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 왕정이 탈(脫) 석유화 정책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사우디 정부가 6일(현지시간) 탈 석유화 개혁을 골자로 한 국가개혁프로그램(NTP) 최종안을 승인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이날 사우디 정부는 기자회견을 열고 NTP를 통해 2020년까지 정부지출에서 차지하는 공공 부문 임금 비중을 현재 45%에서 40%로 줄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각종 국가보조금도 줄인다는 계획도 내놨다. NTP에 따르면 수도와 전기 이용에 대한 정부 보조금을 2000억 리얄 줄이는 반면 부가세를 도입해 세수 확보에 나선다. 2020년까지 민간 부문에서는 45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앞서 NTP에 사우디 국민과 거주민에 대한 소득세 부과도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날 모하마드 빈 압둘말리크 알 셰이크 사우디 국무장관은 부과세 징수 계획은 없다는 뜻을 밝혔다.
이번에 공개된 NTP는 지난 4월 모하마드 빈 살만 부왕세자가 공개한 탈석유화 개혁 이른바 ‘비전2030’의 일환이자 실행 계획서다. 사우디 왕정의 실세로 급부상한 모하마드 부왕세자는 2년 가까이 이어진 저유가 기조에 사우디 경제가 휘청거리자 탈석유화 전략이라는 특단의 조치를 내놓은 것이다. 비전2030은 비석유 부문의 세수를 2020년까지 5300억리알로 지금보다 3배 넘게 늘린다는 것이 골자다.
이를 위해 세계 최대 석유회사이자 사우디의 국영 에너지업체 아람코 지분 일부를 상장해 2020년까지 사우디 국부펀드의 몸집을 세 배로 끌어올려 세계 최대 국부펀드로 키워 탈석유화 정책의 자금조달에 나서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하지만 그의 야심찬 계획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만만치 않다. 일각에서는 오는 2020년까지 비석유부문 수입을 국내총생산(GDP)의 2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모하마드 부왕세자 계획이 비현실적이라고 보고 있다. 현재 사우디의 비석유부분 수입은 GDP의 6% 정도다.
사우디가 탈석유화를 시도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수십 년간 재정수입원의 다양화를 시도했지만 이렇다할 성과를 얻지 못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설명했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사우디 국가 재정 수입에서 석유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70% 이상에 달하며 사우디 전체 노동자의 3분의 2가 에너지업계에 종사하고 있다.
사우디는 2년간 지속되는 저유가에 직격탄을 맞았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사우디의 순해외자산 규모는 4년래 최저 수준을 기록했으며 올해 재정적자는 GDP 대비 13.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상황이 긴박하게 돌아가자 급기야 지난 4월에는 글로벌 은행들로부터 100억 달러를 대출받으며 채권국에서 채무국으로 전락하게 됐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지난달 재정악화를 이유로 사우디의 신용등급을 A1으로 강등했다. 올 들어서만 2번째 강등조치였다. 피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등 다른 신평사들도 올해 사우디의 신용등급을 낮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