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 기술경쟁력을 제고하고자 779개 과제를 선정해 1179억 원을 지원하는 ‘2025년 중소기업기술개발 지원사업 모집공고’를 실시한다고 16일 밝혔다.
우선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우위를 선점하고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전략기술분야 지원 비율을 50% 이상으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AI △바이오 △탄소중립 △첨단로봇·제조
1월 1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모빌테크, 무니스, 메이즈, 에이베러 등이다.
◇모빌테크
실감형 디지털 트윈(가상모형) 기업 모빌테크는 CJ인베스트먼트로부터 3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모빌테크는 실감형 디지털 트윈·라이다 기술 기업이다. 라이다와 카메라를 융합한 고정밀 지도 구축 시스템, 초실감형 디지털 트윈 플랫폼 ‘레플리카 시
식자재 유통, 외상 결제 서비스 등을 선보이는 스타트업이 소상공인과 함께 성장해 주목받고 있다.
2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푸드테크 기업 마켓보로가 운영하는 ‘식봄’은 올해 총 누적 거래액(GMV) 3500억 원 달성을 목표로 사업을 전개할 방침이다.
식봄은 유통사들이 외식업자를 대상으로 자유롭게 식자재를 판매할 수 있는 기업간거래(B2B) 식자재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총 1조5214억 원 규모 기술개발(R&D) 사업에 대한 '2025년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 통합공고'를 실시한다고 29일 밝혔다.
중기부 R&D 사업은 6월 4일 발표한 '중소벤처기업 R&D 혁신방안'에 따라 △시장에 도전하는 혁신적인 R&D를 집중 지원 △R&D 생태계를 혁신하는 네트워크형 R&D를 추진 △정부 출연과 민
블리몽키즈, 인도 이어 내년 1월 중동 6개국 진출지바이크, 아프리카 가나에서 전동킥보드 서비스 시작
북미, 유럽, 중국 등이 아닌 곳에서 성장 잠재력을 보고 과감한 결단을 내려 글로벌 도약 기회를 찾는 국내 스타트업이 주목받고 있다.
22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인도 K뷰티 플랫폼 ‘마카롱’을 운영하는 블리몽키즈는 인도에 이어 내년 1월 중동 6개국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유망 중소ㆍ벤처기업에 투자하고 기술개발을 지원할 스케일업 팁스 운영사 컨소시엄 5개를 최종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스케일업 팁스 운영사는 민간 주도로 기업에 투자하면 정부가 연계ㆍ지원하는 ‘팁스(TIPS) 방식 기술개발 지원사업’에서 유망기업을 발굴하고, 기술개발부터 성장까지 전 과정을 기업과 함께하는 동반자다. 2021년
11월 5주 투자를 유치한 스타트업은 바로팜, 스토어링크, 바이오컴, 워시스왓 등이다.
◇바로팜
약국 경영 토털 플랫폼 기업 바로팜은 총 190억 원의 투자금을 유치해 상장 전 지분투자(프리 IPO)를 클로징했다. 이번 라운드에는 미래에셋증권과 CJ대한통운이 추가 투자자로 참여했다. 바로팜은 누적 투자금액 약 400억 원을 기록하며 약국 플랫폼 시장에
리가켐바이오, 국제행사서 ‘베스트ADC 플랫폼 기술’ 최고상 수상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는 6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진행된 ‘제11회 Annual World ADC Awards(이하 ADC Awards)’에서 ‘Best ADC Platform Technology’ 부문 최고상에 선정됐다. 2018년부터 해당 부문에서 6회 연속 수상이자 3회 연
삼성전자와 현대차 등 대기업군과 최상위 딥테크 벤처·스타트업이 만나 상호 간 협력 수요를 충족하고 함께 도약할 수 있는 플랫폼이 마련돼 시작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1일 서울 코엑스에서 다양한 지원 수단을 통한 성과 창출 중심의 새로운 개방형 혁신 프로그램인 ‘딥테크 밸류업 프로그램’의 시작을 알리는 자리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검증된 딥테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제주 라마다프라자호텔에서 12일부터 13일까지 이틀간 스케일업 팁스 네트워킹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스케일업 팁스는 민간 운영사(VC+R&D전문회사)가 스케일업 단계 유망기업을 발굴해 먼저 투자하면 정부가 이후 매칭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2021년 11월 1기 운영사(5개 컨소시엄) 선정 후, 현재까지 19개 운영사가 선
스케일업 전용 프로그램 도입해 3년간 집중·밀착 지원융자·보증·투자 등 정책 패키지로 자금 확보 뒷받침
중소벤처기업부가 기업의 성장사다리를 복원하고 우리 경제 전반에 역동성을 불어넣기 위해 100개의 유망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점프업(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중기부는 7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의 ‘도약(Jump-Up) 프로그램 추진
약물융합기술 기반 혁신 신약개발 기업 카나프테라퓨틱스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스케일업 팁스 과제에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따라 향후 3년간 총 11억 4000만 원의 연구개발비를 지원받는다.
스케일업 팁스는 전문인력과 지원역량을 갖춘 벤처캐피탈(VC)과 연구개발 전문회사 등으로 구성된 운영사가 유망 중소벤처 기업을 발굴해 투자 후 추천하면
중기 세제특례 5년…상장사는 7년까지 확대중견목표 100대 기업에 디렉터·바우처 등 지원초기중견기업까지 P-CBO 지원확대…6000억 공급
중소기업 기준을 넘은 초기 중견기업의 세제 특례 기간이 3년에서 5년으로, 코스피·코스닥 상장 중소기업은 7년으로 각각 확대된다. 유망 중소기업 100개는 전담 디렉터 매칭 등 정부 지원을 3년간 받는다. 투자 규모
유진투자증권이 ESG 경영 전략과 주요 성과를 담은 2024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유진투자증권은 ESG 경영 강화 의지를 대내외적으로 표명하고,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행했다. 2022년에 이어 두 번째로 발행된 이번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는 지난 2년간 유진투자증권의 ES
5월 2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빅게임스튜디오와 셀로이드, 드림팩, 리버티랩스 등이다.
△빅게임스튜디오
빅게임스튜디오는 일본 종합 엔터테인먼트 그룹 주식회사 카도카와로부터 2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회사는 이번 투자는 단순 출자를 넘어 양사 간 파트너십으로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애니메이션 역할수행게임(RP
중소벤처기업부는 26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중소벤처 연구개발(R&D) 미래전략 원탁회의(라운드테이블) 성과공유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올해 1월말 R&D 미래전략 라운드테이블 출범 이후, R&D 혁신‧개편을 위한 분과별 논의 결과를 생태계 관계자들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엔 오영주 중기부 장관, 자문위원 16명
중소벤처기업부는 19일부터 4월 16일까지 창업기획자, 초기전문 벤처캐피털(VC) 등 투자·보육 역량을 갖춘 투자사를 대상으로 팁스(TIPS) 운영사를 모집한다고 18일 밝혔다.
팁스는 창업기획자, 초기전문 VC 등 민간의 운영사(투자사)가 혁신 창업기업을 선별 후 추천하면, 정부가 기술개발 및 사업화 자금 등을 연계해 창업기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중소벤처기업부는 2일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고위험·고성과 R&D 프로젝트(DCP)’를 수행할 2개 기업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DCP는 유망한 혁신기업이 고위험 R&D에 과감하게 도전하도록 도전적 목표설정, 민·관 합동 100억 원 규모 지원, 연구 자율성을 보장하는 대규모 R&D 지원 프로젝트다.
로봇·바이오융합 부문에서는 엔도로보틱스가 선정됐
11월 3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케이뷰티월드와이드와 웰스케어, 창업인 등이다.
△케이뷰티월드와이드
뷰티 브랜드 액셀러레이터 케이뷰티월드와이드는 김기사랩과 메가스터디-윤민-마크 벤처투자조합으로부터 총 5억 원의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케이뷰티월드와이드는 베트남 뷰티 브랜드를 발굴·육성하는 스타트업이다. 2019년 한국 본사 설립 후 2020
SK증권은 2일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제주 스타트업 발굴·육성 및 투자유치 지원을 위한 업무 합의서(MOA)’를 체결하고, 투자유치 설명회를 공동개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MOU는 3월 SK증권이 JDC와 체결한 업무 협약 후속 조치로 JDC와 KAIST가 추천하는 제주 유망 기업을 SK증권이 운영 중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