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진석 셀트리온 대표이사는 25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셀트리온 제34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지난해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 합병 후 과도기를 지나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가시적인 실적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건 상정에 앞서 서 대표는 “최근 글로벌 경제환경과 정세가 불안하고 미국 관세 이슈 등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셀트리온(Celltrion)은 지난 22일(현지시간) 미국 코스트코(Costco)의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 계열사 코스트코 헬스 솔루션스(Costco Health Solutions)와 ‘스텔라라(Stelara)’ 바이오시밀러 ‘스테키마(Steqeyma, 성분명: 우스테키누맙)’의 등재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를 통해 미국 전역에 위치한
셀트리온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테키마’(성분명 우스테키누맙)를 미국 대형 유통업체인 코스트코에서 판매한다. 스테키마 미국 출시 후 약 2주 만의 성과다. 앞서 셀트리온은 이달 12일(현지시간) 스테키마를 오리지널 제품의 도매가격에서 85% 할인해 출시했다.
셀트리온은 22일(현지시간) 미국 내 3위 규모 유통업체인 코스트코의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
셀트리온(Celltrion)은 지난 12일(현지 시간)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테키마’(Steqeyma®, 성분명: 우스테키누맙)를 미국에서 출시했다고 13일 밝혔다. 스테키마는 지난해 1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이다.
셀트리온은 스테키마를 오리지널 제품의 도매가격(WAC) 보다 85% 할인된 low WAC
셀트리온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테키마’(성분명 우스테키누맙)를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 출시했다고 13일 밝혔다.
스테키마는 셀트리온이 개발한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다. 지난해 1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판상형 건선,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 오리지널 제품의 전체 적응증에 대해 승인을 획득했다.
셀트리온은 스
‘램시마’ 국내 첫 블록버스터 등극… 업계에 새로운 이정표 제시국내·유럽서 11개 바이오시밀러 제품 라인업 완성… 2030년 22개 제품 확보 목표 순항‘항체명가’ 명성 이어갈 신약개발 본격화… “2030년까지 매출액 40% 신약서 창출”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한 셀트리온이 올해도 매출 신기록을 경신하고,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올해 국내 제약·바이오업계에 새로운 이정표가 예고됐다. 업계 양대 산맥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이 각자 연매출 5조 원을 약속한 것이다. 글로벌 사업으로 성장한 두 기업의 활약으로 K바이오의 위상이 한 단계 올라갈지 주목된다.
26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올해 매출 추정치(컨센서스)는 5조5477억 원으로 집계됐다. 20
삼성바이오에피스, 세 번째로 미국에 스텔라라 시밀러 출시지난해 허가받은 셀트리온‧동아ST, 올해 2월과 5월 출시 목표FDA 허가 스텔라라 시밀러 7개, 대부분 올해 출시…경쟁 예고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미국에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피즈치바’(성분명 우스테키누맙)를 출시하며 첫발을 내디뎠다. 올해부터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가 줄줄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셀트리온이 통합 첫해 연매출 3조5000억 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 기록을 썼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3조5573억 원을 기록했다고 25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대비 1조 원 이상 증가한 규모로, 연매출 3조 원을 넘은 것은 창사 이래 처음이다. 특히 지난해 4분기는 바이오의약품의 고른 성장에 더해 위탁생산(CMO) 매출이 발생하면서 분기
셀트리온이 2025년 목표로 밝힌 매출 5조 원 달성을 위해 영업 기반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27일 셀트리온과 증권업계 등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올해 가이던스인 3조5000억 원 연매출을 안정적으로 달성할 전망된다. 이에 셀트리온은 ‘짐펜트라’(미국 제품명 램시마SC) 처방 확대와 신규 제품 출시 등을 통해 내년 매출 5조 원 달성도 성공적으로 이끈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 위탁개발생산(CDMO)·위탁연구개발생산(CRDMO) 사업의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국내에 20만 리터 규모의 생산시설을 짓고, 2028년부터 본격적인 매출을 일으킬 예정이다.
서 회장은 27일 오후(현지시간) 홍콩에서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투자설명회를 열고 “우리 기술력을 서비스 사업에 쓰는 일이 시작됐다”라며 이같이
유안타증권은 21일 셀트리온에 대해 신규 바이오시밀러 품목이 출시될 예정이며, 램시마 점유율이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짐펜트라 매출도 내년 본격화할 수 있다며 투자 의견을 '매수', 목표 주가를 25만 원으로 유지했다.
하현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셀트리온은 2025년 최대 5개의 신규 시밀러 품목을 출시할 예정으로 현재 6개 품목에서 11개까지 시밀
미국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을 앞둔 상황에 셀트리온이 미국 제약바이오산업의 변화가 자사에 긍정적인 기회가 될 것이라는 전망을 했다.
셀트리온은 12일 ‘주주님께 드리는 글’을 통해 트럼프 정부 출범이 자사의 바이오시밀러 판매 기회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연구원이 지난달 7일 발간한 ‘미국 대선 시나리오별 한국 산업 영향과 대응 방향’ 보고서에
3분기 매출 8819억 원, 누적은 2조4936억 원램시마SC‧유플라이마 등 후속 제품 성장률 112% 짐펜트라 처방 건수, 4월 114건에서 9월 1984건↑
셀트리온이 후속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실적에 힘입어 올해 3분기에 역대 분기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 특히 4분기엔 미국에서 출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 신약 짐펜트라(램시마SC 미국 제품명)의 선전이
HK이노엔, 한국ESG기준원 ESG평가 종합 ‘A+’ 획득
HK이노엔은 한국ESG기준원(KCGS)이 발표한 ‘2024년도 국내기업 ESG평가등급’에서 종합 A+등급을 획득했다고 지난달 28일 밝혔다. 제약바이오기업 중 지주회사를 제외하고 A+등급을 획득한 회사는 HK이노엔이 유일하다.
지난해 첫 KCGS 평가에서 종합 A등급을 획득한 HK이노엔은 올
GC녹십자가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649억 원, 영업이익 396억 원을 기록했다고 1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5.8%, 영업이익은 20.8% 증가했다.
상반기까지 적자를 지속하던 GC녹십자는 올해 7월 미국 시장에 출시된 일차 면역결핍증 치료제 ‘알리글로(ALYGLO)’의 매출이 반영되면서 실적 성장 구간에 진입했다는 평가다.
미국 3대 PBM과 ‘짐펜트라’ 등재 계약 완료염증성장질환 시장 점유율 최소 15% 목표 달성 시 국내 첫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
셀트리온이 미국 보험 시장에서 자가면역질환치료제 ‘짐펜트라’의 커버리지 90%를 확보하며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이 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현재 등재 계약을 끝낸 곳과 등재 완료를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며 모든 과정이 끝
셀트리온이 미국 3대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에서 운영하는 6개의 모든 공·사보험 영역에 세계 유일의 인플릭시맙 피하주사(SC) 제형 치료제 ‘짐펜트라’를 등재시키는 계약을 확보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3월 미국에 짐펜트라를 출시한 셀트리온은 보름여 만에 3대 PBM 중 하나인 ‘익스프레스 스크립츠’(ESI)와 등재 계약을 체결하고, 7월에 또
셀트리온(Celltrion)은 24~2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2024 추계 피부과학회(FCDC 2024)에서 고농도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Yuflyma, adalimumab)'와 ‘휴미라(Humira)’ 간 교차처방(interchangeability) 글로벌 임상3상 결과를 공개했다고 28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이번 임상3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