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기준원ㆍISS, 도입 ‘반대’“오히려 소수주주권 제한”vs ESG평가원ㆍ글래스루이스“장기 지속 성장에 바람직”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의 분수령이 될 임시 주주총회(23일)를 일주일 앞둔 가운데 핵심 안건인 '집중투표제 도입'을 놓고 국내외 의결권 자문사들의 입장 차가 뚜렷해지고 있다. 주요 자문사의 견해가 투자자 표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고
ISS, 집중투표제 '반대' 이사 수 상한 '찬성'한국ESG평가원, 최윤범 회장 측 전폭 지지
23일 고려아연 임시 주주총회를 앞두고 '큰손'들의 의결권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국내외 자문사들이 엇갈린 의견을 내놨다.
글로벌 양대 의결권 자문사 ISS는 집중투표제 도입 안건에는 반대하면서도 이사 수 제한, MBK파트너스·영풍 측이 제안한 사외이사
한미약품그룹 오너가 경영권 분쟁이 19일 열리는 한미약품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정점을 찍을 것으로 보인다. 이날 임시 주총은 한미사이언스 측에서 제기한 박재현 한미약품 대표의 사내이사 해임 안건이 상정됐다. 특히 한미약품 지분 약 39%를 소유한 소액주주의 선택에 따라 박 대표의 운명이 결정되고, 경영권 분쟁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18일 업계에 따르
이달 19일 열리는 한미약품 임시 주주총회에 상정된 박재현 사내이사(한미약품 대표이사) 해임안에 국민연금공단과 국내외 주요 의결권 자문사 모두 반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민연금기금 수탁자책임 전문위원회는 13일 제16차 위원회를 열고 한미약품 주주총회 안건에 관한 국민연금 의결권 행사 방향을 심의했다. 국민연금은 박재현·신동국 이사 해임의 건과 기
IBK기업은행의 추천 후보인 손동환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KT&G 사외이사로 최종 선임됐다.
28일 기업은행에 따르면 이날 KT&G 인재개발원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손 교수를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하는 안건이 통과됐다. 사외이사 임기는 3년이다.
손 신임 사외이사는 공정거래법, 상법 등 경제법과 기업경영 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며 정치적
한미약품그룹 경영권 분쟁의 분수령이 될 지주사 한미사이언스의 정기주주총회에서 국민연금공단이 캐스팅보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OCI그룹과 통합을 추진하는 송영숙·임주현 모녀 측과 이를 반대하는 임종윤·종훈 형제 측의 표심잡기 싸움이 팽팽한 가운데 국내외 의결권 자문사들의 의견도 엇갈리면서 국민연금의 결정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26일 본지 취
한미약품이 경영권 분쟁 가열 속에 강세를 보이고 있다.
25일 오후 1시 39분 현재 한미약품은 전 거래일 대비 4.95% 오른 34만9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한국ESG평가원은 창업주의 장·차남인 임종윤·종훈 한미약품 사장 측의 주주제안에 찬성하는 의견을 밝혔다.
평가원은 "모녀 측이 주도한 OCI와 통합 계약은 절차적 정당성이 떨어지고,
한국ESG평가원은 25일 한미사이언스 주주총회에 상정된 이사 선임 안건에 대해 창업주 아들 측의 주주제안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앞서 창업주의 장·차남인 임종윤 한미약품 사장, 임종훈 한미정밀화학 대표 측은 OCI 그룹과의 통합에 반대를 표명하면서 이사진 5명에 대한 선임안을 주주제안 했다.
이에 대해 평가원은 "모녀(창업주 배우자인 송영숙 한미약품그
70대 사외이사 전체의 9%, 3040은 7%전직 교수, 관료, 법조 순으로 많아"전문경영인 출신 10%에 그쳐…현업 이해 부족" 지적
지난해 국내 100대 상장사 사외이사 중 50~60대가 84%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중인 가운데 70대 사외이사가 30~40대 사외이사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경영인 출신 사외이사 비율도 10%에 불과한 것
행동주의 펀드 vs 외국인 국내외 의결권 자문사 가세KT&G, 28일 주총에서 FCP와 글래스루이스 간 의견 갈려KT도 차기 CEO 후보자 선임 앞두고 몸살…국민연금 반대글로벌 의견권 자문사, 외국인과 기관투자자에 높은 영향
최근 국내 시장을 휩쓴 행동주의 펀드로 시작된 2023년 주주총회 제안이 대내외 의결권 자문사와 외국인 등 소액주주 등에 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