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리츠협회는 25일 서울 강남구 소재 협회 본사에서 ‘리츠 미디어 데이’를 열어 향후 국내 리츠시장의 발전 방향에 대해 밝혔다.
한국리츠협회에 따르면 부동산투자회사인 리츠(Reits)는 지난해 4분기를 제외한 평균 수익률 7.43%를 기록했다. 시장 역시 15조원 규모로 성장하며 부동산간접투자시장의 강세를 보였다.
지난해 4분기를 제외한 평균 배당수익률은 리테일 부문이 12.56%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 이외에도 △오피스 6.3% △호텔 6.43% △공장 7.6%로 저금리 시대임에도 높은 수익률을 보여 경쟁력을 입증했다고 협회 측은 설명했다.
하지만 협회는 리츠시장의 성장을 위해 현재의 규제방식이 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저금리 기조와 규제에 발목이 잡혀 성장세가 당초 예상에 못미쳤다는 지적이다.
김관영 한국리츠협회장은 “리츠시장이 15조원 규모로 성장했지만 당초 기대 만큼은 발전하지 못한 것 같다”며 “포지티브 방식의 규제를 네거티브 방식의 규제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리츠는 포지티브 방식의 규제를 받고 있다. 정부가 제시한 여러 요건을 충족해야만 리츠를 설립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네거티브 방식은 정부가 제시한 요건에만 해당하지 않는다면 리츠를 설립할 수 있는 방식이다. 급격히 변화하는 금융상품 발전 속도를 쫓아가기 위해서는 개방적인 시스템으로 바꿔야 한다는 뜻이다.
김 회장은 “현행방식은 인가를 받아야 리츠설립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요건 충족도 어렵고 시간도 많이 걸린다. 반면 부동산 펀드는 등록만 하면 펀드를 설정할 수 있고 현재는 사후보고제로 개정 중에 있다. 리츠와 부동산펀드는 둘다 부동산 간접투자 상품이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높은 리츠는 시장에서 그만큼 불리하다”고 지적했다.
진입장벽이 높은 것 뿐만 아니라 투자를 운용함에도 리츠는 어려움이 많다고 김 회장은 강조했다. 리츠는 부동산투자회사법에 속하기 때문에 투자자 1인당 주식보유제한이 30~40%이며 주식 총수의 30% 이상은 공모를 해야 한다. 이에 반해 부동산 펀드는 투자자가 주식보유제한을 받지 않고 공모 의무도 없다.
박병태 한국리츠협회 사무국장은 “일본과 우리나라가 리츠를 도입한 시기는 1년 밖에 차이가 나지 않지만 현재 국내 리츠시장 규모는 일본의 8분의 1수준 밖에 되지 않는다”며 “리츠시장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공모시장 활성화를 위한 리츠법 전면 개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협회는 아울러 리츠시장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상품을 다각화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리츠가 투자하고 있는 자산은 오피스와 리테일에 편중된 상황이다. 오피스는 전체 투자규모의 57.5%에 이르며 리테일은 17.7%다. 즉, 오피스와 리테일이 전체의 75.2%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김 회장은 “해외 리츠 투자사례를 보면 창고나 공공 부문의 시설물, 헬스케어 부문 등 다양한 곳에 투자하고 있다”며 “공공기관이 투자자산 마련위해 지분 일부를 매각하는 방법 대신 리츠를 통해 자산을 유동화해 투자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