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인 12일 서울 중구 남산골한옥마을에서 ‘청사진’ 행사가 열렸다. 푸른 뱀의 해 첫 보름달을 보며 청사진을 그리듯 한 해를 계획하고 소원을 빌어보자는 취지로 마련한 이날 행사에선 달집에 소원지 달기, 부럼 나눔, 귀밝이술 체험, 지신밟기와 달집태우기 등이 진행된다.
한국서부발전이 정월대보름을 맞아 지역사회 전통문화 보존과 주민 화합을 위한 지역상생 사회공헌활동을 펼쳤다.
서부발전은 12일 태안 경이정과 태안초등학교에서 진행된 '태안 범군민 중앙대제'와 '전통민속놀이 화합 한마당' 행사를 지원했다. 또 지난달 태안향토문화연구회 지역 기록물인 태안문화 발간도 도왔다.
정월대보름이자 수요인 12일은 한파가 잠시 꺾이겠으나 시간당 눈이 최대 3㎝씩 강하게 내릴 수 있어 출근길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아침 최저기온은 -5~6도, 낮 최고기온은 3~13도로 예보됐다. 기온이 평년(최저 -10~1도, 최고 3~10도)보다 1~5도 높겠다. 다만 다음 날인 13일에는 기온이 다시 3~7도 떨어지며 최
정월대보름인 12일은 새벽부터 전국이 대체로 흐린 가운데 비 또는 눈이 내리겠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아침 최저기온은 -4∼6도, 낮 최고기온은 2∼12도로 예보됐다. 서울은 아침 0도, 낮 최고 4도를 기록하겠다.
강원 내륙·산지와 충북 북부, 전라권, 경북 북동 내륙, 경남 서부 내륙, 제주도는 저녁까지 눈·비 소식이 있다.
예상 적설량은 서울·
정월대보름을 앞두고 기상악화에 따른 생산량 감소 등으로 오곡밥 재료가 지난해보다 16% 이상 오르는 등 곡물 물가가 상승했다. 11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오곡밥과 부럼 재료 등을 살펴보고 있다. 10일 한국물가정보가 오곡밥과 부럼 재료 등 주요 10개 품목을 조사한 결과 전통시장은 13만9700원, 대형마트는 18만5220원으로 조사됐다. 오
"내 더위 사"
그 누구보다 재빠르게 더위를 팔아야 할 '정월대보름'이 다가왔습니다. 정월의 보름날을 가리키는 음력 1월 15일, 올해는 2월 12일인데요.
과거 구정보다 더 성대하게 지냈던 명절이었던 '정월대보름'인 만큼 건강과 풍요로움을 기원하고 액을 쫓기 위한 풍습과 음식도 다양한데요. 부럼깨기와 쥐불놀이, 달집태우기 등 다양한 풍습이 오늘도 이어
롯데백화점은 정월대보름을 맞아 12일까지 전국 전 점포에서 부럼 행사를 진행한다고 11일 밝혔다.
행사 기간 호두, 땅콩, 밤 등의 부럼과 찹쌀, 보리 등의 오곡을 최대 30% 할인 판매한다. 원하는 부럼(땅콩, 통마카다미아, 피스타치오, 호두)을 선택ㆍ포장할 수 있는 ‘부럼 햄퍼 기프트 2종’도 기획 판매한다.
서울시가 한옥 주거문화의 매력과 가치 공감 확대를 위해 전시·체험·투어·공연·강연 등 다채로운 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북촌의 대표 공공시설로 자리매김한 서울시 1호 공공한옥 북촌문화센터에서는 매월 문화 체험 행사인 '북촌도락'을 통해 정월대보름(2월), 3.1절(3월), 가정의 달(5~6월), 여름맞이(7~8월), 동지(12월) 등 절
정월대보름(12일)을 앞두고 오곡과 부럼 재료 구매 비용이 지난해보다 크게 올랐다.
가격조사기관 한국물가정보는 오곡과 부럼 재료 등 주요 10개 품목의 가격을 조사한 결과, 전통시장은 13만9700원, 대형마트는 18만5220원으로 각각 조사됐다고 9일 밝혔다. 전년 대비 전통시장은 6.2%, 대형마트는 8.0% 올랐다.
조사 대상은 오곡밥 재료 5
분기말 효과 소멸로 인한 금융기관 외화예수금 감소 등의 영향으로 1월 외환보유액이 46억 가까이 떨어졌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25년 1월 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110억1000만 달러로 정월 말(4156억달러)보다 45억9000만 달러 줄었다. 이는 2020년 6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이날 서울 중
오늘(3일)은 24절기 중 하나인 입춘이다.
입춘(立春)은 설립(입)에 봄 춘을 쓰며 말 그대로 봄이 시작하는 날이라는 뜻이다.
입춘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절기다. 입춘은 태양의 황경이 315˚에 드는 때로 아직 매우 추운 겨울이지만 햇빛이 강해지고 밝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24절기의 명칭은 중국
음력 1월 1일. 까치의 설은 어제지만 우리의 설은 오늘이라는 그 설날. 설이 다가오면서부터 한국인들은 분주해지는데요. 약 한 달 전부터 진행되는 기차표 전쟁에 뛰어들어야 하죠. ‘연어 티켓팅’이라고 불리는 귀향길 표 쟁취전을 전 국민을 대상으로 벌이는데요. 그나마 이번에는 설 연휴가 길어 나아진 편이라고 하지만 25일부터 28일(토~화) 하행선
전통과 현대가 만나다…설 연휴 문화 축제가족과 함께 즐기는 국립박물관 특별 전시극장에서 누리는 설맞이 영화 할인 이벤트
올해 유난히 긴 설 연휴에 발맞춰 가족과 연인, 친구들과 함께 즐길 만한 전시 및 영화 프로그램 등 각종 문화 행사들이 풍성하게 준비돼 있다.
23일 문화계에 따르면, 남산골한옥마을은 '2025 남산골 설축제 새해 꽃등'을 28일부
파리바게뜨가 ‘행복과 건강을 담은 2025 소원성취’를 테마로 다양한 베이커리와 디저트로 구성된 설 선물세트를 출시했다.
대표 제품은 정월 대보름의 ‘부럼 깨기’에서 모티브를 얻어 ‘힘이 아자잣! 복이 호두둑’이라는 슬로건을 바탕으로 잣과 호두 등의 견과를 활용한 제품이다. 잣을 카스텔라에 듬뿍 넣어 고소함과 솔향이 입 안 가득 퍼지는 ‘힘이 아자잣!
카톡 프로필을 바꾸려 휴대폰 앨범을 훑다가 오래전에 찍어 둔 달무리 사진 몇 장을 발견했다. 달무리는 빛이 대기 중 수증기나 얼음 결정을 지나면서 굴절, 즉 그 경로를 바꾸는 데서 비롯된 현상이다. 동그란 띠가 생긴 이유를 안다 하더라도, 청회색과 회갈색 구름이 차례로 달을 감싸 안은 광경은 신비롭고 몽환적이다.
재미있는 건 달 모양이다. 반달이나 초승
8월초 아사히카와 여름축제서 사물놀이, 수원갈비, 수원왕갈비 통닭 알려클루지나 포카(루마니아)·톨루카(멕시코)·하이즈엉(베트남) 등 우호활동하반기 시엠립(캄보디아)·얄로바(튀르키예) 등 방문해 기념사업 진행 예정
K-문화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1990년대 드라마에서 시작한 한류는 음악과 다양한 콘텐츠를 넘어 최근 K-푸드(음식)까지 ‘가장 한국
지난 주말부터 진짜 여름이 시작된 듯하다. 토요일 낮 한 카페에 들렀는데 많은 사람이 아이스 음료를 마시고 있었다. 사실 우리나라 사람들이야 한겨울에도 얼죽아, 즉 ‘얼어 죽어도 아이스아메리카노’로 유명해 외국 신문에서도 다뤘을 정도이니 여름에는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런데 개중에는 차가운 음료를 마신 것도 모자라 남은 얼음을 입에 넣고 깨물어 먹기도 한다.
달집태우기를 하는 정월 대보름을 맞아 산불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 산림청은 대응 태세를 강화하기 위해 비상 근무를 실시한다.
산림청은 정월 대보름인 24일 산불재난 상황에 대비해 중앙산림재난상황실 비상근무를 강화한다고 23일 밝혔다.
산림청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정월 대보름 기간에 연평균 7건의 산불이 발생하고 산림 43㏊가 불에 탔다. 특히 20
정월대보름이자 토요일인 24일은 전국이 대체로 흐리고 곳곳에 비가 내리겠다.
23일 기상청에 따르면 24일 새벽에는 전남 해안에 0.1㎜ 미만의 빗방울이, 오전까지 강원 영동과 경상권 동해안에는 0.1㎜ 미만의 빗방울이 떨어지거나 0.1㎝ 미만의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다.
24일 밤부터 25일 새벽까지에는 충남서해안과 충청남부내륙, 전북, 경북서부내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