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3월 8일 山陰乘興(산음승흥) 흥이 일어 친구를 만나러 가다

입력 2015-03-08 08: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중국 동진(東晋)시대의 왕휘지(王徽之·출생 미상~383년경 사망)는 서성(書聖) 왕희지(王羲之·307~365)의 다섯째 아들이다. 자는 자유(子猷). 관직은 황문시랑(黃門侍郞)에 이르렀고, 아버지에게서 서예를 배워 행서와 초서를 잘 썼다.

절강성(浙江省) 회계산(會稽山)의 북쪽 산음(山陰)에 살던 그는 눈 내리는 밤에 혼자 술을 마시며 좌사(左思)의 ‘초은시(招隱詩)’를 읊조리다가 갑자기 섬계(剡溪)에 사는 친구 대규(戴逵)가 생각났다. 대규의 자(字)는 안도(安道). 왕휘지가 살던 곳은 현재의 소흥(紹興)이며 섬계는 조아강(曹娥江)의 상류인데, 같은 절강성이지만 가까운 거리는 아니다.

친구를 찾아가려고 한밤중에 배를 탄 왕휘지는 대규의 집 앞에 이르렀을 때 들어가지도 않고 되돌아왔다. 남들이 이상하게 여겨 이유를 묻자 이렇게 대답했다. “내 본래 흥이 일어 갔다가 흥이 다해 돌아가는데 굳이 안도를 만날 게 있겠는가?”[吾本 乘興而行 興盡而返 何必見戴安道耶] ‘세설신어’(世說新語)에 나오는 이야기다.

풍류인이었던 왕휘지는 일화가 많다. 기병참군(騎兵參軍)이면서도 병마의 수나 업무에 관심이 없었다고 한다. 머리는 늘 더부룩하고 옷차림은 흐트러진 모습이었다. 대나무를 몹시 사랑해 “하루도 대가 없으면 살 수 없다”는 말도 했다. 그와 달리 대규는 조정의 부름을 받고도 벼슬길에 나가지 않은 사람이다.

왕휘지가 돌아간 것은 눈이 그쳐 흥이 다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는데, 이 일에서 생긴 성어가 산음승흥(山陰乘興), 흥이 일어 친구를 만나러 간다는 말이다. 그 이후 시에 섬계를 넣거나 눈 속에 친구를 찾아가는 고사인물화를 그린 사람들이 많다. 섬계를 아호로 지은 이도 있다. 목은 이색도 벼슬에 얽매인 자신을 벼슬 없는 친구가 그리워 찾아간 왕휘지에 비유한 시를 남겼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손웅정 감독, 아동학대 혐의 피소…"사랑 없는 행동 없었다"
  • 마운트곡스 악재에 '쇼크' 온 비트코인, 6만1000달러로 소폭 상승 [Bit코인]
  • 4.5세대? 5세대?…올림픽 마냥 4년 만에 돌아온 개정 시그널 [멍든 실손보험中]
  • [종합] 엔비디아 6%대 반등 속 뉴욕증시 또 혼조…나스닥 1.26%↑
  • "황재균 이혼한 거 알아?"…뜬금없는 이혼설 중계에 지연 측 "사실무근"
  • 단독 ‘묻지마 현지법인’ 탓에…이마트24, 싱가포르서 철수
  • 오늘의 상승종목

  • 06.2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879,000
    • -1.88%
    • 이더리움
    • 4,777,000
    • -0.89%
    • 비트코인 캐시
    • 532,000
    • -3.27%
    • 리플
    • 665
    • -1.48%
    • 솔라나
    • 192,800
    • -1.63%
    • 에이다
    • 551
    • -1.08%
    • 이오스
    • 813
    • -0.49%
    • 트론
    • 174
    • +1.75%
    • 스텔라루멘
    • 128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350
    • -1.93%
    • 체인링크
    • 19,780
    • -1.35%
    • 샌드박스
    • 474
    • -1.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