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시장에서 페이스북, 밴드,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등 주요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률이 소폭 하락한 가운데 인스타그램만 15% 가량 증가하며 나홀로 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SNS 사용자의 절반이 이용하는 인스타그램은 페이스북의 뒤를 바짝 뒤쫓으며 2위 SNS로 자리매김한 모습이다.
15일 KT그룹의 디지털 미디어렙 나스미디어가
출시 초반 만만치 않은 기세를 올리고 있는 LG전자 프리미엄 스마트폰 ‘G6’가 암초를 만났다. 국내 이동통신사가 기가급 LTE(4밴드 LTE-A) 가입자 확보를 위해 G6를 버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어서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이동통신사들은 4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를 묶어 LTE로 사용할 수 있는 ‘4밴드 LTE-A’를 상반기
4세대(G)와 5G 시대의 건널목이 될 ‘LTE-A 프로’의 상용화가 올해 상반기로 예상되는 가운데 삼성전자의 신작 ‘갤럭시S8’이 LTE-A 서비스를 지원하는 선두주자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8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7’에서 삼성전자와 SK텔레콤은 LTE 최고 기술인 5밴드 CA(주파수 집성)
SK텔레콤이 올 상반기 2배 빠른 LTE 기술을 상용화한다. 1.7GB의 고화질(HD급) 영화 한 편을 15초 만에 내려받을 수 있게 되는 셈이다.
SK텔레콤은 4세대(G) 통신 LTE의 마지막 단계인 LTE-A 프로(LTE-Advanced Pro) 기술을 상용망에서 시연하는 데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프랑스 3대 이동통신사중 하나인 브이그텔레콤이 LG유플러스의 통신 기술을 벤치마킹하기 위해 한국을 찾았다.
LG유플러스는 6일 브이그텔레콤의 주요 임원진이 LTE 성과와 IoT, 5G 준비상황 등의 노하우를 경험하기 위해 용산사옥 및 상암사옥 등을 전날 방문했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LTE 전국망을 구축하며 LTE 시장을 선도했고, 현재 이용중인
LG유플러스는 시험용 5G 기지국에서 3밴드 LTE-A 기술보다 100배 이상 빠른 최대 31Gbps의 전송 속도를 시연하는 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속도를 이용하면 2GB 고화질 영화 한 편을 0.1초만에 내려받을 수 있다.
이번 기술 시연은 글로벌 네트워크 장비업체인 화웨이와 함께 서울 금천구 독산동의 사옥 기술 실험실에서 했는데 5G 네
최근 끝난 국정 감사에서 지적된 이동통신사들의 부당행위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가 어떤 판결을 내릴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녹색소비자연대 전국협의회 ICT소비자정책연구원은 19일 국감에서 지적된 KT ‘기가 LTE’ 광고에 대해 표시광고법 위반 여부에 대해서도 조사 신고를 접수했다. 더불어 통신사의 가입자인증모듈(USIM) 폭리, 구글 앱 선탑재 강제, 이
KT가 LTE와 와이파이 묶음 기술을 활용해 운영중인 ‘기가 LTE’서비스가 수도권 일부지역을 제외하곤 대부분 지역에서 구현되기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기지국 수도 이동통신 3사 중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7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간사의원(서울 중랑을)이 미래부가 제출한 '이통3사 전국 기지국 구축 현황' 자료를
15초면 고화질 영화 한 편을 내려받을 수 있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초고속 LTE 기술이 상용화되는 등, 이동통신사들의 속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SK텔레콤은 이르면 이달 말 3개 광대역 주파수를 묶어 전송 효율을 극대화한 256쾀(QAM) 기술 기반의 ‘트리플광대역 LTE’를 상용화한다.
이 기술은 최고 속도 600Mbps로, 1GB 용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장동현)은 ‘갤럭시노트7’의 사전판매를 이달 6일 오전 9시부터 18일까지 공식인증대리점과 온라인몰 ‘T월드다이렉트(www.tworlddirect.com)’에서 실시한다고 4일 밝혔다. T월드다이렉트에서 신청 시 16일부터 빠르게 단말을 배송 받을 수 있다. 갤럭시노트7 출고가는 98만8900원이고 64GB 메모리 버전으로 출시된다
SK텔레콤과 KT가 2년 전 롱텀에볼루션(LTE)에 이어, IoT 전국망 상용화를 놓고 ‘국내 최초’ 경쟁을 재현하고 있다. 한정된 국내 시장에서 경쟁을 하다보니 서비스 경쟁이 치열해진 탓으로 해석된다.
SK텔레콤은 4일 SK텔레콤이 IoT 전용망 ‘로라(LoRa)’ 네트워크를 세계 최초로 전국 상용화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로라 네트워크를
LG유플러스는 영국 런던에서 열린 ‘글로벌 텔레콤 비즈니스(GTB) 이노베이션 어워드’에서 세계 최초 LTE 기반 음성통화(VoLTE) 로밍 서비스 상용화로 ‘모바일 인프라 혁신상’을 받았다고 29일 밝혔다.
VoLTE 로밍은 해외에서도 LTE망을 통해 국내와 동일한 수준의 HD급 음성통화와 고화질 영상통화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LG유플러스는 지
SK텔레콤은 내달 1일부터 최고 속도 500Mbps가 가능한 'LTE-A 프로(Pro)'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2일 밝혔다.
LTE-A 프로는 국제 이동통신 표준화 단체인 3GPP가 작년 10월 확정한 4G(세대) 이동통신기술 LTE의 최종 단계다. 256쾀(QAM) 등의 기술을 통해 데이터 전송량과 속도를 평균 2배 향상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기존
이동통신 3사가 주파수 대역을 4∼5개씩 묶어 무선 통신 속도를 높이는 기술을 1년 안에 상용한다. 이 서비스가 시행되면 영화 한 편을 다운 받는데 13초 밖에 걸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등 단말기 제조사들이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4밴드 CA(주파수 묶음)가 가능한 칩셋을 개발하고 있다. 이 기술은 갤럭시S7을 잇는
경매가가 3조원을 육박할 것으로 전망됐던 이동통신 주파수 경매가 이틀만에 싱겁게 끝났다. 4개 대역에서 2조1106억원의 최종 낙찰가를 기록하면서 예상치를 크게 밑돌았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달 29일에 이어 2일 속개된 주파수 경매에서 최종 낙찰자가 결정돼 경매가 종료됐다고 이날 밝혔다. 최저경쟁가격 7620억원이었던 A블록(700㎒)은 유찰됐지만
국내 이동통신사들이 5G 주도권을 잡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4G LTE 이후 다시한번 최초 경쟁을 벌이면서 초기 시장 선점에 사활을 걸고 있다.
18일 통신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과 KT 오는 22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6'(MWC 2016)에서 나란히 5세대(5G) 통신 기술을 선보인다.
KT는
LG유플러스는 3밴드 LTE-A 속도를 약 33% 높이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다고 16일 밝혔다.
지난해 6월 중국 화웨이와 개발한 ‘256QAM’ 기술을 상용망에 적용하는 것이다. 주파수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인데, 이론적으로 최고 400Mbps의 속도를 낼 수 있다.
이에 따라 LG유플러스의 3밴드 LTE-A를 이용하는 소비자는 1GB 용량
KT와 SK텔레콤이 5세대(5G) 통신 서비스 세계 최초 타이틀을 두고 신경전을 펼치고 있다. 5G 통신 주도권을 잡기 위한 포석이다.
KT는 15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20Gbps 속도의 5G 통신망을 시범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20Gbps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정의한 5G 통신의 최소 충족 사항으로 초기 LTE에 비해 270배
국내 이동통신 3사 중 SK텔레콤의 LTE서비스 품질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올해 이통 3사의 광대역 LTE-A, 광대역 LTE, 3G 서비스의 속도는 모두 느려진 것으로 조사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30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15년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정부가 평가한 무선인터넷을 보면 전국 LTE 서비스의
KT가 3밴드 LTE-A 허위광고로 손해를 입었다며 SK텔레콤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을 취하했다. 이로써 양사의 LTE 서비스와 관련한 법적 공방이 모두 일단락됐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3월 SK텔레콤을 상대로 10억원 규모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낸 KT는 지난달 11일 서울중앙지법에 소 취하서를 제출했다. SK텔레콤도 소 취하에 동의했다.
당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