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신흥국과 무역기술장벽 해결논의…중국, 화장품 오버라벨링 검토키로

입력 2015-04-02 12: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첫 WTO TBT 위원회서 10개국과 21건 논의…7건 합의 도출

정부가 우리 기업들의 수출 애로사항으로 꼽히는 무역기술장벽을 없애는 데 팔을 걷어부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지난달 17일~19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2015년 ‘제1차 WTO(세계무역기구) TBT(무역기술장벽) 위원회’에 참석해 우리 기업들이 수출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술규정, 표준 및 인증 관련 현안 21건에 대해 논의했다고 2일 밝혔다.

WTO TBT 위원회 정례회의는 160개 WTO 회원국이 매년 3회 차별적인 기술규정, 표준 및 인증 등이 국가간 무역에 불필요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는 현안들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다.

우리 기업의 TBT 현안은 중국 화장품 라벨링 등 3건과 인도 타이어 인증 등 2건, 칠레 TV 에너지 효율 등 2건, 베트남 화장품 의약품 1건, 러시아 전자제품 유해물질 2건 등 총 10개국 21건에 이르며 이번 논의 결과 해당국들은 관련 규제를 재검토하기로 했다.

국표원은 회의를 통해 우선 화장품라벨을 스티커 형태로 제품 겉표면에 부착하는 ‘오버 라벨링’을 중국만 금지하과 있는 데 대해 미국, 캐나다, EU, 일본과 함께 규제 개선을 촉구했고, 중국측은 해당규제를 재검토키로 했다.

또 인도가 외국 기업에만 은행보증을 요구하고, 타이어 인증마크(ISI) 수수료 산정근거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으며, 인도는 이를 검토해보기로 했다.

칠레와는 TV 소비전력 기준 충족 및 해당 라벨 부착을 의무화하는 규제에 대해 논의한 결과, 한국의 시험성적서(KOLAS) 허용를 허용하고 라벨 규제는 차후 시행키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칠레 TV시장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의 중남미 시장 개척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표원은 “앞으로도 TBT 위원회를 국가간 무역장벽 해소를 위한 외교적 협상의 장으로 적극 활용할 예정”이라며 “시급히 해결해야할 사안에 대해서는 해당국 방문협의도 병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법사ㆍ○○아씨 넘쳐나는데…요즘 '무당집', 왜 예약이 힘들까? [이슈크래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TV만 틀면 나온다"… '다작의 아이콘' 전현무가 사는 '아이파크 삼성'은 [왁자집껄]
  • 단독 “판사 여기 숨어 있을 거 같은데”…‘서부지법 사태’ 공소장 보니
  • '국가대표' 꾸려 AI 모델 개발 추진…"중·소·대기업 상관없이 공모" [종합]
  • [날씨] 전국 맑고 '건조 특보'…시속 55km 강풍으로 체감온도 '뚝↓'
  • 트럼프發 반도체 패권 전쟁 심화…살얼음판 걷는 韓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창업 도전 해볼까…카페 가맹점 평균매출액 1위는?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797,000
    • +0.58%
    • 이더리움
    • 4,060,000
    • +0.17%
    • 비트코인 캐시
    • 478,800
    • +0.36%
    • 리플
    • 3,994
    • +4.36%
    • 솔라나
    • 254,200
    • +0.24%
    • 에이다
    • 1,161
    • +1.93%
    • 이오스
    • 949
    • +2.59%
    • 트론
    • 355
    • -1.93%
    • 스텔라루멘
    • 503
    • +1.2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750
    • +0.18%
    • 체인링크
    • 26,890
    • -0.22%
    • 샌드박스
    • 546
    • +0.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