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억 원대 시가총액에서 10조 원대로 코스닥 시가총액 3위까지 올라선 HLB. 앱클론을 두고 일각에서는 ‘제2의 HLB’로서, 주가 급등 초창기 때 신약 진행 상황과 매우 닮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23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앱클론이 기술 수출한 AC101은 현재 중국 상하이 헨리우스 바이오텍(이하 헨리우스)에서 임상 2상을 진행하고 있다.
앱
HLB생명과학은 재발성 또는 전이성 선양낭성암에 대한 ‘리보세라닙(rivoceranib)’의 조건부허가 신청을 자진 철회한다고 15일 공시했다.
HLB생명과학은 올해 2월 임상 2상 결과를 바탕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리보세라닙에 대한 조건부 품목허가를 신청했다. 품목명은 리보세라닙 메실레이트 100㎎과 200㎎다.
회사 측은 “식약처로부터 선양낭성암
HLB생명과학은 15일 재발성 또는 전이성 선양낭성암에 대한 ‘리보세라닙(rivoceranib)’의 조건부허가 신청을 자진철회한다고 공시했다.
HLB생명과학은 희귀암인 선양낭성암에 대한 임상2상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2월 국내 조건부품목허가를 신청해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심사를 받아왔다.
HLB생명과학은 식약처로부터 선양낭성암 임상만을 목적으로
HLB가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 절차를 밟는다. 회사는 성공에 대한 강한 자신감으로 허가 후의 청사진까지 완성한 상태다.
HLB는 리보세라닙의 간암 1차 치료제 신약허가신청(NDA)을 지난 16일(미국시간) FDA에 제출했다. 리보세라닙의 본격적인 임상 개발을 시작한 지 12년 만이다.
리보세라닙은 혈관 내피 성장인자
HLB생명과학은 2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재발성 또는 전이성 선양낭성암 환자에 대한 리보세라닙의 조건부 품목허가를 신청했다고 공시했다.
HLB생명과학은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의 국내 판권 및 유럽, 일본의 일부 수익권리를 보유하고 있다.
선낭암은 통상 침샘암으로 불리는 희귀질환으로 현재까지 반복적인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 외에는 치료옵션이 없는 난치성 암이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의 국내 판권 및 유럽, 일본의 일부 수익권리를 보유한 HLB생명과학이 국내 최초로 선양낭성암(선낭암)에 대한 조건부 품목허가를 신청했다.
HLB생명과학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재발성 또는 전이성 선양낭성암 환자’에 대한 리보세라닙의 조건부 품목허가 신청을 진행했다고 2일 공시했다.
선낭암은 통상 침샘암으로 불리는 희귀질환으로 반
이번 주(6월 7일~6월 10일) 코스닥 시장은 직전 주보다 21.65포인트 내린 869.86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개인은 3737억 원어치를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469억 원, 1185억 원어치를 순매도했다.
◇ 청담글로벌, 코스닥 입성 후 3거래일째 1만 원선 돌파...74.74%↑
11일 금융정보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한
9일 코스닥 시장에서 3개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없었다.
광림은 전 거래일보다 29.87%(590원) 올라 2565원에 거래를 마쳤다. 광림은 쌍방울그룹 계열사로 크레인과 소방차 및 특장차 등의 제조ㆍ판매업을 주력으로 한다.
주가 상승은 쌍방울그룹이 쌍용차 인수전에 재참여한다는 소식 때문으로 풀이된다.
앞서 쌍용차
HLB는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2022)에서 재발성, 전이성 선낭암 환자를 대상으로 미국과 한국에서 진행된 리보세라닙 선낭암 2상 결과를 ‘포스터 토론 세션’(Poster Discussion Session)을 통해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리보세라닙의 선양낭성암 임상 2상을 주도한 강현석 캘리포니아대학 의대교수(UCSF, Medical Center)
세계 최대 암 분야 학술대회인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2022) 개막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항암제 올림픽'으로 불리는 ASCO에 나서는 다수의 국내 제약 바이오 기업들이 저마다 유망한 임상 결과를 들고 출격 대기 중이다.
올해 ASCO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딛고 3년 만에 대면 개최되는 올해 ASCO는 3일(현지시간)부터 7
HLB생명과학이 체외진단의료기기 전문업체 '에임'을 인수한다.
HLB생명과학은 에임 인수를 위한 주식 매매 계약을 체결하고 에임 전체 지분 10만 주를 979억 원에 인수한다고 31일 공시했다.
에임 최대주주들은 이중 450억 원을 향후 HLB생명과학이 발행 예정인 전환사채(CB)로 교부받기로 합의하고, HLB생명과학의 주요 주주로서 계속 경영에
HLB의 항암신약 ‘리보세라닙’이 선양낭성암(이하 선낭암)을 적응증으로 한 세계 최초의 신약 허가목적 임상에서 치료효과를 입증했다.
HLB는 미국과 한국에서 진행된 선양낭성암 1차 치료제 2상 임상결과가 오는 6월 3일 열리는 미국암학회(ASCO)에서 발표될 예정인 가운데, 27일 임상 주요 데이터에 대한 논문 초록(Abstract)을 공개했다.
미국
HLB는 항암신약 '리보세라닙'을 개발 중인 엘레바(Elevar Therapeutics)가 리보세라닙의 생산·판매를 위해 다국적 제약사 출신의 전문가를 영입하는 등 상업화 준비에 본격적으로 나섰다고 18일 밝혔다.
엘레바는 2019년 종료한 리보세라닙 위암 임상과 함께 최근 선양낭성암, 간암에 대한 글로벌 임상도 종료함에 따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HLB는 미국 자회사 엘레바가 글로벌 판권을 보유한 난소암 치료제 '아필리아'가 독일 의약품 유통전문 웹사이트 '겔베리스테(Gelbe Liste)'에 등재되며 판매가 시작됐다고 6일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 수 년간 오픈이노베이션 시스템을 통해 리보세라닙, 아필리아를 비롯 세포치료백신(ITI-1000), CAR-T치료제(SynKIR-110) 등 혁신
에이치엘비가 올해 1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올렸다.
에이치엘비는 별도 재무제표 기준 올 1분기 매출 634억3800만 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1052%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88억6800만 원을 달성해 흑자전환했다고 25일 공시했다.
사업다각화를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등 사업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한 것이 실적 성
에이치엘비(HLB)가 불공정거래 혐의를 벗었다.
에이치엘비는 검찰이 자사의 불공정거래 혐의에 대해 ‘혐의없음’ 처분을 결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해 5월 금감원의 조사로 시작된 에이치엘비 관련 의혹이 1년 10개월 만에 모두 해소됐다는 설명이다. 증권선물위원회는 작년 9월 15일 당초 금감원의 제재안인 ‘검찰 고발’에서 이례적으로 수위를
에이치엘비(HLB) 미국 자회사 엘레바(Elevar Therapeutics)가 미국 FDA(식품의약국) 출신 전문가인 정세호 박사와 장성훈 박사를 각각 신임 대표와 부사장(COO)으로 영입하고 기존의 임상·연구개발 위주에서 NDA(신약허가신청) 준비체제로의 전환을 본격화한다고 15일 밝혔다.
대표로 임명된 정세호 박사는 미국 뉴욕주립대에서 약학 박사학위
리보세라닙의 글로벌 권리를 보유한 에이치엘비(HLB)가 8일 중국 항서제약으로부터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중국명: 아이탄)에 대한 로열티 5000만 위안(한화 약 94억원)을 정식 수령했다. 국내 바이오 기업이 기술이전을 통해 계약금이나 마일스톤을 받은 사례는 다수 있었으나, 시판이 된 항암제에 대해 매출기준 로열티를 수령한 사례는 흔치 않다는 것이 회사
에이치엘비는 진양곤 회장이 미국 자회사 엘레바(Elevar Therapeutics)의 의장으로 선임됐다고 27일 밝혔다.
엘레바는 에이치엘비가 100% 지분을 보유한 신약개발 전문기업이다. 표적항암 신약물질 ‘리보세라닙(rivocerinib)’과 3세대 파클리탁셀 제제인 ‘아필리아(apealea)’를 개발 중이다.
진 회장이 엘레바 이사회 의장에 취임한
에이치엘비의 항암신약 ‘리보세라닙(중국명 아파티닙)’의 간암 2차 임상 3상 결과가 8일 세계적 권위의 의학 학술지인 ‘란셋(The Lancet)에 기재됐다고 11일 밝혔다.
리보세라닙은 2014년 중국에서 위암 3차 치료제(상품명 아이탄)로 시판된 데 이어 지난 1월 간암 2차 치료제로도 시판 허가받은 혈관내피세포수용체2(VEGFR-2)를 겨냥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