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시에 상장된 중국기업들에 연이어 외부감사 관련 이슈가 발생하면서 또다시 '차이나 포비아'(중국 공포증)가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시장 상장사인 중국 업체 차이나그레이트는 2018사업연도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보고서에서 감사의견으로 '의견거절'을 받았다고 지난 18일 공시했다.
상장폐지 사유로, 거래소
차이나하오란이 최근 상장폐지 위기에 몰리면서,또 다시 중국기업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다. 차이나하오란은 1세대 중국 기업으로 상장폐지가 확정되면, 2007년 이후 국내에 상장한 중국기업 중 절반 가량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했거나 아예 증시에서 사라지게 된다. 중국기업 투자를 기피하는 ‘차이나 포비아(중국 공포증)’ 현상이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전동공구 산업을 영위하고 있는 자회사를 둔 지주사 웨이포트가 중국 기업으로써는 4번째로 국내 자본시장에서 자진 철수를 결정했다. 지난해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자 자진 상장폐지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차이나디스카운트 문제가 또다시 불거진 가운데, 올해만 13개 중국 기업이 국내 자본시장에 상장을 준비하고 있어 근본적인 해결책
전동공구 산업을 영위하고 있는 자회사를 둔 지주사 웨이포트가 중국기업으로써는 4번째로 국내 자본시장에서 철수를 결정했다.
29일 웨이포트는 공시를 통해 자진 상장폐를 위한 지분공개매수를 추진키로 했다고 밝혔다. 공개매수가는 1650원이다. 이같은 소식이 전해지면서 이날 웨이포트 주가는 가격제한폭까지 치솟으면서 1495원을 기록하고 있다.
최대주주인
지난해 국내 주식시장에서 중국 관련 수혜주들의 상한가 소식은 하루가 멀다 하고 들려왔다. 중국의 ‘중(中)’자만 들어가도 주가는 급등했다. 특히 중국 수혜주는 화장품과 음식료, 여행 등의 전통적인 업종에서 바이오와 제지, 악기, 엔터 등 업종을 가리지 않고 외연을 넓혀갔다.
중국 관련 종목이 큰 폭으로 상승한 예는 수없이 많다. 몇 종목 예를 들면 지난해
국내 증시에 상장한 해외기업들의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지난 2011년 발생한 중국고섬의 회계분식 사태 이후 외국 기업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서 여전히 부정적인 시선이 자리 잡고 있다. 코웰이홀딩스, 3노드디지탈, 중국식품포장 등 일부 기업들은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한다고 판단해 스스로 상장폐지 결정을 내리고 국내 증시를 떠났다. 암울한 분위기 속에서도
국내 증권시장에 입성하려는 외국기업이 늘고 있다.
국내 증시의 풍부한 유동성, 여기에 지난 2011년 중국 고섬사태 이후 무너졌던 외국 상장사의 신뢰가 다시 회복되며 최근 10여개 해외기업들이 국내 증시 입성을 준비 중이다. 현재 중국, 라오스, 미국, 일본 등 4개국 15개 기업들이 국내 증시에 상장해 있다. 코스피 4개사, 코스닥 11개사다.
#최근 3년간 국내 주식시장에서 ‘레드 카드’를 받은 기업들의 숫자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국내 주식시장에서 사라진 종목들은 51개로 이는 지난 2011년(75개), 2012년(72개)보다 20여개가 감소한 수치다.
◇2013년 유가증권 시장에서 18개 종목 자취 감춰 =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주식시장에서 상장폐지된 종목
‘희토류’라는 생소한 단어가 증시에 테마로 등장한 시점은 2010년 9월께다. 당시 중국과 일본의 희토류 분쟁이 부각되면서 관련 종목들이 연일 들썩였다. 뒤이어 중국이 희토류 수출쿼터 감축계획을 발표하면서 희토류 가격은 연일 고공행진을 거듭했고 증시에서는 테마주 들썩였다.
희토류는 스마트폰, 하이브리드 자동차, 각종 전략 무기 등 최첨단 산업에 필수적으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국내외 기업의 온도차가 뚜렷해 지고 있다. 하반기 ‘대어(大漁)’ 현대로템의 본격 상장절차 돌입으로 국내 기업들의 투자열기는 점점더 뜨거워지고 있는 반면 중국고섬 사태로 인해 해외 기업들의 증시 입성은 씨가 말랐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4분기에는 현대로템과 코스닥 30여개 기업이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상장
회사 이름이라도 바꾸면 차이나디스카운트 사라질까.
국내증시에 상장된 중국기업들이 잇따라 사명을 바꾸고 있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5일 차이나킹 하이웨이홀딩스리미티드는 기업 이미지 제고를 위해 씨케이에이치푸드앤헬스리미티드(CKH Food&Health Limited)로 상호를 변경한다고 공시했다.
이에 앞서 지난해 4월20일에
△로보스타, 16억 규모 공급계약 체결
△인터엠, 조용구씨 보통주 6만8554주 처분
△이큐스앤자루, 윤정혁 대표 보통주 4만8900주 매수
△한국거래소, 빙그레 ‘웅진식품 인수추진설’ 조회공시
△비에이치아이, STX중공업과 174억 규모 공급계약
△한스바이오메드, 145억 규모 송파구 일대 토지 매입
△한국거래소, 한국유리공업 부동산
△동양건설, M&A 우선협상 대상자 노웨이트 컨소시엄 선정
△거래소, 한진해운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예고
△3노드디지탈, 27일부터 주권매매거래 정지 해제
△현대피앤씨 “시황변동 사유 없다”
△진흥기업 "건축공사, 토목공사 등 수주 추진중"
△현대증권, 김신 대표 사임...윤경은 단독 대표 체제 변경
△한진해운홀딩스, 1분기 연결 영업손
코웰이홀딩스, 3노드디지탈에 이어 중국식품포장이 자진 상장폐지를 결정했다. 중국 고섬 사태 이후 이른바 ‘차이나 디스카운트’로 인해 더 이상 국내 증시에 상장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 주된 원인이다.
일각에서는 남아있는 중국 상장기업들 가운데 자진 상폐를 고민하고 있는 곳도 있어 앞으로 자진 상폐가 이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16일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한 다섯번째 외국기업인 중국식품포장이 상장 4년2개월여만에 자진 상장폐지키로 결정했다.
중국식품포장은 15일 공시를 통해 자진 상장폐지 신청을 위해 주당 4500원에 공개매수를 실시했고 밝혔다. 매수 기간은 이날부터 다음달 11일까지다.
중국식품포장은 “Can Solutions 홀딩스가 이번 공개매수를 통해 지분을 충분히 확보한 후
3노드디지탈그룹유한공사는 한국거래소에 자진상장폐지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8일 공시했다.
투자자보호를 위해 상폐 이후에도 6개월간 최대주주 3NOD Investment(홍콩)이 소액주주 주식을 주당 1200원에 매수할 계획이다.
한편 한국거래소는 상장폐지 결정일까지 주권매매거래를 정지한다고 밝혔다.
대부분의 테마주들이 시장에 떠도는 허황된 루머나 과장이 시발점이 됐다. 하지만 2009년 증시를 뜨겁게 달궜던 자전거 테마주는 정부가 바람을 일으켰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다. 꺼질 만하면 ‘저탄소 녹생성장’을 외치면서 정부 정책이 뒷받침 하거나 대통령의 립서비스(?)가 더해지면서 무한대로 확대 재생산됐다. 페달을 밟아 움직이는 자전거에 엔진(정부정책)뿐 아
△울트라건설, 1000억 규모 채무보증 결정
△엔터기술, 상장폐지 결정 효력정지 가처분신청
△한성엘컴텍 “아직 감사보고서 받지 못했다”
△글로스텍, 상장폐지 관련 이의신청서 제출
△엘엠에스, 30억 규모 자사주 신탁계약 해지
△홈캐스트, 36억원 멕시코 STB 공급계약
△현대중공업 “프랑스 정유사 해양설비 수주”
△롯데관광개발, 상장폐지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