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a(1000㎡) 벼농사의 순이익이 전년보다 4만 원 정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3년산 논벼(쌀) 생산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쌀의 10a당 순수익은 35만8000원 전년보다 4만 원(12.7%) 늘었다. 2021년 이후 2년 만에 증가 전환이다.
10a당 순수익률은 29.0%로 전년보다 1.9%포인트
남는 쌀을 정부가 의무매입해야 한다는 내용의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여야의 치열한 대치 끝에 윤석열 대통령의 '1호 거부권' 행사로 마무리됐다. 하지만 최근 야당을 중심으로 비슷한 법안이 다시 발의되면서 양곡법 개정안 정쟁이 재점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 같은 분위기에 거부권 이후 한시름 돌렸던 공무원들도 다시 싸움에 휘말릴 준비를 해야 하는 상황이다.
남는 쌀을 정부가 의무매입해야 한다는 내용의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여야의 치열한 대치 끝에 윤석열 대통령의 '1호 거부권' 행사로 마무리됐다. 하지만 최근 야당을 중심으로 비슷한 법안이 다시 발의되면서 양곡법 개정안이 재점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17일 국회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쌀값이 기준가격 아래로 떨어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준수 등 노동자와 관련된 논의가 본격화하면서 농업계의 근심이 커져가고 있다. 생산비가 급증한 상황에서 가뜩이나 부족한 일손에 경제적인 부담도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에 따르면 내년 최저임금을 결정하는 최저임금위원회는 이달 18일 열릴 예정이다. 이에 앞서 한국노동조합총연맹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물가 폭등과 임금
지난해 농가의 쌀 생산비용이 1년 전보다 8%가까이 늘어난 반면 쌀 값 대폭 하락 여파로 순이익은 36%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22년산 논벼(쌀) 생산비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경작지 10a(아르: 100㎡)당 논벼 생산비는 85만4000원으로 전년대비 6만2000원(7.9%) 증가했다. 비료 구입비, 노동임금 등
지난해 쌀 20㎏당 생산비용이 전년보다 6.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토지용역비 등 간접생산비가 늘어서다. 다만 쌀값 상승으로 총수입도 큰 폭으로 늘었다.
통계청은 30일 발표한 ‘2020년산 논벼(쌀) 생산비조사 결과’에서 지난해 10아르(a)당 논벼 생산비는 77만3658원으로 전년보다 452원(0.1%) 증가했다고 밝혔다. 직접생산비 중 농구비
큰 폭으로 올랐던 20㎏ 쌀 생산비가 노동비와 토지용역비 감소 영향으로 지난해 소폭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9년 논벼(쌀) 생산비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10아르(a·1000㎡)당 논벼 생산비는 77만3206원으로 전년 대비 2만3211원(2.9%) 감소했다. 직접생산비 중에서 노동비, 간접생산비 중에는 토지용역
지난해 단위면적당 논벼 생산비용이 전년보다 15.2%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노동비가 큰 폭으로 오른 탓이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18년 논벼(쌀) 생산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0아르(a, 1000㎡)당 논벼 생산비는 79만6415원으로 전년 대비 10만5041원(15.2%) 증가했다. 직접생산비 중에는 노동비, 간접생산비 중
지난해 쌀(논벼) 생산비가 감소했지만, 쌀 판매단가가 하락함에 따라 순수익이 전년보다 10.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산 논벼(쌀) 생산비 조사’에 따르면 10a당 쌀 생산비는 69만1869원으로 1년 전(72만1478원)보다 4.1%(2만9610원) 감소했다.
쌀 생산비는 2011년 이후 산지 쌀값 상승으로 토지
내년 1월 1일부터 쌀 시장 전면개방에 따라 수입쌀에 적용되는 관세율이 513%로 결정될 전망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오전 국회에서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산업통상자원위 소속 새누리당 의원들과 각각 당정협의를 갖고 쌀 관세율을 확정할 방침이다.
정부는 쌀 관세율을 국회에 최종 보고한 뒤 이달 말까지 세계무역기구(WTO)에 수정양허
전국의 농업인 여러분, 그리고 국민 여러분,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입니다.
오늘은 그동안 관계 부처와 농업계, 민간 전문가 등이 긴밀히 협의하여 검토하고, 국회에서 논의한 결과를 토대로 정부가 내년부터 세계무역기구(WTO)에서 쌀을 관세화하기로 결정하였음을 발표하고자 합니다.
지난 1994년 타결된 우루과이라운드(UR) 협상에서 모든 농산물에 대해 관
정부가 올해 쌀 목표 생산량 목표치를 415만톤으로 잡았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쌀 목표 생산량을 2015 양곡연도(2014년 11월∼2015년 10월) 예상 쌀 소요량인 407만톤보다 8만톤 많은 415만톤으로 정했다고 1일 밝혔다. 다만 이는 지난해 쌀 생산량 423만톤보다는 8만톤 줄어든 양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수급관리 측면에서 다소 여유
지난해 쌀 풍년으로 관련농가 수익이 2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013년상 논벼(쌀)생산비조사 결과’를 보면 10a당 총수입은 전년보다 8.7% 올랐다. 쌀 생산량이 7.4% 증가하고 판매단가가 1.1% 상승한 데 힘입었다. 총수입 증가가 생산비 상승을 상쇄하면서 10a당 순수익은 전년보다 26.4% 증가한 34만9133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