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은 27일 경주 본사에서 국립수산과학원과 '연구 협력 및 기술 교류 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협약에 따라 해양 환경 분야 모니터링 정보 및 연구자료를 공유하고, 기후변화와 관련한 연구 등에 협력한다. 또한 해양수산과학기술 부문 발전과 기후변화에 대비한 원전 안전성을 강화하는 데 힘을 모은다.
AI 시장 확대·탄소중립 정책 글로벌 수요↑'에너지 자립 필요성' 이어 꾸준한 오름세고준위 폐기물 처리 문제 등 여전히 숙제
국내·외 원자력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따른 전력 사용량 급증과 기후위기가 촉발한 탄소중립 정책이 전 세계 원전 수요를 늘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4일
네이버클라우드와 한국수력원자력은 ‘한수원 특화 생성형 AI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한수원에 적합한 기술 검증과 서비스 개발 등을 진행하며 한수원 특화 생성형 AI 구축을 위한 검증 작업에 들어간다고 19일 밝혔다.
양사는 이를 위해 협의체를 구성하고 네이버의 초대규모 AI ‘하이퍼클로바X’에 한수원이 보유한 다양한 데이터를 접목해 △한수원 업
SK렌터카가 제주에서 한국전력과 함께 국내 최대 규모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조성하고 친환경 전기차를 활용해 잉여 전력 소진에 일조하는 가운데 이번에는 전기 사용을 줄여 도내 전력 수급 안정화를 돕는다.
SK렌터카는 제주지점과 자사 세컨드 브랜드 빌리카 지점에서 운영 중인 전기차와 충전기를 활용해 ‘제주 DR’ 사업에 참여한다고 4일 밝혔다. 이를 위해
동반성장위원회는 12일 한국가스기술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한전원자력연료와 ‘2023년도 협력사 ESG 지원사업’ 공동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가스기술공사·가스안전공사·원전연료는 상생협력기금을 공동으로 출연한다. 동반위의 중소기업 ESG 표준 가이드라인에 따라 협력 중소기업의 맞춤형 ESG 지표를 선정한 후, ESG 교육·진단·현장실
한울원전 3호기가 국내 최장기 연속 무고장 운전 신기록을 달성했다. 2008년부터 4382일간 고장 없이 운전하면서 9주기 동안 누적 전력량만 1095억 kWh(킬로와트시)에 달했다.
28일 한국수력원자력은 한국표준형원전인 한울 3호기가 2008년 7월 25일부터 이날까지 국내 원전 최장기간 연속운전 신기록이 4382일의 무정지 연속운전을 기록했다고
유지인트는 29일 자회사인 ACT가 한국에너지 기술평가원에서 발주한 에너지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하고, 한울원자력발전소 1~4호기의 확률론적 안정성평가(PSA)를 공동 수주했다고 밝혔다.
유지인트에 따르면 150억 원 규모의 에너지기술개발사업은 한전원자력연료 주관으로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환경공단과 함께 ACT가 참여하게 된다. 이달 12일 협약을
[종목돋보기] 비에이치가 사용된 핵연료의 안전한 수송과 저장을 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회사 측은 원전 해체에 따라 이 분야에서의 발주를 기대하고 있다.
19일 비에이치아이에 따르면 이 회사는 2010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 에너지 기술평가원의 정부출연과제인 ‘방사성폐기물기관 기술개발사업’에 참여 ‘사용후핵연료 수송·저장용
원전 운전데이터를 분석해 이상징후를 예측, 원전 고장에 사전 대응하는 조기경보 시스템이 가동된다. 상대적으로 고장에 취약한 비핵심설비와 계측ㆍ전기 설비에 대한 관리도 강화된다. 이를 위해 한국수력원자력의 안전 예산은 3000억원 이상 확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원전을 안전하게 운영하고 고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같은 내용의 ‘원전 설비 건전성 향상 방안’을
경남기업은 지난 28일 베트남 남부의 칸화(khanh Hoa)성 반퐁(Van Phong)지역에 발전소 건설을 위한 ‘반퐁 2단계 석탄화력발전소’ 사업제안서를 베트남 정부에 제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세계적 휴양지로 유명한 베트남 나짱(Na Trang)에서 북동쪽 50㎞여 지점에 위치한 ‘반퐁 경제구역’의 전원으로 공급될 계획이다.
‘반퐁 경제구
잠잠하다 싶더니 또 말썽을 일으켰다. 최근 63일간의 계획예방정비를 마치고 하루 만에 발전을 중지한 고리원전 4호기 얘기다. 다행히 원자로에 이상이 없는 외부 주변압기 문제였지만 이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각은 싸늘하다.
올해는 내년 3월 만료되는 한ㆍ미 원자력협정의 개정 협상, 사용후핵연료 처리 공론화, 월성 1호기 계속운전 심사, 제2차 국가에너지기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는 일본은 물론 전세계에 방사능 공포를 확산시켰다.
원전 사태가 최악의 상황은 벗어났다고는 하지만 일본은 앞으로 수돗물과 바닷물, 농작물의 방사능 오염에 대처하기 위해 긴 전쟁을 치러야 한다.
앙드레 클로드 라코스테 프랑스원자력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22일(현지시간) “일본의 방사능 오염이 수십년간
국가에너지위원회가 27일 최종 심의, 확정해 발표한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게획'은 에너지관련 모든 분야를 대상으로 한 최상의 국가에너지 전략으로 크게 4개 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에너지 저소비·저탄소사회로의 이행을 위해 국가에너지 효율을 46% 개선하고 에너지사용을 대폭 절감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에너지 수요관리 및 위기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