인프라 지수’를 추종하면서 맥쿼리인프라(24.9%), SK리츠(
6위 키움운용→한화운용으로 지각변동상위권 자산운용사도 점유율 전쟁1위 삼성운용, 3위 한투운용 ‘자리 굳히기’
상장지수펀드(ETF)를 운용하는 중위권 자산운용사의 시장점유율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상위권 자산운용사를 중심으로 벌어지던 ETF 시장 내 점유율 전쟁이 중위권 운용사로도 번지는 양상이다.
19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전날 기준 자산운용사
삼성자산운용은 ‘KODEX 골드선물(H) 상장지수펀드(ETF)’의 수익률이 연초 이후 13.4%를 달성했다고 19일 밝혔다. 1년 수익률은 33.5%, 5년 수익률은 66.6%를 기록했다.
KODEX 골드선물(H) ETF는 미국 뉴욕 상품거래소에 상장된 골드 선물지수인 ‘S&P GSCI Gold Index Total Return’을 기초지수로 추종한다.
삼성자산운용은 인공지능(AI) 핵심 기업에 투자하는 ‘삼성글로벌CoreAI목표전환형’ 펀드를 출시한다고 17일 밝혔다. 이 펀드는 AI 생태계 내 주요 산업에 집중 투자하면서 채권 비중을 안정적으로 유지해 투자 안정성을 높인 상품이다.
삼성글로벌CoreAI목표전환형 펀드는 채권과 AI 관련 주식으로 구성되며, 투자 비중은 채권 60%, 주식 40% 수준
삼성자산운용은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상장지수펀드(ETF)’의 올해 개인 누적 순매수가 1390억 원으로 전체 커버드콜 상품 39개(국내·해외 포함) 중 1위를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ETF는 코스피 200과 장내 파생상품을 이용해 국내 최초로 선보인 타겟커버드콜 ETF다. 지난해 연말 상장한 이후 두
삼성자산운용은 ‘삼성글로벌ChatAI’ 펀드 환노출(UH)형과 환헤지(H)형의 3개월 설정액이 각각 442억1000만 원, 417억 원으로 전체 글로벌주식형 펀드 189개 가운데 각각 1위, 2위를 차지했다고 13일 밝혔다. 같은 기간 ‘삼성글로벌메타버스’ 펀드 환노출(UH)형에도 233억1000만 원이 설정돼 4위를 기록했다.
삼성글로벌ChatAI 펀
삼성자산운용은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이 2조 원을 돌파해 2조65억 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이 상품은 CD1년물 하루치 금리를 매일 복리로 수익 반영을 하면서 동시에 코스피 200지수가 하루 1% 이상 상승 시 연 0.5%(연환산)의 하루치 수익을 추가로 지급한다.
기초자산으로 삼고 있는 CD1년물은
삼성자산운용은 회사의 대표 생애주기 펀드 ‘삼성한국형TDF2050(UH)’가 3년 수익률 42.6%를 달성해, 국내 타깃데이트펀드(TDF) 2050 빈티지(ETF 포함) 중 1위를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전체 TDF 2050 빈티지 평균 수익률 22.9%를 크게 웃돈 성과다.
TDF는 근로자 은퇴 시점에 맞춰 투자비중을 조절해 운용하는 ‘생애주기
삼성자산운용은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가 전체 커버드콜 ETF 36종 중 올해 개인 순매수 유입 규모 941억 원으로 1등을 기록 중이라고 26일 밝혔다. 순자산도 지난해 말 1324억 원에서 2개월여 만에 82%가량 증가한 2415억 원을 기록했다.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ETF는 2022년 9월 서학개미(미국
삼성자산운용은 최초로 선보인 국내 타겟커버드콜 상장지수펀드(ETF) 'KODEX 200타겟 위클리커버드콜 ETF' 순자산이 7영업일 만에 1000억 원 늘어나며 총 순자산 3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24일 밝혔다.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ETF는 코스피200을 활용한 국내 최초 타겟커버드콜 ETF로, 연 15% 프리미엄을 목표로 주 단위 콜옵
삼성자산운용은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에 투자하는 ‘KODEX 미국S&P500 상장지수펀드(ETF)’ 순자산이 1년 만에 4배 이상 성장하며 4조 원을 넘어섰다고 19일 밝혔다.
1년 전 7926억 원 수준이던 순자산이 405% 늘어나며 4조21억 원에 달한 것으로, 이는 순자산 1조 원 이상 주식형 ETF 18개 중에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삼성자산운용은 기존 ‘KODEX 미국반도체MV 상장지수펀드(ETF)’ 명칭을 ‘KODEX 미국반도체 ETF’로 변경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투자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상품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수사명을 제외한 것으로, 운용 전략과 기초지수는 그대로 유지된다.
KODEX 미국반도체 ETF는 미국에 상장된 대표적인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상장지수펀드(ETF) 점유율 상위 1ㆍ2위 자산운용사의 수수료 인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들이 ETF 총보수를 업계 최저 수준으로 앞다퉈 내리고 있어서다.
반면 중소형 자산운용사들은 시장을 선도해야 할 대형 자산운용사가 출혈경쟁으로 ETF 생태계 파괴를 자초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7일 삼성자산운용에 따르면 이날 ‘KODEX 미국S&P500 상
삼성자산운용은 지난달 31일 기준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상장지수펀드(ETF)’ 개인 순매수 규모가 242억 원으로 전체 ETF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고 3일 밝혔다.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순자산은 2696억 원으로 전력인프라에 투자하는 국내 ETF 7종 중 순자산 규모가 가장 크다. 누적 개인 순매수 금액은 1163억 원에 달한
삼성자산운용은 토탈리턴(TR)형 해외 상장지수펀드(ETF)를 24일에 분기 단위 분배금 지급형으로 조기 전환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결정으로 삼성자산운용의 TR형 해외 ETF 2종인 ‘KODEX 미국S&P500TR’과 ‘KODEX 미국나스닥100TR’은 24일 상품명에서 ‘TR’표기를 삭제한다. 또 올해 4월 말 기준으로 첫 분기 분배를 진행해 5월
삼성자산운용은 ‘KODEX 25-12 은행채(AAA)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가 지난해 9월 상장 후 76영업일 만에 순자산 1조 원을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KODEX 25-12 은행채(AAA)액티브 ETF는 만기가 올해 12월까지인 만기매칭형 채권 ETF이다. 특수은행과 시중은행에 분산 투자하는 ETF로, 최고 신용등급인 AAA급 은행채만 선
삼성자산운용은 KODEX 월배당형 상장지수펀드(ETF) 시리즈 24종의 순자산이 5조 원을 돌파했다고 16일 밝혔다. 지난해부터 개인투자자가 1조5231억 원가량 순매수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월배당 ETF는 매월 정기적으로 배당 수익을 제공해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상품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은퇴 후 정기적인 소득이 필요한 연
삼성자산운용은 ‘KODEX 미국서학개미 상장지수펀드(ETF)’가 최근 10영업일간 순자산이 2배 늘며 2000억 원을 넘겼다고 15일 밝혔다.
KODEX 미국서학개미 ETF는 미국 뉴욕거래소, 나스닥 거래소에 상장된 종목 중 한국예탁결제원 보관금액 상위 25개 기업을 매월 보관금액 기준으로 가중해 편입 비중을 정하고 있따. 매월 리밸런싱을 통해 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