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펩(애니젠)이 기존 김재일 대표와 신임 심경재 대표 투톱 체제로 새로운 도약에 나선다.
1일 HLB펩에 따르면 전일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심경재 사내이사를 각자 대표로 새롭게 선임했다. 이로써 김재일 대표는 사업 부문을, 심경재 대표는 경영 부문을 각각 맡아 회사를 이끌어 나가게 됐다.
김재일 대표는 동경대에서 생화학과 이학박사를 취득했으며 일
HLB그룹이 애니젠(Anygen)을 200억원 규모에 인수했다. 애니젠은 펩타이드 제조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GMP인증 펩타이드 제조 공장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다.
애니젠은 10일 공시를 통해 HLB그룹 계열사 7개사가 150억원 규모의 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고, 50억원의 전환사채(CB)를 인수한다고 밝혔다. 이와 별도로 재무적투자(FI)에
HLB그룹이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펩타이드 제조 GMP인증 공장을 보유하고 있는 애니젠을 인수하면서 최근 GLP-1 비만치료제 등으로 주목받고 있는 펩타이드 제조 기술을 확보했다.
애니젠은 10일 공시를 통해 HLB그룹의 계열사 7개사가 150억 원 규모의 3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고 50억 원의 전환사채(CB)를 인수한다고 밝혔다. 이와 별도로 재무
10일 증시에선 총 5개의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상한가 종목은 없었고, 코스닥에서 대화제약, 애니젠, 파인메딕스, 대진첨단소재, 플라즈맵 등 5개 종목이다.
대화제약은 글로벌 최초 경구형 파클리탁셀 제제(마시는 항암제) 리포락셀액(리포락셀)을 글로벌 2위 제약시장인 중국에서 본격적으로 판매한다는 소식에 상한가로 마감했다.
7일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삼부토건 한 종목이다.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없었다.
삼부토건은 29.96%(275원) 내린 643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전날 법원이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했다고 밝힌 점이 주가를 끌어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코스닥 시장에서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엠디바이스와 애니젠 2종목이다. 하한가를 기
한 주간(2월 3~7일) 코스닥 지수는 전주보다 2.01%(14.61포인트) 오른 728.29에 장을 마쳤다. 기관과 개인은 각각 1650억 원, 760억 원을 팔아치웠고, 외국인 홀로 3020억 원을 사들였다. 외국인투자자는 코스닥 시장에서 레인보우로보틱스(740억 원), 카페24(660억 원), 알테오젠(390억 원), 필옵틱스(290억 원), 에스
5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상한가와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없었다.
같은 날 코스닥 시장에서 상한가에 도달한 종목은 애드바이오텍, 클로봇 등 2종목이었다.
애드바이오텍은 전 거래일보다 29.97% 상승한 2450원에 거래를 마쳤다. 국내 대형 가전업체가 출시할 예정인 음식물 처리기의 미생물제 납품이 시작될 것이라는 증권사 분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
작년 1건 그쳤지만 올해는 6건으로 증가‘유증 반려’ 금감원 제동 늘고 냉정한 투심 여파
올해 들어 신주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 계획을 철회한 사례가 6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투자심리가 얼어붙고 금융당국의 유상증자 심사 문턱이 높아지면서 기업의 자금 조달 창구도 좁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에프엔에스테크, 삼성디스플레이와 47억 규모 공급계약 체결
△안랩, 158억 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인텔리안테크, 290억 원 규모 안테나 공급계약 체결
△재영솔루텍, 남동공단 금형공장 158억 원에 매각
△에이스테크, 에이스안테나 전장·방산사업 분할합병
△유바이오로직스, 유티프-씨주멀티도즈(수출용) 백신 한국 품목허가 신청
△KGM,
코스닥은 지난 한 주(8~12일)간 14.27p(1.71%) 오른 850.37에 마감했다. 이 기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4865억 원, 474억 원 순매수했고, 기관은 4747억 원 순매도했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 주간 코스닥 시장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포커스에이치엔에스로 한 주간 64.32% 오른 3615원에 마감했다.
포커스에이
대봉엘에스가 리라클루이드 성분의 비만치료제 삭센다의 올해 특허 만료 소식에 상승세다.
1일 오후 2시 39분 현재 대봉엘에스는 전 거래일 대비 16.22% 오른 1만2680원에 거래되고 있다.
노보 노디스크의 블록버스터 바이오 의약품인 리라클루이드 성분 비만치료제 삭센다 특허는 올해 만료된다. 미국에서는 연내 비아트리스, 테바, 노바티스 등 글로벌
금융감독원은 공매도 금지조치 이후 상장지수펀드(ETF) 유동성 공급자(LP)가 무차입 공매도 혹은 수익을 목적으로 한 공매도를 했다는 의혹과 신한투자증권이 불법공매도 세력의 창구라는 루머에 대해 점검 결과 모두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고 28일 발표했다.
금감원은 지난달 6일 공매도 금지조치 이후 해당 의혹과 불만이 지속함에 따라 공매도 거래량 상
애니젠은 최근 가니렐릭스 원료의약품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취득했다고 6일 밝혔다.
가니렐릭스는 난임 시술에 사용되는 조기배란 억제제로서 보조생식술을 위해 과배란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미성숙 난자가 배란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니렐릭스는 MSD의 '오가루트란(가니렐릭스아세트산염)'의 제네릭 주사제로서 난임치료과정에서 보조생식술을 위해 과배란유도(
애니젠이 일본 오츠카그룹 자회사 Glytech Inc.와 글리칸(Glycans) 결합 펩타이드 위탁생산 및 공동개발을 추진한다. 글리칸은 최근 전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펩타이드 당뇨 치료제 및 비만치료제에도 활용될 수 있어 제약업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애니젠이 세포기능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글리칸(Glycans) 제조분야의 첨단 바이오기술을
코스닥은 지난 한 주(9월 25~27일)간 16.33포인트(1.90%) 내린 857.35에 거래를 마쳤다. 투자자별로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각각 606억 원, 1787억 원 순매수했지만, 외국인은 2167억 원 순매도했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한 주간 코스닥 시장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인스웨이브시스템즈로 60.42% 상승한 3만85
이번 주(4월 24~28일) 코스닥 지수는 전주 대비 25.99포인트(2.99%) 내린 842.83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이 홀로 7500억 원을 순매수하고,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5900억 원, 1339억 원을 순매도 했다.
까스텔바작, 美 진출 가시화 소식...57.66% 상승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 주간 코스닥 시장에서 가장 많이 오른
13일 코스닥 시장에서 3개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은 없었다.
에코캡은 전 거래일 대비 29.72%(2520원) 오른 1만1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에코캡은 자동차용 전기ㆍ전자장치 부품인 자동차용 전선과 자동차용 와이어링하네스 등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기업이다.
주가 상승은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로 풀이된다. 10일 한국거
13일 코스피시장은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 확대에 하락 마감 했으며, 코스닥시장은 기관의 매도세에 동반 하락 추세를 보였다.
코스피시장의 투자자 별 매매동향을 살펴보면 개인만 홀로 매수 했으며, 기관과 외국인은 동반 매도세를 보였다.
개인은 6688억 원을 매수했으며 기관은 2192억 원을, 외국인은 4951억 원을 각각 매도했다.
한편, 코스닥시장에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