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5/08/20150811122008_692003_600_417.jpg)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11일 오전 11시 대(對)국민 사과문을 발표하고, 투명한 지배구조 개선을 선언했다. 후게를 놓고 형제간 경영권 갈등이 부자(父子)간 전면전으로 치달으면서 '반(反)롯데 불매운동' 등 국민적 반감(反感)이 고조되고 그룹 이미지가 악화되는 상황에서 국민들에게 공식 사과하고 사태 수습을 위한 약속을 한 것이다.
신 회장이 추락하는 롯데그룹을 일으키기 위해 꺼내든 카드는 △롯데호텔의 일본계열 회사 지분 비율 축소 △순환출자의 80% 이상을 올해 연말까지 해소해 투명성 제고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태스크포스팀 출범 및 기업문화개선위원회 설치 등 3가지다.
우선 신 회장은 호텔롯데를 상장하고, 그룹의 복잡한 순환출자를 연내에 80% 이상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신 회장은 "롯데호텔에 대해 일본 계열 회사들의 지분 비율을 축소하겠다"면서 "주주 구성이 다양해지도록 기업 공개를 추진하고 종합적으로 개선 방법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 회장은 416개 달하는 롯데그룹의 순환출자 고리와 관련해서도 "남아 있는 순환출자의 80% 이상을 연말까지 해소하고 중장기적으로 그룹을 지주회사로 전환해 순환출자를 완전히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관련 뉴스
그는 "지주회사 전환에 금융 계열사 처리 같은 어려움이 있다"면서 "대략 7조원의 재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그룹 순수익의 2∼3년치에 해당하는 규모"라고 말했다.
신 회장은 이어 그룹 내 지배구조 개선 태스크포스를 출범시키는 한편 기업 문화 개선위원회도 설치하는 등 구체적인 후속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신동빈 회장의 이 같은 카드가 롯데그룹이 처한 위기상황을 해결해줄지는 미지수라는 지적이란 시각이 짙다.
한국 롯데의 지주사인 호텔롯데에 대한 상장을 핵심으로 내걸었지만 일본 지분율이 워낙 높아 상장만으로 단기간내 낮추기 어렵다. 또 일본 롯데가 한국롯데를 지배하는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기 전에는 '일본 기업' 논란을 잠재우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일본 기업 논란과 더불어 반 롯데 정세는 심각한 상황으로 롯데 전 계열사를 향한 불매 운동은 계속 확산되고 있다. 신 회장은 이날 유창하지는 않지만 한국어로 대국민 사과 간담회를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은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또 오는 17일 일본 롯데홀딩스 주총의 신동주ㆍ동빈 형제간 대결이 남아 있다. 이 문제가 일단락되더라도 형제간 또는 부자간 법적 소송이 지루하게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도 롯데그룹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전방위 압박도 심상치 않다. 정부는 국세청·관세청·공정거래위원회·금융감독원 등 사실상 모든 채널을 동원해 롯데그룹의 비밀스럽고 수상한 지배구조와 거래 관행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으며, 정치권도 재벌 개혁을 위한 입법을 준비하는 등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