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플레이션은 장기 불황인 ‘잃어버린 20년’을 불러온 원인으로 일본 경제의 경계 대상 1호다. 일본은 ‘아베노믹스’로 디플레이션이 재현되는 것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22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일본에 디플레이션의 그림자가 드리워지고 있다고 경종을 울렸다.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해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물가가 하락하면 화폐 가
“미국 주택가격이 올라가고 실업률이 개선되면서 소비 경기가 회복되고 있습니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양적완화 축소 과정에서 미국 경기회복 기대감은 더욱더 높아질 것입니다.”
스테파니 서튼(Stephanie Sutton) 피델리티자산운용 미국 주식투자부문 이사는 25일 서울 여의도에서 ‘선진국 경기회복 전망’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서튼
정부 산하 정책연구기관은 올해 하반기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가능성으로 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중기 경제전망으로는 금리상승으로 내수시장이 위축될 우려가 있으며, 세계경제 회복 지연에 의한 수출 증가세 둔화를 예측했다.
정부는 25일 서울 세종로 청사에서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정책연구기관
우리나라는 199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으로 금융시장이 개방되자 그 후 출범하는 정권은 1년차 때마다 ‘금융위기’로 휘청거렸다. 김대중 정부는 1998년 외환위기, 노무현정부는 2003년 신용카드 대란, 이명박정부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정권 초반의 동력을 상당 부분 소진했다.
집권한 지 넉 달이 갓 넘어선 박근혜 정부도 미국의 출구
일본 정부가 해외 투자자 공략으로 위기 타개에 나섰다.
최근 일본증시가 폭락하고 엔 가치도 상승하는 등 아베노믹스에 따른 부작용이 커지자 이를 진화하기 위해 정부가 직접 외국인 투자자들을 끌어들이는데 나서고 있다고 21일(현지시간)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아베 신조 총리는 지난 19일 영국 런던 금융가에서 시장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강연을 갖고
국내 증시가 외국인 매도 공격에 휘청이고 있다. 증시 ‘바로미터’ 삼성전자는 추풍낙엽이고 코스피지수는 7개월 만에 1900선이 무너졌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다음주 열리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양적완화 유지가 확인되면 저가 매력을 바탕으로 외국인 매도 공격이 진정되면서 반등에 나설 것이란 설명이다.
엔저(低) 호재를 안고 파죽지세로 내달리던 일본펀드에 급브레이크가 걸렸다. 돈풀기로 대표되는 ‘아베노믹스’ 부작용 우려가 확산된 탓이다.
4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일본펀드의 1주일 수익률은 -4.34%를 기록했다. 한순간에 1등에서 꼴찌로 밀려난 것이다. 1개월(-1.88%) 기준 수익률도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자금 유출도 감지되고 있다.
펀드시장에서 역전의 명사는 단연 일본·가치주·리츠펀드다. 2011년 열도를 뒤덮은 대지진으로 ‘마이너스(-)’ 수익률에 허덕이던 일본펀드는 엔화약세 바람을 타고 올 들어 35%가 넘는 수익을 거뒀다. 안정성을 고집하는 가치주펀드는 저금리 시대, 투자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글로벌 부동산 경기 회복 기대감에 리츠펀드 역시 재조명 받고 있다.
◇엔저·
일본 경제가 ‘아베노믹스’ 역풍을 맞으면서 시장은 패닉에 빠졌다.
연일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증시는 폭락하고 장기금리는 급등했다. 아베 신조 정권의 무차별 돈 살포에 따른 부작용이 속출하자 경기부양책 효과가 다한 것 아니냐는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닛케이지수는 23일(현지시간) 전일 대비 7.32% 폭락한 1만4483.98로 거래를 마감했다. 이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공격적인 경기부양책인 ‘아베노믹스’에 따른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연일 상승세를 이어오던 증시가 폭락하고 장기금리는 상승세가 꺾이지 않는 등 일본 경제가 정부의 무차별 돈 살포에 역풍을 맞고 있는 형국이다.
닛케이 지수는 23일(현지시간) 전일 대비 7.32% 급락한 1만4483.98로, 토픽스지수는 6.87% 떨어진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