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동독 개혁개선형 내지 1980년대 중국 시장사회주의형 개혁 중간단계현 경제체제 일시적 아닌 구조적, 사회주의경제로 절대 못 돌아가
북한 경제가 더 이상 사회주의 경제체제가 아니라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아울러 이같은 변화는 일시적이 아닌 구조적이라는 점에서 결코 사회주의 경제체제로 돌아가는 일은 없을 것으로 봤다
30일 양문수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와 임
박근혜정부와 견줘서도 20.3% 낮춰..ICBM 발사 있었던 2017년 8월 314로 사상최고
문재인정부가 북한발 지정학적 리스크 지수(GPRNK index, 이하 리스크지수)를 극적으로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이 효과만으로도 주가수익률을 최대 1.8%포인트 이상 끌어올린 것으로 추정했다. 직전 박근혜정부와 견줘서도 리스크지수를 20% 넘게 낮춘 것으로
중앙은행·상업은행 분리, 현금돈자리·전자결제카드 제도 도입중앙은행 발권 상업은행 통하고, 지준율 이용 통화량 조절변화 노력 보여, 지원·협력시 속도 낼 듯
함경북도은행, 자강도은행, 현금돈자리, 전자결제카드 제도.
28일 한국은행 북한경제연구실 김민정 부연구위원과 문성민 선임연구위원이 발표한 ‘BOK경제연구, 김정은 시대 북한의 금융제도 변화’ 보고서에
GDP대비 0.72~1.33배, 평양이 전체 40%성장 없는 부동산값 상승 자원배분저해·소득격차 초래
북한 땅값이 1970년대 중후반 남한 수준이라는 추정결과가 나왔다. 다만, 평양과 여타지역간 격차가 큰데다, 성장에 비해 부동산값이 높다는 점은 자원배분을 저해하고 소득격차를 초래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10일 한국은행 북한경제연구실 임송 부연구위원이 내
국제사회의 고강도 제재 영향으로 북한의 총요소생산성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같은 추세는 1970년대부터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설비자산 비율보다 건설자산 비율이 9배나 큰데다, 설비자산이 부족해 전력난, 기계설비 노후화 등에 따른 투자 비효율성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경제발전을 위해서는 개혁·개방은 물론이거니
북한의 자원수출이 제조업을 위축시키며 경제성장을 저해한다는 소위 ‘자원의 저주’도, 동시에 산업투자를 높이고 경제성장에 기여한다는 소위 ‘자원의 축복’도 아니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다만 북한의 4차 핵실험과 대륙간 탄도미사일 실험 이후 2017년 유엔(UN)안보리 결의에 따른 대북제재로 자원수출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없게 됐다고 봤다.
2
국제제재에도 불구하고 북한 물가와 환율이 안정적인 이유는 북한 원화에 대한 신뢰가 북한 사회내에서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왔다. 다만, 외화 감소가 계속되고 북한 원화에 대한 신뢰가 떨어진다면 북한 환율과 물가는 급등할 수 있다고 봤다. 이 경우 한국이 경험한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와 같은 상황을 맞게 되겠지만, 폐쇄경제 탓에 그 상황이 어
북한이 대외개방에 나설 경우 향후 10년간 북한의 주택건설투자 시장 규모는 최소 85조원에 최대 134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결과가 나왔다.
9일 이주영 한국은행 북한경제연구실 연구위원이 발표한 ‘북한지역 장기주택수요 및 연관 주택건설투자 추정’ 자료에 따르면 북한의 주택건설투자 규모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총 65조원(평수기준, 2910만평)
북한이 비핵화로 경제개방에 나설 경우 연 실질국민소득이 최대 4.0%에서 6.8%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4일 정혁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와 최창용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최지영 한국은행 북한경제연구실 부연구위원이 공동 발표한 ‘BOK경제연구, 북한경제의 대외개방에 따른 경제적 후생 변화 분석’ 자료에 따르면 북한의 대외
탈북인들의 채무불이행 건수가 유사한 신용등급을 갖는 남한인(기존주민)에 대해 두 배 더 높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아울러 은행을 이용할 수 있는 고신용자들 중에서도 제2금융권 고금리대출을 받은 비중도 3배나 더 많았다. 남성, 50대, 자영업자일수록 금융지식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착초기 연체율은 두배나 더 높았지만 금융에 대한 학습효과는 3배나
남북한이 통일되더라도 인구 고령화는 막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0일 최지영 한국은행 북한경제연구실 부연구위원이 발표한 ‘통일과 고령화’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도 2004년 이미 고령화사회에 진입한데다 인구규모가 2배 정도 많은 남한의 고령화 속도가 빨라 통일이 고령화를 저지하지 못할 것으로 봤다.
2020년 평화통일을 가정하고 독일의 사례를 차용해
북한의 1인당 국민소득은 1990년에는 세계적으로 하위 30% 수준이었으나 최근에는 11∼16%선으로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문성민 한국은행 북한경제연구실장은 6일 한은이 발간한 ‘통계를 이용한 북한 경제 이해’에 실린 ‘북한 국민소득 통계 소개 및 소득수준 비교’ 논문에서 북한의 국민소득을 추정하는 한은, 유엔,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자료를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