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 아침고요수목원, 수원 화성행궁광주 남한산성행궁 & 경기광주한옥마을김포 아트빌리지 & 덕포진한옥마을, 용인 한국민속촌
가장 큰 명절인 설날이다. 설에는 고운 한복을 입고 세배를 주고받으며 덕담을 나누는 아름다운 전통이 있다. 올해에는 오랜만에 한복을 입은 김에 가족과 함께 가까운 명소를 찾아 특별한 한복 사진을 남기는 것은 어떨까? 조선시대 마을도 좋
성북 보문사 대웅전, 시 유형문화유산 지정 앞둬1692년 중건…서울서 가장 오래된 불교 건축물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법당인 성북구 ‘보문사 대웅전’이 서울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등록)된다.
18일 서울시보에 따르면 시는 지난 12일 보문사 대웅전에 대한 ‘서울특별시 문화유산 지정(등록) 계획 공고’를 고시했다. 시는 ‘서울특별시 국가유산 보존 및
진경산수의 대가 겸재 정선의 기록화가 담긴 '정선 필 북원수회도첩'이 보물로 지정됐다.
국가유산청은 28일 '정선 필 북원수회도첩'이 보물로 지정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 작품은 진경산수를 대표하는 화가인 정선의 초기작이자 기록화라는 점에서 미술사적으로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또한 숙종 후반기에 활동한 중요한 역사적 인물들과 관련된 시
☆ 신사임당(申師任堂) 명언
“기품을 지키되 사치하지 말 것이고 지성을 갖추되 자랑하지 말라.”
조선 시대 여류 문인. 율곡(栗谷) 이이(李珥) 어머니다. 2009년에 현행 5만 원권 지폐의 도안 인물로 선정되었다. 7살 때 안견의 그림을 따라 그릴 만큼 미술적 재능을 보였고, 숙종 때 송시열 등 당대 최고의 지식인들이 그녀의 그림에 발문을 썼다. 문
한양도성의 서북쪽인 인왕산 기차바위에서 시작해서 북한산 향로봉 아래까지 이어지는 길이 약 5㎞의 산성인 ‘탕춘대성(蕩春臺城)’이 국가 사적으로 지정됐다.
9일 서울시는 1976년 지정 이후 서울시 유형문화재(제33호)로 관리된 ‘탕춘대성’의 역사적·학술적 가치, 잔존상태 등을 고려해 문화재청에 의해 최종 국가지정문화재인 사적으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20
4·10 총선에서 서울 서대문갑에 출마한 국민의힘 이용호 후보는 2일 ‘김활란 이화여대 초대 총장이 이화여대생을 미군 장교에게 성 상납시켰다’는 발언으로 논란에 휩싸인 더불어민주당 김준혁(경기 수원정) 후보의 사퇴를 촉구했다.
이 후보는 이날 성명에서 “김 후보가 우리 서대문갑에 소재한 이화여대와 그 구성원들을 능멸한 망언을 한 것이 드러났다”며 이같
조선시대에 쓰인 고서 2종이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됐다.
서울시교육청 종로도서관은 소장 중인 ‘소문사설’과 ‘함허당득통화상현정론’이 지난 8일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됐다고 27일 밝혔다.
해당 장서는 종로도서관 전신인 경성도서관에서 수집한 것으로, 대한제국 순종 황제의 황후인 순정효황후 친가에서 소장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종로도서관은 지난 20
역촌동 업무보고회서 주민 제안 반영작은 도서관 갖춘 지하 1층~지상 2층주민자치회·자율방범대·문화재 지킴이
역사적 가치가 있는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주민들의 자치 활동을 활성화하는 공간.
서울 은평구가 ‘인조별서유기비 누리공간’을 개소하면서 그 답을 내놨다.
서울 은평구 역촌동에 있는 ‘인조별서유기비’는 2006년 문화재청에서 보물 제1462호
경기도 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가 2022년 6월부터 시작한 세계유산 남한산성 외성(봉암성) 보수 공사가 경기도민에게 다시 개방됐다.
1일 경기도에 따르면 남한산성은 크게 본성과 외성으로 구분되는데 1624년(인조 2) 급격히 세력을 키우던 후금의 침략에 대비해 쌓은 성(길이 9.05㎞)이 본성이다.
외성은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 방어의 취약점을 보완하고자
전국 21개 폭력조직의 조직원들이 결성한 신흥 폭력조직 모임이 검찰에 넘겨졌습니다. 이 조직원들은 ‘전국구 조폭이 되자’는 목적으로 또래 모임을 결성했다는데요. 모두 2002년생입니다.
충남경찰청 강력범죄수사대는 18일 특수상해 및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단체등의구성활동) 등 혐의로 20대 조직원 66명을 붙잡고 8명을 구속했다고 밝혔습니다. 나머지
조선 숙종 대 제작된 나한상 등 그간 도난 상태였던 불상과 불화 32점이 돌아왔다.
23일 오후 서울 종로 대한불교 조계종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도난됐던 성보 환수를 부처님께 알리는 의식인 고불식(告佛式)이 열렸다.
이날 자리에 참석한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은 “격동의 현대사를 겪으면서 수많은 성보가 도난되는 수난을 겪었다”면서 “부처님오신날을 앞
“왕도 사관도 남성이니까 기록에는 그들의 시선이 들어가 있어요. 궁녀에 대한 기록은 굉장히 성의 없이 남겨진 편이라, 부스러기를 찾아가는 것과 같았죠. 객관적이고 냉정한 태도로 증거를 찾아서 역사의 여백과 행간을 읽어냈습니다.”
신간 ‘궁녀로운 조선시대’를 집필한 조민기 작가를 지난 7일 서울 종로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그는 문정왕후와 돈독한 관계를 형
☆ 정조(正祖) 명언
“천하에 재능 없는 사람은 없다[天下無一能之人].”
조선 제22대 왕(재위 1776~1800). 장헌세자(莊獻世子:思悼世子, 장조)의 아들인 그의 조부가 영조(英祖). 어머니가 혜경궁홍씨(惠慶宮洪氏:惠嬪, 헌경왕후)다. 그의 어록 일득록(日得錄)에 실려 있는 말이다. 숙종·영조의 탕평론을 이어받은 그는 왕정체제를 강화해 진정한 위민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0일 "지금 해야 할 일은 낮은 자세로 주권자를 두려워하며, 국민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작든 크든 '실용적 민생개혁 실천'에 끊임없이 매진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지사의 SNS 메시지는 지난 8일 이후 12일 만이다.
이 지사는 이날 '정치는 실용적 민생개혁의 실천이어야 한다'는 제목으로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이같이 말했다
#1. 2020년 세밑의 정가가 ‘윤석열 현상’으로 어수선하다. 대선 후보군 여론조사에서 윤석열 검찰총장에 대한 지지도가 갑자기 치솟았기 때문이다. 이에 여야는 모두 원인과 자당의 득실을 따지며 당황스러워하는 풍경이다. 다른 한편에선 이제 막 불씨가 붙은 윤석열 대망론에 열심히 부채질을 하는 모습도 목격된다.
윤 총장이 졸업(8회)한 충암고등학교 동문회
가을을 대표하는 과일 하면 빨갛게 익은 탐스러운 사과가 제일 먼저 떠오른다. “하루 한 개 사과는 의사를 멀리하게 한다”는 서양 속담처럼 잘 익은 제철 사과에는 비타민과 식이섬유, 기능성 물질 같은 몸에 좋은 성분이 풍부하다. 사과껍질에 들어 있는 우르솔산은 염증을 완화하고 근육을 강화하며, 올레아놀릭산은 각종 암세포 성장을 억제한다. 폴리페놀, 카로티
국립극장 국립창극단은 레퍼토리 창극 '아비. 방연'을 오는 30일부터 다음달 8일까지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무대에 올린다.
'아비. 방연'은 조선 초기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할 당시 강원도 영월로 귀양 가는 단종을 호송하고 유배 중이던 단종에게 사약을 내리는 임무를 맡았던 실존 인물 '왕방연'을 소재로 한다.
왕방연은 맡은 일의 무게감과 달리 '숙종실록
조선은 고려와 달리 성리학적인 의리와 명분에 갇힌 국가였다. 의리와 명분의 대표적인 상징물이 만동묘(萬東廟)와 대보단(大報壇)이다. 만동묘는 임진왜란 때 조선에 원군을 파병한 명나라 신종을 기리고자 1704년 숙종 30년에 충청도에 세운 사당이다. 조선말까지 역대 관찰사들은 이 만동묘에 제사를 지내왔고, 심지어 일제 식민지 시절까지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천고마비지절(天高馬肥之節). 하늘이 맑아 높푸르게 보이고 온갖 곡식이 익는 가을철을 이르는 말이다. 이 시기에는 산란기를 맞은 바닷속 물고기들도 살이 올라 맛이 일품이다. 그중 가을이 되면 잃어버린 입맛도 돌아오게 한다는 물고기 삼총사가 있다. 고등어, 갈치 그리고 전어가 그 주인공이다.
그런데 고등어, 갈치, 전어는 성어(成魚)일 때 이름이다. 치어(
깊은 가을의 색을 찾아 떠날 수 있는 곳은 어디일까. 조용히 스스로 돌아보는 템플스테이, 귀여운 ‘댕댕이’를 위한 펫 리조트, 사랑하는 가족과 떠나는 캠핑 등 주위를 둘러보면 소리 없이 다가온 가을을 느낄 수 있는 곳들이 많다.
◇ 천년고찰에서 만난 또 다른 나. ‘신륵사 템플스테이’ = 천천히 소리 없이 흐르는 여강. 그 곁을 천 년 동안 지킨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