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린골프 붐은 스크린골프장 창업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창업을 위해서는 만만치 않은 비용과 위험 부담을 감수해야 한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우선 기기 비용은 5000만~6000만원으로 스크린, 스크린 타석, 매트 등을 포함한 인테리어 비용이 100만원가량 추가된다. 거기에 집기류나 시설비용까지 모두 포함하면 룸 하나당 약 1억원이 투입된다. 만약 5개의 룸으로 구성된 스크린골프장을 창업한다면 5억원, 10개의 룸을 만든다면 10억원이 드는 셈이다. 물론 어떤 상권이냐에 따라 비용은 천차만별이다. 역세권 및 오피스에 위치한 점포임대료 보증금과 권리금은 그렇지 않은 지역보다 최대 10배 이상 비싸기 때문이다.
결국 스크린골프장 창업은 시작부터 적지 않은 위험 부담을 떠안을 수밖에 없다는 게 해당 업주 관계자들의 말이다. 부담스러운 임대료와 투자비용, 넓은 영업공간이 필요한 업종 특성상 초기 투자비용은 많이 요구되지만 수익 창출을 위해선 산 넘어 산이다.
스크린골프장 과열 경쟁도 문제다. 한 스크린골프장 업주는 “3~4년 전과 지금은 또 다른 환경이다. 처음엔 쏠쏠한 재미를 봤지만 지금은 스크린골프장 경쟁이 도를 넘어섰다”고 말했다.
관련 뉴스
업무에 대한 만족도도 떨어진다. 올해 스크린골프장을 창업한 A씨는 “인건비를 절약하기 위해 혼자서 하루 종일 매장 관리에 전념한다. 필드에서의 라운드는 꿈도 못 꾼다. 요즘은 온가족이 매달려 매장을 꾸리고 있지만 상상 이상의 인내력이 필요하다”고 털어놨다.
그렇다고 전망이 어두운 것만은 아니다. 좋은 상권에서 운영할 경우 일 매출은 최대 150만원까지 가능하다. 월 매출로 따지면 4000만원이 훌쩍 넘는다. 인건비와 광고비용 등을 절약하면 이익 폭은 더 커진다.
한 업계 관계자는 “손익분기점을 넘어서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 수익이 순이익이기 때문에 자본적인 여유만 가지고 투자한다면 여전히 성공 가능성이 높은 사업”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