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2년 국민이전계정' 발표...17세에 최대 적자0~27세까지는 적자, 28세부터 흑자, 61세부터 다시 적자
한국인은 28세부터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은 '흑자 주기'에 진입한 뒤 43세에 소득이 정점을 찍고 61세부터 다시 '적자 주기'에 접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생애에서 흑자를 기록한 구간은 33년에 불과했다.
통계청은 2
2021년 화폐가치를 기준으로 자녀 한 명을 키우는 데 2억8305만 원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비용은 이보다 많지만, 상당분은 무상보육 등 공공이전을 통해 조달됐다.
본지가 3일 통계청 ‘2021년 국민이전계정’을 분석한 결과,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적어 생애주기적자가 발생하는 0세부터 26세까지 1인당 총소비액(총비용)은 2021년 화폐가치 기준
우리나라 국민은 27세부터 노동 소득이 소비보다 많은 '흑자 인생'에 진입해 42세에 노동 소득 정점을 찍고, 61세부터는 소비가 노동 소득보다 많은 '적자 인생'에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0 국민이전계정'을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은 국민 전체의 연령별 소비와 노동소득에 대한 정보를 활용해 경제활동에 대한
우리 국민의 노동소득이 41세에 정점을 찍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후 소득이 감소해 60세부턴 생애소득이 '적자'로 전환됐다.
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국민이전계정 결과'에 따르면 2019년 생애주기적자는 전년보다 2.3% 늘어난 132조9000억 원이었다. 전(全) 생애 중 노동소득은 969조8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4.9% 증가했고, 소
우리 국민의 노동소득이 45세에 정점을 찍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후 소득이 감소해 59세부턴 생애소득이 ‘적자’로 전환됐다.
통계청은 7일 발표한 ‘2017년 국민이전계정’에서 2017년 생애주기적자(소비-노동소득) 총량값이 118조2000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유년층(0~14세)과 노년층(65세 이상)은 각각 135조7000억 원, 94조60
2017년 노년층(65세 이상)이 공공이전으로 보전받은 소득이 1년 전보다 9조7000억 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자녀로부터 받는 생활비 등 민간이전 순유입은 5조3000억 원 감소했다. 노년층에 대한 부양의무가 자녀 등 가정에서 사회·정부로 대체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통계청은 7일 발표한 '2017년 국민이전계정'에서 2017년 생애주기적자
2016년 기준으로 가정에서 지출하는 0~27세 양육비 합계가 2억8000만 원을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출의 3분의 1은 학원비와 대학 등록금 등 사교육비로 쓰였다.
통계청이 9일 발표한 ‘2016년 국민이전계정’에 따르면, 2016년 생애주기적자 총량값은 110조3000억 원으로 전년보다 1.6% 감소했다. 생애주기적자는 노동소득에서 공공·민간소
2016년 기준으로 가정에서 지출하는 0~27세 양육비 합계가 2억8000만 원을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출의 3분의 1은 학원비와 대학 등록금 등 사교육비로 쓰였다.
통계청이 9일 발표한 ‘2016년 국민이전계정’에 따르면, 2016년 생애주기적자 총량값은 110조3000억 원으로 전년보다 1.6% 감소했다. 생애주기적자는 노동소득에서 공공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한 순간부터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1인당 1000만 원 내외의 세금이 매년 교육·양육비로 지원된다. 여기까지만 보면 참으로 ‘애 낳기 좋은’ 나라다.
현실은 다르다. 6세부터 17세까지 연간 소비는 2000만 원을 훌쩍 넘는다. 국가가 부담하는 공공연령재배분을 제외한 나머지는 가구 내 순이전으로 충당된다. 이는 곧 부모의 부
노동소득에서 소비를 뺀 금액이 흑자인 연령은 29세부터 57세까지다. 달리 말하면 ‘쓰는 만큼 버는’ 기간이 생애 29년에 불과하다는 의미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15년 국민이전계정 개발 결과’에 따르면, 1인당 생애주기 적자·흑자 구조는 연령 증가에 따라 적자, 흑자, 적자가 차례로 발생했다. 국민이전계정에선 소비가 노동소득보다 크면 생애주
2015년 기준으로 정부 재정과 민간 이전으로 교육 및 보건 등에 112조8000억 원이 연령에 따라 재배분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5년 국민이전계정 개발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은 크게 연령별 ‘소비’와 ‘노동 소득’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생애주기적자 부분과 이들의 관계로부터 나타나는 흑자·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