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산업, 빌딩매각으로 건설부문 투자여력 '급증'-한화증권

입력 2006-12-19 08: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화증권은 전일 서울소재 489억원 상당의 빌딩 매각을 결정한 화성산업에 대해 순차입금 큰 폭 축소 및 건설부문 투자 여력이 크게 증가될 것이라고 밝혔다. 투자의견 '매수'에 목표주가 2만1000원 제시.

화성산업은 지난 18일 서울 중구 소재 장교빌딩을 489억원에 매각한다고 공시했다. 이번 장교빌딩 매각대금 489억원은 지난해와 2004년 순익 187억 ~ 190억원의 2.5배 전후에 달하는 규모다.

전현식 한화증권 연구원은 "이번 유형자산 매각으로 ▲유형자산 처분이익 115억원 발생(2007년 계상예정) ▲순차입금 감소 ▲자금시장 실질 신용도 상승 및 금융비용 감소 ▲재무구조 개선에 따른 건설부문 수주 경쟁력 향상 ▲건설사업 투자 여력 증대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전 연구원은 "외환위기 직전 동아백화점 수성점과 강북점 건설에 따른 과다한 투자, 건설부문 불황으로 순차입금이 1998년 5325억원까지 증가했으나 저숙익자산 매각 등 자구노력을 통한 차입금 축소에 힘써 2005년말 현재 순차입금은 1429억원으로 줄었다"며 "올해 말 1307억원, 2007년 870억원으로 감소할 전망"이라고 예상했다.

금융비용 부담 역시 1999년 6.9%로 최고를 기록한 이후 1005년 1.7%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했고, 내년과 내후년에는 각각 1.3%, 1.0% 로 낮아질 것이란 분석.

전 연구원은 "장교빌딩 매각에 따른 유형자산 처분이익 계상으로 올해에 이어 2007년에도 사상 최대 이익을 기록할 것"이라며 "LG텔레콤 주식(175만주, 취득원가 110억원), 대구소재 동아마트 수성점, 동아스포츠센터, 유통센터 등 600억원 규모의 저수익 자산 매각을 통한 차입금 축소가 진행될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아울러 "한국신용정보가 지난 6월 화성산업 기업어음 신용등급을 A3로 한단계 상향조정한 바 있으며, 회사채 신용등급은 BBB+수준으로 평가된다"며 "장교빌딩 매각에 따른 차입금 큰 폭 축소로 향후 신용등급의 추가 상승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학기 전 내 아이 안경 맞춰줄까…‘서울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신청방법은 [경제한줌]
  • "TV만 틀면 나온다"… '다작의 아이콘' 전현무가 사는 '아이파크 삼성'은 [왁자집껄]
  • 단독 “판사 여기 숨어 있을 거 같은데”…‘서부지법 사태’ 공소장 보니
  • '국가대표' 꾸려 AI 모델 개발 추진…"중·소·대기업 상관없이 공모" [종합]
  • [날씨] 전국 맑고 '건조 특보'…시속 55km 강풍으로 체감온도 '뚝↓'
  • 트럼프發 반도체 패권 전쟁 심화…살얼음판 걷는 韓 [반도체 ‘린치핀’ 韓의 위기]
  • 창업 도전 해볼까…카페 가맹점 평균매출액 1위는? [그래픽 스토리]
  • ‘나는 솔로’ 24기 광수, 女 출연자들에 “스킨쉽 어떠냐”…순자 “사기당한 것 같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2.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852,000
    • +0.73%
    • 이더리움
    • 4,051,000
    • +0.4%
    • 비트코인 캐시
    • 478,800
    • +0.59%
    • 리플
    • 3,987
    • +4.65%
    • 솔라나
    • 254,600
    • +1.19%
    • 에이다
    • 1,159
    • +2.11%
    • 이오스
    • 951
    • +3.15%
    • 트론
    • 354
    • -2.75%
    • 스텔라루멘
    • 504
    • +1.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950
    • +1.33%
    • 체인링크
    • 26,900
    • +0.67%
    • 샌드박스
    • 548
    • +1.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