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처리를 안 한 특수강으로 만든 부품이 원전에 납품된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지검 동부지청 원전비리수사단은 일반 특수강을 열처리 제품으로 속여 판 혐의(사기)로 D특강 최모(51) 상무를 구속기소했다고 14일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최 상무는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일반 특수강의 시험 성적서를 위조하거나 변조해 열처리한 특수강인 것처럼 속여 모 대기업
원전비리와 연루된 원전부품 시험업체 새한티이피가 수억원의 채무를 남긴채 지난해 폐업한 것으로 확인됐다.
새한티이피는 대출금, 국세 등 8억여원을 연체한 체 지난해 9월 30일 폐업했다. 2억여원의 대출금 연체를 제외하고는 보증보험사가 대위변제한 상태다.
민간 검증 기관인 ‘새한티이피’는 원전 제어케이블 등에 대한 부품 시험성적서를 위조한 혐의를 받아
원전비리에 연루된 한국수력원자력 간부에 대한 기소가 백지화될 전망이다.
3일 부산지법 동부지원에 따르면 원전업체 대표로부터 금품을 받은 혐의로 부산지검 원전비리수사단에 불구속 기소된 신모(47) 한수원 차장에 대한 첫 재판이 지난 1일 열렸다.
신모 차장은 2007년 9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원전 중소기업인 H사 대표 소모(57)씨로부터 납품 청탁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23일 부산고검, 부산·울산·창원지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는 원전비리수사를 실체를 밝혀야 한다는 의원들의 지적이 잇따랐다.
이날 부산고검에서 열린 법제위 국감에서 민주당 전해철 의원은 “검찰의 원전비리 수사에서 납품·서류위조·인사비리 등에서는 성과를 냈지만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과 이상득 전 의원 등 권력형 비리수사에서는 한걸음도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지난 2001년 한국전력에서 분사한 이후 최근까지 각종 원전 비리에 연루된 한수원 직원들의 평균 금품수수 액수가 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채익 의원이 6일 한수원으로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01년 이후 구속·불구속·약식 기소된 한수원 현직(수사당시) 직원은 총 58명으로 파
김종신 전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에게 뇌물을 준 혐의를 받고 있는 한국정수공업이 지난 2011년부터 정부로부터 수억원의 지원금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본지가 한국정수공업의 감사보고서상 현금흐름표를 분석한 결과 회사는 최근 2년간 정부로부터 3억5000만원의 지원금을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보면 2011년 1억3467만원, 2012년 2억1704
부산지검 동부지청 원전비리수사단은 지난 10일 한국수력원자력 간부에게 납품 청탁과 함께 금품을 건넨 혐의를 받고 있는 현대중공업 본사를 전격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또 현대중공업 김모(49) 영업상무와 김모(51) 전 영업부장을 뇌물공여 혐의로 체포해 조사를 벌이고 있다.
검찰은 이날 오후 5시부터 울산 동구 현대중공업 본사를 압수수색해 원전 부품 납품과
원전 시험 성적서를 위조한 혐의를 받고 있는 새한티이피 대표가 구속됐다.
14일 부산지법 동부지원 박성인 부장판사는 원전 부품 시험 성적서를 다수 위조한 혐의 등으로 새한티이피 대표에 재청구된 구속영장을 발부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시험 성적서 위조를 공모한 혐의로 김모 전 한국전력기술 부장에 청구된 구속영장도 발부했다.
박 부장판사는 “피의자들의 범죄
원전 부품 시험성적서를 위조한 혐의를 받고 있는 새한티이피의 회계장부가 수사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원전비리 수사단은 원전부품 시험성적서가 조직적으로 위조된 것으로 확인하면서 금품과 향응 제공여부에 대해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원전비리수사단은 새한티이피의 자금 흐름이 원전비리의 연결고리를 밝혀줄 연결고리가 될 것으로 주목하고 있다. 14일 본지가
원전 비리 문제가 이른바 '7인 회의'를 통해 실체를 서서히 드러내며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부산지검 동부지청 원전비리수사단은 12일 이들 3개 기업이 제어케이블 납품을 앞두고 이른바 '7인 회의'를 두 차례 열어 시험성적서 위조를 공모했다는 정황을 포착하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7인 회의는 JS전선이 2008년 신고리 1·2호기 등에 납품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