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을 목전에 두고 있는 대학교 4학년 학생들이 취업준비를 위해 각 전공 공부에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인사포털 인크루트는 9일 "대학생 2100명을 대상으로 현재 무슨 공부를 주로 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학과ㆍ전공 공부를 한다'는 응답이 47.1%로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전공 공부를 한다는 응답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4학년생들은 3분의 1도 되지 않는 27.5% 만이 전공공부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크루트는 "조사결과 학년별, 계열별로는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며 "고학년일수록, 또 인문·사회계열 전공자일수록 전공공부는 상대적으로 뒷전이 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먼저 학년별로 살펴보면, 학과와 전공공부를 한다는 비율이 1학년 때 64.6%였다가 고학년이 될수록 현격히 낮아져 4학년에는 3분의 1도 안되는 27.5%까지 떨어졌다.
반면 취업과 직접 관련된 외국어, 공무원 시험, 고시 등은 반대로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고학년일수록 학과, 전공공부보단 취업을 위한 준비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는 것.
계열별로는 전공을 살려 직업을 가지는 경우가 많은 의약학계열(77.5%)과 예체능계열(57.9%), 교육계열(50.0%) 등에서 학과, 전공공부를 한다는 비중이 높았다.
하지만 인문계열과 사회계열의 사정은 달랐다. 학과나 전공공부를 한다는 비율이 다른 계열보다 낮았고 외국어, 공무원 시험 등에 매진하는 경향이 드러났다.
사회계열은 학과, 전공공부의 비율이 36.2%로 가장 낮았고, 공무원 시험, 고시, 자격증 등 다른 공부를 하는 비율이 두루 높은 편이었다.
인문계열도 '학과 및 전공공부'를 한다는 비율이 41.2%에 머무른 것에 비해 '외국어 공부'는 31.7%로 여러 계열 중 가장 높았다.
공학계열과 자연계열은 인문, 사회계열보다는 전공공부를 많이 하는 편이었으나 의약계열이나 예체능계열에는 한참 미치지 못했다. 각각 49.2%와 48.9%정도가 전공공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 이들이 많이 진출하는 전기전자, 정보통신 업종은 채용 시 전공지식을 많이 묻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크루트는 "하지만 최근에는 IT업종 외 다른 전 업종에서도 전공 지식에 대한 검증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라면서 "학과공부와 학점관리를 꾸준히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인크루트 대학사업부 신상훈 부장은 "계속되는 고학력 취업난에 대학생들도 학과공부보다는 취업준비에 더 힘을 쏟고 있는 현상을 확인한 셈"이라며 "최근 업종을 가리지 않고 면접 시 전공지식 측정을 강화하고 있는데다, 학점이 낮으면 기업이 기본적인 성실함에 의문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전공지식 습득과 학점 관리에 신경을 쓰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