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전세값, 차라리 집사자”…내집마련 대출↑ ㆍ전세자금 대출↓

입력 2015-04-19 10: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초 전세난으로 주택 매매 거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국민주택기금에서 지원하는 주택대출자금도 작년보다 20% 가까이 늘었다. 반면 전세의 매매 수요 전환으로 전세자금대출은 눈에 띄게 줄었다.

1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가 국민주택기금을 통해 지원하는 주택담보대출인 ‘내 집 마련 디딤돌 대출’ 실적이 1분기(1∼3월) 2조335억원을 기록, 작년 같은 기간(1조6986억원)에 비해 19.8%(3369억원) 증가했다.

월별로는 1월이 6316억원, 2월 7210억원, 3월 684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각각 2325억원, 926억원, 118억원 늘었다. 1분기 대출 건수는 2만1187건으로 작년 동기 1만8674건과 비교해 13.5%(2513건) 증가했다.

디딤돌 대출은 지난해 1월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금, 근로자서민 주택 구입자금,우대형 보금자리론 등을 통합해 출시됐으며 기본적으로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2013년 말에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취득세 면제 등 세제혜택이 종료되면서 2014년 1월에 주택 거래량이 줄어든 측면을 감안하면 올해 대출액이 크게 늘었다고 보긴 어렵다”면서도 “지난해 디딤돌 대출 금리를 두 차례 인하하면서 시중은행 금리보다 낮아진 것이 장점으로 작용한 것 같다”고 말했다.

디딤돌 대출은 소득 제한 등으로 시중은행 대출에 비해 자격 조건이 까다롭지만 소득이 낮을수록 금리가 낮아 저소득층에 특히 유리하다.

디딤돌 대출과 달리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의 1분기 실적은 1조270억원에 그쳐 지난해 같은 기간(1조2918억원)보다 20.5%(2648억원) 감소했다. 대출 건수도 2만5615건으로 6289건 적었다.

이처럼 디딤돌 대출과 버팀목 대출이 상반된 실적을 보인 것은 최근 전세난이 심화되면서 아예 집을 구입하는 매매 수요로 전환된 경우가 증가한 때문이다.

연초 전세물건이 품귀현상을 빚으면서 전세 대출 수요가 감소한 반면 내집마련으로 선회한 세입자들이 늘면서 주택구입자금 대출이 늘어난 것이다.

실제로 올해 1분기 주택 매매거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8.3% 증가한 27만53건으로, 실거래가 조사가 시작된 200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판박이’처럼 똑같은 IPO 중간수수료…“담합 의심”
  • "원영 공주님도 들었다고?"…올가을 트렌드, '스웨이드'의 재발견 [솔드아웃]
  • 단독 하마스 외교 수장 “이스라엘, 국제법 계속 위반하면 5차 중동전쟁”
  • 단독 현대해상 3세 정경선, 전국 순회하며 지속가능토크 연다
  • AI가 분석·진단·처방…ICT가 바꾼 병원 패러다임
  • 준강남 과천 vs 진짜 강남 대치...국평 22억 분양 대전 승자는?
  • 사흘 만에 또…북한, 오늘 새벽 대남 쓰레기 풍선 부양
  • 과방위 국감, 방송 장악 이슈로 불꽃 전망…해외 IT기업 도마 위
  • 오늘의 상승종목

  • 10.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4,362,000
    • +0.56%
    • 이더리움
    • 3,276,000
    • +0.18%
    • 비트코인 캐시
    • 436,300
    • +0.37%
    • 리플
    • 717
    • -0.42%
    • 솔라나
    • 195,900
    • +1.56%
    • 에이다
    • 480
    • +1.27%
    • 이오스
    • 639
    • +0.16%
    • 트론
    • 208
    • +0%
    • 스텔라루멘
    • 124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450
    • +0.64%
    • 체인링크
    • 15,160
    • -0.39%
    • 샌드박스
    • 344
    • +0.5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