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급락으로 1300억 손실
내부통제 부실 지적
법규 위반시 '제재'
금융감독원이 은행권 부당대출 적발 결과를 발표하면서 증권사의 내부통제 문제까지 함께 지적했다. 검사 결과 법규 위반이 발견되면 제재에 나설 계획이다.
금감원은 4일 여의도 본원에서 '2024년 주요 금융지주 및 은행의 검사결과'를 열고 신한투자증권의 선물 투기거래를 적발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신한투자증권은 상장지수펀드(ETF) 유동성공급자(LP) 업무 담당자는 헤지 목적으로만 파생상품을 거래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직원은 2022년부터 성과급 등을 위해 투기적 선물거래를 지속했다. 이후 지난해 8월 코스피 급락으로 1300억 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금감원은 “ETF LP 부서 성과에 반영되지 않아야 할 트레이딩 수익이 성과급에 반영되고 담당 임원은 트레이딩 수익 창출을 독려하며 투기적 선물거래를 조장했다”고 설명했다.
신한투자증권 ETF LP 부서는 투기적 선물거래로 발생한 손실을 은폐하기 위해 하루 만에 1300억 원의 이익이 발생하는 비상식적인 스왑계약을 위조하는 등 조직적으로 부서 손익을 조작했다.
금감원은 단순한 개인의 일탈을 넘어 내부통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금감원은 “관리회계 부서는 각 부서의 월별 손익 자료를 검증해야 한다”며 “검증 업무를 미이행하여 ETF LP 부서 임직원에게 수십억원의 성과급이 부당하게 지급됐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지난해 12월 5일 증권사 CEO를 긴급 소집해 신한투자증권의 ETF LP 대규모 불법 활용 문제를 질타했다.
금감원은 오는 5월께 신한금융지주 정기검사를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내외 리스크 요인에 대비해 재무건전성 평가 등을 들여다보고, 내부통제 제도 운용 실태 등 경영활동 전반에 대해 집중적으로 점검한다.
박충현 금감원 은행담당 부원장보는 “향후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 구현 건전성・리스크관리 강화, 조직문화 개선을 추진하겠다”며 “검사결과를 토대로 명백한 법규위반 사항에 대해 제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