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부품 제조기업 위지트가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고 24일 밝혔다.
위지트에 따르면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3577억 원, 영업이익 138억 원, 당기순이익 16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 915%, 영업이익 279% 증가하고 당기순이익은 흑자전환 했다.
위지트의 이 같은 호실적은 2017년 사업다각화 목적으로 인수
전력∙전자 전문 기업 파워넷이 지난해시장 기대치를 한참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에 더해 그 상승 흐름이 올해도 계속 유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날 파워넷에 따르면 지난해 별도기준 매출 2302억 원, 영업이익 133억 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은 23.7%, 영업이익은 30.4% 증가한 수치다.
회사 관
파워넷이 프랑스 협력사와 공동 개발한 어댑터 제품을 미국 소비자가전박람회(CES 2025)에서 선보이며 본격적인 글로벌 마케팅을 개시했다고 16일 밝혔다.
기업과소비자간거래(B2C) 사업을 공동 추진 중인 프랑스 협력 기업 와이즈인티그레이션(Wise Integration)과 7일부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에서 ‘65w LUXURY
고대역폭메모리(HBM) 소재 및 부품을 제조하는 국가전략기술 사업화 시설로 지정받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핵심부품 제조기업 위지트가 3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15일 위지트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154억 원, 영업이익 38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04%, 148% 증가한 수치다. 별도기준으
파워넷이 상반기에 이어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파워넷은 올해 3분기 누적기준 매출 1827억 원, 영업이익 115억 원이라고 14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4.2%, 영업이익은 31.2% 증가한 수치이며 특히 영업이익의 경우 전일 종가기준 시가총액의 25%에 달하는 실적이다.
분기 실적도 작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8.
파워넷은 17일부터 4일간 전라남도 영광에서 열린 ‘2024 영광 e-모빌리티 엑스포’에서 다양한 리튬인산철(LFP) 제품을 선보였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엑스포는 산업통상자원부, 전라남도, 영광군, 한국자동차연구원 등이 주최했다. 160여 개 기업이 참여해 인공지능(AI), 로봇, 자율주행 등 4차산업과 접목된 e-모빌리티 기술 트렌드와 제품군을
파워넷이 올해 8월부터 국내 뷰티테크(Beauty Tech) 기업 ‘홈 뷰티 디바이스’에 탑재되는 배터리팩을 공급 중이다.
25일 파워넷에 따르면 현재 공급 중인 제품은 리튬 폴리머 계열 배터리로 소형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2가지 모델이다. 연내 추가 모델 공급을 추진 중이다.
최근 배터리 관련 발화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면서 사람의 신체에 직접 접촉
파워넷이 상반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파워넷은 올해 2분기 매출 1183억 원, 영업이익 69억 원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2.0%, 영업이익은 51.2%가 증가한 수치다. 반기 실적 기준으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역대 최대치다.
파워넷 관계자는 “지난해 확보한 신모델들의 성과가 상반기 매출에 크게 기여했고, 계
위지트는 상반기 별도기준 매출 184억 원, 영업이익 12억 원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 및 영업이익은 각각 16%, 43% 증가했다.
연결기준으로는 매출 1376억 원, 영업이익 77억 원으로 지난 1분기에 이어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위지트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의 핵심공정에 적용되는 장비의 소모성 부품(Par
파워넷이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경영 실천을 위한 로드맵 구상을 마치고 단계적 실행계획을 이행해 나간다고 30일 밝혔다.
파워넷에 따르면 지난해 약 4개월간 삼성전자 상생협력센터의 지원을 받아 ESG경영 컨설팅을 받았고, ESG 전담조직 구성을 시작으로 2030년까지 지속가능 경영 보고체계를 구축한다는 중장기 계획을 수립했다.
5월에는 전 임직원
파워넷은 5일 환경의 날을 맞아 전임직원이 참여한 가운데 ‘Green-Walking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파워넷 임직원들은 지역 주민들이 산책이나 생활체육 공간으로 많이 이용하는 안양천에 모여 아침체조를 시작으로 일대를 돌며 생활쓰레기 등 각종 오물을 수거했다.
파워넷 관계자는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환경의 날 기념 아이디어 공
파워넷이 1분기 별도기준 매출 535억 원, 영업이익 29억 원을 기록했다고 17일 밝혔다.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19%, 91% 늘어난 어닝 서프라이즈다.
지난해 글로벌 전쟁이슈, 고환율·고물가·고금리 등으로 소비시장이 크게 위축됐고 현재까지 시장수요 회복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호실적을 기록했다.
파워넷 관계자는 “지난해 불확실한 경영
소부장(소재ㆍ부품ㆍ장비) 기업 위지트가 올해 1분기 호실적을 달성했다.
위지트는 1분기 별도기준 매출 90억 원, 영업이익 6억8000만 원을 기록했다고 17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8%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배 이상 상승했다.
연결기준 매출 629억 원, 영업이익 33억4000만 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회사 관계자는 “국
파워넷이 모로코에 에너지저장장치(ESS) LFP(리튬인산철) 배터리팩을 공급했다.
파워넷은 LFP 배터리 전문업체인 중국 CEL사와 함께 모로코 정부 주관의 ‘스마트 멀티마이크로그리드 R&D 역량강화 실증사업’ 참여를 위해 ESS LFP배터리팩 초도 생산품을 출하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에 공급하는 ESS용 배터리팩은 우리나라 정부의 공적개발원조(O
파워넷이 무선 고속충전 보조배터리와 초소형 어댑터 일체형 제품을 개발해 국내 기업·소비자 간 거래(B2C) 시장 진입을 준비 중이라고 1일 밝혔다.
출시 예정인 제품은 신소재인 질화갈륨(GaN)을 적용한 초소형 65W PD-어댑터와 'QI2' 표준의 무선 고속충전이 가능한 리튬·인산·철(LFP) 보조배터리 일체형 제품이다.
파워넷 관계자는 “시제품에
파워넷이 국내최초 리튬ㆍ인산ㆍ철(LFP)를 적용한 KS표준 배터리팩’ 프로토 개발을 완료하고, 국가표준(KS)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차세대 전력반도체 질화갈륨(GaN)을 적용한 초소형 65W PD-어댑터와 QI2 표준 무선충전이 적용된 LFP 배터리팩 일체형 제품 개발도 완료했다.
19일 파워넷은 “현재 한국자동차연구원에서 KS표준 검증시험을 진행
파워넷이 '배터리 충전시스템 효율 향상 기술' 특허 출원했다고 7일 밝혔다.
이 기술은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스템의 저온성능을 개선한 것으로 동절기 저온 환경에서 배터리의 효율 및 출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기술이라고 한다.
회사 측에 따르면 전기이륜차 공유스테이션 실증사업에 참여를 목표로 '리튬인산철(LFP)을 적용한 표준형 배터리팩'을 개
파워넷이 정부의 배터리 관련 실증 사업 참여를 목표로 중국 LFP(리튬인산철) 셀 전문기업인 CEL사와 협업해 배터리팩 모듈 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3일 밝혔다.
지난달 2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자동차산업의 친환경 전환 대응 및 국내 전기 이륜차산업 활성화를 위해 전기 이륜차 공유스테이션(배터리 교환사용 시스템) 실증사업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파워넷은
파워넷은 3월 프랑스의 차세대 전력반도체 전문업체인 와이즈인티그레이션(Wise Integration)과 초슬림 고효율 아답터 개발에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돈주 파워넷 대표이는 “양사간 최고의 기술을 결합해 전력 전자산업의 새로운 시대의 시작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더 높은 수준의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