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위조 원자력발전소 부품 제조 및 시험업체에 대한 계좌추적에 착수하면서 원전 비리 수사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연합뉴스는 2일 부산지검 동부지청 원전비리 수사단이 제어케이블 제조·시험업체 임직원의 계좌추적에 본격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추적 대상에는 제어케이블 제조업체인 JS전선과 원전 부품 성능검증 업체인 새한티이피의
위조 시험성적서 원전 부품이 신고리 1·2호기, 신월성 1·2호기 등 총 4기 원전에 총 60억원 규모로 납품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정부는 부품 공급 업체, 국내 시험기관, 한국전력기술, 한국수력원자력 등 관련기관에 대해 형사 고발 등 민·형사상 조치를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 한진현 제2차관과 한수원 김균섭 사장은 28일 과천정부청사에서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영광원전 민관 합동조사단'의 원전 부품 품질검증서류 조사과정에서 시험성적서 위조사례를 추가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에 추가 확인된 시험성적서 위조 부품은 국내 3개 업체에서 영광 5, 6호기에 납품한 총 6개 품목 74개 부품이다.
이 중 원전에 실제 설치된 부품은 영광 5, 6호기 1차기기 냉각수 열교환기의 해수계통 차단밸
원자력안전위원회가 품질검증서 위조 원전부품 파문과 관련, 민·관 합동조사단 조사과정에서 위조 납품업체 1곳을 추가로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안전위에 따르면 해당 업체로부터 공급된 퓨즈·계전기 등 3개 품목 46개 부품이 영광원전 5호기에 설치돼 있으며 상세한 사항은 조사 중에 있다.
한편 영광원전 5호기는 지난 5일 원전부품 품질검증서 위조 발표이후
김균섭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최근 벌어진 위조 원전부품 품질검증서 사태를 수습한 후 사퇴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사장은 7일 국회 지식경제위원회에서 원전 사태에 대한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지자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면서 “모든 책임을 지고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김 사장은 당장 사퇴하라는 일부 의원들의 촉구에는 “수습을 하고 물러나는 것
정부가 위조 원전부품 파문으로 위기를 맞은 겨울철 전력수급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시간이 촉박한 만큼 단기간에 쓸 수 있는 카드는 다 쓰겠다는 입장인데 상황이 쉽지만은 않다.
7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조석 제2 차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전력수급비상대책본부를 마련, 산하 에너지기관들과 연계해 강도 높은 비상대책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홍석우 지경부
원자력안전위원회 민·관 합동조사단이 오는 8일부터 원전부품 품질검증서 위조사건과 관련 본격적인 조사활동에 들어간다.
원안위는 7일 위조 원전부품 품질검증서 사건과 관련해 민·관 합동조사단을 구성하고 오는 8일부터 첫 회의를 개최, 조사팀별로 본격적인 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민·관 합동조사단은 원안위 위원인 권동일 교수와 서울대 기계공학과 이준식 교수를
올 겨울 전력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위조 품질검증서를 통한 원전 부품 납품 사실이 적발되면서 영광 5, 6호기가 가동을 중단한 탓이다. 이에 정부가 초고강도 전력수요 대책을 구상하고 있지만, 9·11 정전사태와 같은 제2의 블랙아웃 사태가 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6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2003년부터 9년간 영광 5, 6호기 등 국내 원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