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지주회사체제 전환유도 방침아래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는 지난해보다 6곳이 늘어난 31개로 집계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31일 오해 8월말 현재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는 하나금융지주, LIG홀딩스 등 6곳이 늘어난 31개라고 밝혔다.
공정위에 따르면 지난 한해 동안 ▲하나금융지주 ▲LIG홀딩스 ▲HCN ▲하이마트홀딩 ▲비에스이홀딩스 ▲차산골프장지주회사 ▲평화홀딩스 ▲디피아이홀딩스 등 8개사가 지주회사로 신규 전환하고 STX와 한국에너지투자 등 2곳은 지주회사에서 제외됐다.
지주회사 31곳 중 27개 일반지주는 상장기업 27개, 비상장기업 140개를 합쳐 모두 167개사의 자회사와 상장기업 5개사, 비상장기업 41개사 등 모두 46개사의 손자회사를 거느리고 있어 일반지주가 보유한 자회사 지분율을 상장사는 42%, 비상장사는 평균 78.6%로 집계됐다.
자회사가 보유한 손자회사 지분율은 상장 손자회사의 경우 43.2%에서 41.6%로 낮아지고 비상장 손자회사는 77.9%에서 78.3%로 높아졌다.
또 우리ㆍ신한ㆍ한국투자ㆍ하나금융지주 등 4개 금융지주회사는 29개 자회사와 16개 손자회사를 거느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주사의 상장 자회사 지분율은 1년 전 54.5%에서 73.1%로 약 20%p높아졌으며 비상장회사 지분율도 91.7%에서 94%로 높아졌다.
특히 지주회사 체제는 복잡한 순환출자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기업집단의 형태여서 출자총액제한제도의 대안으로 공정위가 검토 중이다.
김병배 공정위 부위원장은 "자회사와 손자회사 지분 최저요건 완화 등 지주회사 유도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할 예정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