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정치권이 3일 롯데그룹 총수 일가의 경영권 분쟁 사태에 대해 한 목소리로 질타했다.
새누리당 서청원 최고위원은 이날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롯데 사태를 두고 "국민에 대한 배신행위"라고 규정한 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를 극복하기 위한 국민의 의지에 "볼썽사나운 롯데가(家)의 '돈 전쟁'이 찬물을 끼얹었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서 최고위원은 롯데그룹이 제과·유통업을 주력으로 삼는 기업이라는 점을 거론하면서 "국민 삶에 가장 밀접한 기업으로, 당연히 국민으로부터 큰 혜택을 본 국민 기업이라 말할 수 있다"며 "그러나 후진적 지배구조, 오너 일가의 정체성과 가풍 모두 우리 국민의 상식과 거리가 멀다"고 꼬집었다.
새정치민주연합에서도 이종걸 원내대표가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총수 일가가 소수의 지분을 갖고 그룹 전체를 지배하는 편법과 불법을 동원하면서 재벌이 국민경제의 성장동력이 아니라 국민경제의 리스크로 전락하고 있다"고 맹비난했다.
이 원내대표는 특히 "이명박·박근혜 정부는 재벌개혁 대신 재벌에 다양한 특혜를 줘왔다. 재벌 총수는 범법하고도 관용과 변칙으로 사면을 받았다"며 "감옥에서도 편의가 제공돼 병원에서 세월을 보내는 경우가 허다했다"고 언급했다.
이언주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롯데사태는 왜 재벌개혁이 필요하고 왜 경제민주화가 필요한지를 역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며 "혹시 대통령께서 재벌 일가 등에 대한 8·15 사면을 검토하고 있다면 현재 재벌의 사회적 책임이행 수준에서 볼 때 매우 부적절하다. 재고하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정치권을 중심으로 재벌 지배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는 분위기다.
기재위 소속 새정치연합 박영선 의원은 이날 재벌 총수의 지배권 강화 수단으로 쓰이는 자사주 처분 요건을 강화하는 상법 개정안을 발의하면서 "롯데그룹 총수 일가의 경영권 분쟁을 계기로 후진적 재벌 지배구조를 개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4월 1일 기준으로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 소속 회사 1천677개 중 자사주를 보유한 곳은 237개다. 여기에는 롯데쇼핑(자사주 6.16%), 롯데손해보험(1.82%), 롯데케미칼(1.70%), 롯데카드(1.24%) 등 롯데그룹 계열사 7곳이 포함됐다.
다만, 정치권 일각에선 롯데 사태를 모든 기업의 문제로 일반화할 일은 아니라는 견해도 없지 않다. 총수 일가 내부의 주도권 다툼을 외부에서 지나치게 개입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