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황청심환은 송나라와 명나라 의서에 수록된 처방으로 중국이 그 원조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조선의 것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명약(名藥)이었다. 조선에서는 우황청심환을 우황청심원, 청심환, 청심원 등의 명칭으로 혼용하였다. 태종 때부터 기록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부터 제조한 것으로 여겨진다. 허준의 ‘동의보감’에 그 처방이 수록됐고, 이후 연구가 꾸준히 진행돼 임상적으로 우수한 효과가 입증되면서 우리 고유의 처방으로 발전했다.(한국학중앙연구원, ‘민족문화대백과’)
영·정조 시대에 청나라에 갔던 많은 사신들은 개인적으로 100개에서 200여 개의 청심환을 가져갔고, 이는 청나라에서 대단한 인기를 끌었다. 당시 청나라는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의 통치 시기로 세계 최강국이었다. 문물의 융성은 조선과 비할 바가 아니었다. 하지만 청심환, 종이, 먹 등의 품질에서 조선의 것이 세계 최고 일등품이었다. 청나라 사람들은 조선의 청심환이라면 지위의 고하를 떠나 시쳇말로 ‘환장’을 했다. 실제 청심환이 다 죽어가는 사람도 살린다는 이야기까지 돌았다. 숙종 때 청나라를 다녀온 김창업(金昌業)의 ‘연행일기(燕行日記)’에는 “이곳의 호인들은 청심원(淸心元)을 구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어떤 호인이 말하기를, ‘지난해(1713년) 9월에 태어난 어린애가 급한 경풍(驚風 어린아이가 경련을 일으키는 병의 총칭)을 앓아 눈과 입이 굳어졌는데, 청심원을 씹어 흘려 넣었더니 즉시 소생해 완쾌했다’ 하면서 그 아이를 안고 와서 보이며 그 약의 신효(神效)함을 칭찬했습니다”라는 기록이 보인다.
청심환의 효용이 널리 알려졌기 때문인지, 청나라에는 조선 청심환에 대한 신비스러운 소문도 떠돌았다. 영·정조 시대 실학자 홍대용은 서장관으로 임명된 작은아버지 홍억(洪檍)의 수행군관이라는 명목으로 1765년 겨울 중국에 갔는데, 60여 일간 베이징(北京)에 머물면서 항저우(杭州) 출신 중국 학자들과 개인적인 교분을 쌓게 된다. 이들과 알게 된 사연이 재미있다. 홍대용의 일행 중에 이기성(李基成)이라는 무인(武人)이 원시경(遠視鏡:망원경)을 사고자 베이징 유리창(琉璃廠)에 갔다가 안경을 낀 두 사람을 우연히 만나게 된다. 이기성은 그 사람들에게 “아는 사람이 안경을 구하는데 진품을 찾기 어려우니 나에게 파시오”라고 졸랐다. 중국인 중의 한 명이 “내 어찌 안경 하나를 아끼겠는가?” 하면서 돈을 안 받고 안경을 주며 가던 길을 갔다. 이에 이기성이 부끄러워 그들을 쫓아가 통성명을 했다. 그들은 항저우 사람들로, 과거시험을 보고자 상경해 건정동에 머물고 있었다고 했다. 이 이야기를 들은 홍대용은 흥미를 느껴 그들을 찾아가 서로 필담을 나누고 우정을 쌓았다. 그들 사이의 대화 기록이 바로 홍대용의 ‘건정동필담(乾淨衕筆談)’이다. 그 두 사람 중 한 사람은 반정균(潘庭均)으로, 나이가 스물다섯이었다. 반정균은 홍대용에게 “들으니 환약(청심환) 속에 고빙(古氷)이 있다 하니 참말로 그런가?” 하고 물었다. 홍대용은 고빙이라는 말은 처음 듣는지라 “고빙은 무슨 물건인가?” 하고 되묻는다. 반정균은 “해중(海中)에서 여러 해 되어도 녹지 않는 얼음이라 한다”고 답했다. 당시 중국에는 청심환에 ‘고빙’과 같은 신비스러운 물질이 포함돼 있다고 소문이 났던 것이다. 홍대용은 점잖게 ‘오전(誤傳)’이라고 바로잡아 준다.
1798년 베이징에 갔던 서유문(徐有聞)의 ‘무오연행록(戊午燕行錄)’에도 “이곳 사람이 청심환을 기이한 보배로 아는지라, 한 환에 3돈 은을 주고 서로 매매하되 반이나 가짜라 이곳 사람이 이러한 줄을 모르지 아니하되, 거짓 것을 얻어도 오히려 좋게 여기니, 그 곡절을 알 길 없는지라. 혹 이르되 ‘청심환 가운데 오랜 얼음을 넣으니 바다 가운데에서 천 년이 돼도 녹지 아니하는 얼음이라’ 하니, 천하에 녹지 아니하는 얼음이 어디 있으리오. 만일 사신에게 하나를 얻으면 이것은 참된 것이라 보배를 얻은 듯이 다행히 여기니, 무슨 기이한 효험을 보는지 괴이하더라”라는 기록이 있다.
연암 박지원도 ‘열하일기’에서 청심환과 관련된 에피소드를 들려준다. 1780년 요동에서 베이징으로 가는 길에 연암은 일행보다 뒤에 갔다. 길가에서 참외를 팔던 노파가 연암에게 조선 사람 40~50명이 참외를 하나씩 가지고 돈도 안 내고 가버렸다고 호소한다. 연암이 우두머리에게 돈을 받지 그랬냐고 되묻자 노파는 돈을 달라고 했다가 참외로 면상을 맞아 아직 얼굴에 참외물도 마르지 않았다며 울면서 말한다. 그러면서 대신 청심환을 하나 달라고 조른다. 순진한 연암은 청심환 대신 참외를 먹고 바가지를 쓰고 만다. 그날 저녁 일행을 만나 연암은 왜 참외를 먹고 돈도 안 내고 갔느냐고 나무란다. 그러자 일행은 “도무지 그런 일이 없었습니다. 그 외딴집 오이 파는 늙은 것이 본시 간교하기 짝이 없어, 서방님(연암)이 홀로 떨어져 오시니까 거짓말을 꾸며서 짐짓 가엾은 꼴상을 지어서 청심환을 얻으려던 것이죠”라고 답한다. 연암은 “속은 것을 깨닫고, 그 참외 사던 일을 생각하니 분하기 짝이 없다. 대체 그 갑작스러운 눈물은 어디서 솟았을까” 하고 개탄한다. 청심환의 유명세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이처럼 청나라에서 청심환이 인기가 있었기에 공식적인 선물이나 뇌물로도 많이 사용됐다. 1832년 서장관으로 베이징에 갔던 김경선(金景善)은 ‘연원직지(燕轅直指)’에서 “잔치가 파하자 돌아오는데, 길이 태화전(太和殿) 뜰로 나 있었다. 마침 수리하고 청소하느라 태화전 문을 활짝 열어 놓았기에 청심원 다섯 알을 뇌물로 주고 태화전 안에 들어가서 두루 구경했다”라는 기록을 남겼다. 자금성의 태화전은 중국 황제가 관료들을 접견하던 정전(正殿)으로 현존하는 건물은 1695년 강희제 때 세운 것이다. 태화전은 자금성 안에서도 가장 큰 건물이며, 지금까지 현존하는 중국 최대의 목조 건물이다. 중국 황제의 권위가 엄청났던 시절에도 청심원 다섯 알이면 태화전까지도 구경할 수 있었던 것이다.
조선의 청심원이 명약으로 알려진 이유는 무엇일까? 물론 뛰어난 약효 때문이겠지만 그 약효는 조선 정부의 철저한 관리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홍대용은 ‘건정동필담’에서 “청심환은 자못 기효가 있고 품질도 여러 등급이어서 가짜가 반이 넘는다. 그 진짜는 궁제(宮劑)에서만 나오는데 가장 쓸 만하다”고 했다. ‘궁제’라는 말은 바로 납약(臘藥)을 말한다. 조선 정부는 개국 이후 고종 때까지 거의 500년간 동짓달에 해마다 임금이 가까운 신하들에게 환약을 나눠 줬다. 이 환약에는 청심환, 안신환, 소신환 등이 있었으며 모두 내의원(內醫院)에서 조제했다. 이 약에 관한 관리는 철저했다. 약의 주원료인 인삼과 우황 등의 품질 관리에도 엄격했다. 심지어 영조 때는 청심환 때문에 목숨을 잃을 뻔한 사람도 있었다. 1762년 여름 동궁(훗날의 정조)이 병이 들었다. 그런데 어의인 방태여(方泰輿)라는 자가 사사로이 청심환을 지어 올렸다가 영조에게 발각됐다. 영조는 대단히 화가 나서 홍화보(洪和輔:다산 정약용의 장인)에게 “빨리 방태여의 머리를 베어 오라”고 명했다. 홍화보는 칼을 뽑아들고 뛰어가서 방태여의 상투를 잘라다가 바쳤다. 홍화보의 기지로 한 목숨을 살렸지만, 아무리 어의라 하더라도 함부로 청심환을 사사로이 만들어서는 안 된다는 조선의 엄격한 내의원 약 관리의 한 예를 보여주는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명품은 쉽게 완성되는 것이 아니며, 그 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500년 명품 관리의 노하우를 조선의 우황청심환의 예에서 배웠으면 한다.