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10월 24일 人淡如菊(인담여국) 국화처럼 담담한 인품

입력 2015-10-24 07: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가을 잎은 서리 앞에서 떨어지고, 봄꽃은 비 온 뒤에 붉어진다네”[秋葉霜前落 春花雨後紅] 한문 초학자들을 위해 5언으로 된 대구(對句)를 뽑아 묶은 ‘추구(推句)’에 나오는 말이다. ”가을이라 서늘하니 누런 국화 피고/겨울이라 추우니 흰 눈이 내리도다”[秋涼黃菊發 冬寒白雪來]라는 대구도 있다.

그렇게 국화가 핀 가을에 꽃과 사람의 품격에 대해 생각한다.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라고 하지만, ‘꽃보다’까지는 아니라도 ‘꽃처럼’ 아름답다면 그 정도도 대단한 게 아닐까.

당나라 말의 시인 사공도(司空圖· 837~908)는 ‘이십사시품(二十四詩品)’이라는 시에서 시의 의경(意境)을 24품으로 나누어 각 품을 12구의 시로 해설했다. 총 288구다. 그의 작품은 ‘문심조룡(文心雕龍)’과 함께 중국미학의 체계를 세운 것으로, 시는 물론 서예와 그림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그중 여섯 번째 시 ‘전아(典雅)’에 “사람이 국화처럼 맑다”[人淡如菊]는 말이 나온다. 淡을 澹으로 쓴 자료도 많다.

“호리병에 술을 사서/내리는 비 띠집에서 바라보네/자리에는 좋은 선비들/ 좌우로는 곧게 뻗은 대나무/갓 갠 하늘에 흰 구름/숲속의 새는 서로 좇네/녹음 속 거문고 소리에 조는데/저 위로 떨어지는 폭포/꽃은 말없이 지고/사람은 담담하기 국화 같구나/한 해의 이 멋진 풍경을 글로 쓴다면/읽을 만하다고 말들 하리라.”[玉壺買春 賞雨茅屋 座中佳士 左右脩竹 白雲初晴 幽鳥相逐 眠琴綠陰 上有飛瀑 花落無言 人淡如菊 書之歲華 其曰可讀]  

어떤 시가 이런 경지에 이른 작품일까. 아니 어떻게 하면 이런 시를 쓸 수 있을까. 그건 잘 모르겠다. 명성황후가 어렸을 때 ‘人淡如菊’이라고 쓴 글씨가 남아 있다. 순종이 열두 살에 쓴 글씨도 같은 것이니 명성황후는 아들에게도 이 말을 가르쳤나 보다. fusedtree@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테더 공급량 감소에 '유동성 축소' 위기…FTX, 채권 상환 초읽기 外 [글로벌 코인마켓]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916,000
    • +0.07%
    • 이더리움
    • 4,873,000
    • +2.16%
    • 비트코인 캐시
    • 539,500
    • +1.22%
    • 리플
    • 669
    • +0%
    • 솔라나
    • 210,100
    • +8.08%
    • 에이다
    • 553
    • +0%
    • 이오스
    • 825
    • +1.6%
    • 트론
    • 174
    • -1.14%
    • 스텔라루멘
    • 129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000
    • +0.39%
    • 체인링크
    • 19,880
    • +0.71%
    • 샌드박스
    • 481
    • +1.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