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결과 1114명의 조합장이 선출됐다. 선거법 위반 적발 건수는 꾸준히 감소했지만 여전히 500건 이상이 확인됐다.
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전날 치러진 제3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결과 1114명의 조합장이 선출됐고, 21일부터 4년 임기가 시작된다.
이번 조합장 동시선거에는 2590명의 후보자가 출마해 평균 2.3대 1의
[경제]
◇기획재정부
17일(월)
△기재부 1차관 디지털경제 및 디지털 실크로드 국제회의(중국, 17~19일)
△기재부 2차관 OECD 국제재정포럼(프랑스, 17~21일)
△제11차 투자지원 카라반(석간)
△국제금융공사(IFC) 고위직에 한국인 최초 진출
△수산물 가격 동향 및 전망
18일(화)
△부총리
◇기획재정부
17일(월)
△기재부 1차관 디지털경제 및 디지털 실크로드 국제회의(중국, 17~19일)
△기재부 2차관 OECD 국제재정포럼(프랑스, 17~21일)
△제11차 투자지원 카라반(석간)
△국제금융공사(IFC) 고위직에 한국인 최초 진출
△수산물 가격 동향 및 전망
18일(화)
△부총리 08:00 국무회의(서울청사)
△BEP
첫 전국 조합장 동시선거가 끝났지만 전국 곳곳에서 불법선거로 고발당하거나 구속된 당선인이 많아 무더기 재선거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13일 전국 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전국에서 이번 선거를 통해 선출된 조합장 1326명 중 181명(13.7%)이 수사 대상에 올랐다.
당선인 10명 중 1명 이상이 수사 대상에 오른 것이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34명
올해 처음 실시된 조합장 동시선거 결과 농협 지역조합장의 절반 가량이 새로운 인물로 교체됐다.
12일 농협에 따르면 3.11 조합장 동시선거 결과 당선 조합장 1109명 중 신임 조합장은 517명으로 전체의 46.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전 선거시 때의 신임 조합장 당선비율(41.2%)에 비해 5.4%포인트 높은 것이다.
이에 대해 농협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 선거가 마무리되면서 유권자 10명 중 8명이 투표하는 높은 열기를 보였지만, 부실 명부와 금품 수수 등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 후폭풍이 예상되고 있다.
11일 경인지역 165개 조합(198개 조합 중 단독후보 무투표 당선지역 제외)을 대상으로 한 조합장선거에서 1326명(농·축협 1115명·수협 82명·산림 129명)이 조합장으로
농협중앙회는 오는 11일 실시되는 동시조합장 선거를 앞두고 농축협 조합장 입후보자를 모르는 ‘깜깜이 선거’라는 지적에 대해 통계 수치를 들며 반박했다.
농협 선거관리사무국은 조합장 동시선거 후보자 2600여명 현황을 분석한 결과, 조합장 후보자들이 조합원으로서 자격을 유지한 기간이 평균 24년4개월이며, 15년 이상 자격유지 조합원이 83.4%인 반면,
# 지역의 한 축협이 교육지원사업비 예산을 전용해 2년간 명절 선물로 하나로마트 교환권 9억6000여만원 어치나 과도하게 구입한 사실이 최근 감사에서 지적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해당 축협에 ‘기관주의’ 조치하도록 요구했다.
농식품부는 2일 지난해 9~10월 농협중앙회 축산경제부문과 지역 농·축협조합 11곳에 대해 감사를 벌여 위반행위 180건을 적발했다
제1회 전국 동시 조합장 선거 후보자 등록 마지막 날인 25일 전국 시·군·구 선거관리위원회는 후보 등록을 마무리했다.
72명의 조합장을 뽑는 충북은 전날 186명이 후보 등록을 마친데 이어 이날 오후 2시 30분 현재 34명이 추가 등록을 위해 선관위를 찾았다.
충북의 경우 애초 선관위가 예상한 전체 입후보 예정자 수가 230명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전국 농협·수협·축협·산림조합 조합장 동시 선거를 앞두고 이번 설 연휴기간에 금품수수 등 부정선거 단속이 강화된다.
부정선거신고 포상금도 대폭 올라 최대 1억원까지 지급된다.
선거운동기간(2월 26일부터 3월10일까지)이 아직 남아있지만 이미 물밑 선거전이 사실상 시작된데다 각종 모임이 많은 설 연휴기간을 전후해 세뱃돈·식사 제공, 향응 제공 등의 방
농협중앙회는 다음 달 최초로 실시되는 전국 조합장 동시선거에서 부정행위를 뿌리뽑기 위해 부정선거 발생조합에 대해 자금지원을 전면 중단하겠다고 13일 밝혔다.
농협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출입기자단 브리핑을 통해 “부정선거 적발시 신규자금 지원을 중단하고 이미 지원한 자금도 회수할 것”이라며 이같은 내용의 공명선거 추진현황 및 계획을 발표했다.
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