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20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상품·서비스·투자·원산지·경제협력 등 논의
우리나라와 말레이시아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위한 일곱 번째 공식 협상이 열린다. 정부는 이번 협상에서 상품·서비스·투자·원산지·경제협력 등 11개 분야별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20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한-말레이시아 FTA 제7차
정부가 13일 중국과 자유무역협정(FTA) 후속 협상을 벌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오전 10시 30분 중국과 한중 FTA 서비스·투자 후속 협상 수석대표의 화상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한국 측에선 이경식 산업부 FTA교섭관, 중국 측에선 위번린 상무부 국제사 사장이 수석대표로 참석한다. 양측 정부 부처 대표단 20여 명이 함께한다.
양국은
정부가 에콰도르와 수교 60주년을 맞아 상품과 서비스 등 주요 분야에 대한 공식 협상을 6년 만에 재개했다. 정부는 에콰도르를 중남미의 거점으로 만들어 남미 신흥시장과 협력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한국 정부와 에콰도르 정부는 11일부터 21일까지 서울에서 대면과 화상을 통한 전략적경제협력협정(SECA) 6차 협정을 진행한다.
이번 협상은 이경식 산업
한국과 걸프협력회의(GCC) 6개국의 자유무역협정(FTA) 공식 협상이 28일부터 열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자원 부국인 GCC와의 FTA 체결 시 안정적인 에너지 협력관계 기반을 마련하고 공급망 안정성 확보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2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과 걸프협력회의(GCC) 6개국 간 자유무역협정(FTA) 제4차 협상이 28일부
한국과 GCC(걸프협력이사회) 간 FTA(자유무역협정) 협상이 재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GCC 측이 협상 중단을 선언한 2010년 이후 약 10년 만이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나예프 알 하즈라프 GCC 사무총장과 만나 한-GCC FTA 협상 재개 추진에 합의하는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양측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개선을 위한 제4차 협상이 17∼19일 화상으로 열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경식 FTA 교섭관을 수석대표로 한 정부 대표단 30여명이 펠리페 로페안디아(Felipe Lopeandia) 칠레 외교부 양자경제국장을 수석대표로 하는 칠레 정부 대표단과 사흘간 협상을 벌인다고 16일 밝혔다.
한-칠레 FTA는 2004년 우리나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면이 안정되더라도 비대면 통상 협상은 새로운 협상 방식으로 지속해서 활용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에 효과적인 비대면 통상협상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With 코로나 시대, 비대면 통상협상 전략' 논의를 위한 민·관 통상 전문가 화상 간담회를 열고 비대면 방식 협상의 전략과 핵심
제9차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서비스·투자 후속 협상이 26~30일 화상회의로 열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회의에 이경식 산업부 FTA교섭관과 양정웨이(楊正偉) 중국 상무부 국제사 부사장이 수석대표로 참석한다고 25일 밝혔다.
그간 양국은 서비스·투자·금융 분야에서 시장개방 확대 및 투자 보호 강화를 위해 8차례 공식협상 및 회기 간 회의를 개최
한국과 중국이 비대면 경제 활성화와 양국 간 전자상거래 교역 확대 등을 고려해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전자상거래 위원회' 신설을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양국 간 FTA 이행현황을 점검하고자 '제3차 한중 FTA 공동위원회'를 화상으로 열었다.
이번 회의에서 우리 측은 이경식 산업부 FTA 교섭관, 중국 측은 첸닝(Chen Nin
제8차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서비스·투자 후속 협상이 22~23일 화상회의로 열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회의에 이경식 산업통상자원부 FTA교섭관과 양정웨이(楊正偉) 중국 상무부 국제사 부사장이 수석대표로 참석한다고 20일 밝혔다.
그간 양국은 서비스·투자·금융 분야에서 무역규범 고도화 및 상호 시장개방 확대를 위해 7차례 공식협상 및
제7차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서비스·투자 후속 협상이 26~29일 화상회의로 열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회의에 이경식 산업통상자원부 FTA교섭관과 양정웨이(楊正偉) 중국 상무부 국제사 부사장이 수석대표로 참석한다고 26일 밝혔다.
그간 양국은 서비스·투자·금융 분야에서 상호 시장개방 확대를 위해 6차례 공식협상 및 회기간 화상회의를
유명희 신임 통상교섭본부장이 "다시 한번 통상교섭본부의 역량을 모아 새로운 질서에 맞는 전략을 마련해야 할 때"라며 적극적인 통상 외교를 강조했다.
유 본부장은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최근 3개월 연속 수출이 감소하는 등 수출 여건이 심상치 않고 자동차 232조에 따른 불확실성도 남아 있어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이렇게 말했
산업통상자원부는 15~17일 부산 해운대구 파라다이스호텔에서 중국과 '제3차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서비스‧투자 후속협상'을 연다고 14일 밝혔다.
한중 양국은 2015년 한중 FTA 체결에 이후 지난해부터 서비스·투자 시장 개방도를 높이기 위한 후속 협상을 진행해 왔다. 산업부는 협상이 타결되면 중국 서비스 시장을 선점하고 국내 투자자 보호를
산업통상자원부는 11~12일 서울에서 인도와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 제7차 개선협상'을 연다고 10일 밝혔다.
2010년 발효된 한·인도 CEPA는 양국 간 시장 개방을 확대하는 일종의 자유무역협정(FTA)이다. 두 나라는 CEPA의 개방도를 확대하기 위해 2016년부터 개선협상을 진행해 왔다. 올 7월 문재인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
우리나라 최초의 자유무역협정(FTA)인 한-칠레 FTA를 개선하기 위한 협상이 개시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칠레 FTA 개선 1차 협상이 서울에서 28~30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상은 2016년 11월 양국 통상장관이 한-칠레 FTA 개선협상 개시를 선언한 이후 처음 열리는 공식협상으로 우리 측에선 김기준 산업통상자원부 FTA교섭관이
정부가 아·태 지역 메가 자유무역협정(FTA)인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 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 추진에 대한 우리 제조업계의 의견을 청취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김기준 산업부 FTA 교섭관 주재로 주요 제조업 협·단체 관계자를 대상으로 ‘CPTPP 제조업계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CPT
산업통상자원부는 한ㆍ인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제4차 개선협상을 20일부터 21일까지 2일간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협상에 우리 측은 김기준 산업부 자유무역협정(FTA)교섭관, 인도는 산제이 차드하(Sanjay Chadha) 상공부 국장이 수석대표로 참가한다.
양측은 지난해 개선 협상 개시 이후 3차례 공식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공동위원회 특별회기가 8시간 마라톤 회의 끝에 합의를 없이 종료됐다.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은 22일 서울에서 개최된 한미 FTA 공동위원회와 관련해 "미국 측에서는 조속한 개정 협상을 제의했으며 우리는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이날 한미 FTA 공동위 특별회기 회의 후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브리핑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FTA 교섭관은 22일 열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공동위원회 특별회기에서 양국이 합의한 내용이 없다고 밝혔다.
공동위원회 한국측 교체수석으로 미 무역대표부(USTR)와 고위급 대면회의를 진행한 유 교섭관은 이날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회의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1995년 당시 통상산업부가 선발한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