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둔화에도 중국 근로자의 임금 인상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 1월까지 최근 4개월간 중국 10개 성·시에서 최저임금이 최대 30% 가까이 인상됐다고 2일(현지시간)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노동력 인구 감소로 일손 부족 현상이 이어지고 중앙정부가 국내 불만을 억제하려 지방정부에 임금 인상을 강요하는 것이 이런 추세의 주원인이라고 신문은 분석했다. 춘제(구정) 연휴가 지나고 임금 인상에 더욱 탄력이 붙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중국은 각 지방정부가 지역 경제상황에 따라 최저임금을 개별적으로 검토한다. 구이저우성 등 3개 지역에서 지난해 10월 인상이 시작됐으며 올해도 이미 장쑤성 등 3개 지역이 임금을 올렸다.
인상률은 8~28%였고 외국 기업 투자가 활발한 장쑤성과 중국 기업 수출기지가 있는 저장성, 스즈키와 한국 현대자동차 등 자동차 관련 기업이 밀집해있는 충칭 등 제조업이 활발한 지역이 눈에 띄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중국은 노동력 인구가 이미 감소하기 시작해 농촌에서 산업이 발달한 연해 지역으로 대량의 농민공이 유입되는 시대가 끝났다는 평가다. 또 젊은 세대는 임금이 낮고 고된 노동에 시달리는 공장 근무 대신 인터넷 기업 등에서 일자리를 찾고 있기 때문에 제조업체들이 일손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춘제 연휴가 끝나면 이런 경향이 강해져 고향에 돌아간 농민공이 공장으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도 흔하다. 이에 일손 확보를 위해 올해도 여러 지방정부가 춘제 이후 임금 인상을 단행할 전망이다.
또 중앙정부는 지난해 11월 채택된 제13차 5개년 계획 초안에서 오는 2020년까지 국민소득을 2010년의 두 배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중앙정부는 지방정부와 국영기업 등에 임금 인상을 촉구하고 있다.
중국 공장은 잔업 수당이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최저임금의 약 2배가 실질임금 기준이 된다. 이에 기업 경영진은 최저임금 상승률 이상으로 인건비 부담이 커진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광둥성에 생산거점을 둔 한 일본 기업 임원은 “일본 기업이 광둥에 많이 진출한 2004년에 비해 현재 공장 직원 월급은 약 10배가 됐다”고 말했다.
다만 경기둔화 국면에서 무리한 임금 인상은 악순환을 낳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인건비 상승으로 해외 투자가 크게 감소할 수 있다. 지난해 일본의 대중국 투자는 전년보다 25% 축소됐다. 중국 정부는 로봇 등 자동화 설비 도입 등 생산비용 절감을 통한 제조업 경쟁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경기둔화에 기업 설비 투자는 소극적이 될 수밖에 없어 생산비용 개선이 크게 개선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신문은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